2018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자체평가(2016-2017) 보고서
2018. 12
목 차
Ⅰ. 자체평가 개요 ······················································································ 1
1) 자체평가 개요 ···································································································· 1
1. 목 적 ················································································································· 1
2. 법적근거 ············································································································ 1
3. 기본방향 ············································································································ 2
4. 조직구성 및 절차 ···························································································· 3
2) 평가지표 선정 ···································································································· 3
1. 지표선정 기본방향 ·························································································· 3
2. 지표선정 내용 ·································································································· 3
3. 자체평가 지표 ···································································································· 5
4. 지표별 평가준거 ······························································································ 7
Ⅱ. 대학개황 ······························································································ 11
1. 주요연혁 ··············································································································· 11
2. 대학조직 ················································································································· 12
3. 교직원 현황 ··········································································································· 13
4. 학생 현황 ··············································································································· 13
Ⅲ. 평가결과 ······························································································ 15
1. 대학사명 및 발전계획 ························································································· 17
2. 교육·연구 ················································································································ 23
3. 학생 및 교육성과 ······························································································· 57
4. 교육시설 ··············································································································· 75
5. 대학 재정 및 경영 ····························································································· 89
Ⅳ. 평가결과 요약 및 논의 ······································································ 97
1. 평가결과 요약 ····································································································· 99
1) 지표별 달성 여부 ··························································································· 99
2) 주요 정량지표 타대학과 비교 ································································· 101
3) 선행 자체평가와 비교 ··············································································· 102
4) 역대 자체평가(2010년~)와 비교 ··························································· 103
2. 논의 및 개선사항 ······························································································· 104
<세부 목차>
1.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 17
1.2.1 대학 발전계획의 수립 ····················································· 19
2.1.1. 교육체제 개편 안착 ······················································· 23
2.1.2 교수·학습지원 개선 ···················································· 30
2.1.3 수업규모 ································································31
2.1.4 전공·교양과정의 편성·운영 ················································32
2.1.5 실험·실습 및 현장교육 지원 ·················································· 34
2.2.1 전임교원 확보율 ······················································36
2.2.2 현장전문가 활용 ······················································38
2.2.3 교원 인사제도 ··························································40
2.2.4 시간강사 처우 및 복지 ···················································· 42
2.3.1 교원 연구실적 및 연구비 ················································ 43
2.3.2 교원 연구지원 강화 ····················································· 53
3.1.1 학생선발 절차 및 방법 ···················································· 57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 59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 60
3.1.4 입시 프로그램 개발 ····················································· 61
3.2.1 학생 자치활동 지원 ····················································· 62
3.2.2 학생 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63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 ················································ 64
3.4.1 졸업생 취업률 ··························································66
3.4.2 졸업 후 현장과 전공 일치도 ···········································68
3.4.3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 70
3.4.4 문화재 관련 자격증 현황 ················································ 71
4.1.1 교사 확보율 ······························································75
4.1.2 강의실 확보율 ··························································76
4.1.3 실험·실습실 확보율 ···················································· 77
4.1.4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 80
4.1.5 연구실 안전관리 체계 구축 ············································ 81
4.1.6 기숙사 수용률 및 학생식당 개선 ···········································82
4.1.7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 84
4.2.1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 85
5.1.1 교육비 환원율 ··························································89
5.1.2 장학제도 ································································92
5.1.3 장학금 비율 ······························································94
5.2.1 감사제도 ································································95
5.2.2 감사결과 활용 ··························································96
Ⅰ
자체평가 개요
1. 자체평가 추진 개요
2. 평가지표 선정
- 1 -
1
자체평가 개요
자체평가 목적
❍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책무강화와 개선점 파악
❍ 평가결과 피드백을 통한 교육의 질 확보와 대학의 경쟁력 강화
❍ 대학의 발전계획 중간점검을 통한 실행 동력 강화
❍ 정보공시를 통한 국민들의 알권리 충족
법적근거
❍
『고등교육법』 제11조의 2(평가) 제1항
학교는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기관의 교육과 연구
, 조직과 운영, 시설과 설비 등에
관한 사항을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공시하여야 한다
.
❍
「고등교육기관의 자체평가에 관한 규칙」 제3조의 2
자체평가는
2년마다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자체평가에 관한 규정」(예규 제48호)
2
우리대학 선행 자체평가 분석(2010년~ / 매 2년 평가)
자체평가 성과
❍
2010년부터 실시한 자체평가는 해당 시기 고등교육인증평가 기준을
기본으로 실시
- 유사한 특수목적대와 일반국립대의 수준과 비교한 우리대학의 위치진단
- 대학의 강점 파악(교육시설, 기숙사 수용률, 교육비 환원율 등)
- 일부지표(장학금, 논문실적, 수업규모, 직원규모, 자료구입비, 교육비
환원율 등
)는 본교가 소규모 대학이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유리
현재까지 자체평가의 한계점
(2010~)
❍ 현재까지의 자체평가결과 피드백
, 개선사항 반영 미흡
- 그 동안의 자체평가는 ‘평가’에만 그치고 실제 대학 발전을 위한 개선
사항 반영에는 미흡
- 2 -
❍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함
- 기존의 자체평가는 정량평가 위주의 획일화된 지표를 활용하여 형식적인
평가에 그침
3
2018년도 자체평가 시행계획
기본방향
❍ 학부 및 대학원의
2년(2016~2017)간 데이터를 통해 우리대학의
발전정도를 파악
- 대학알리미 통계에서 전체대학, 국립대 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과 비교
- 일부 지표의 경우 대학원 제외(충원율, 취업률 등)
❍ 선행된 자체평가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 평가결과 피드백 강화
❍ 중기발전계획
(2017-2021)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포함하여 평가
- 대학 중기발전계획(2017-2021) 전략과제 성과 평가
[자체평가-대학발전계획 연계 관리 체계도]
- 3 -
평가관련 조직구성
❍ 평가관련 조직구성
- 우리대학 자체평가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평가위원회를 조직하고 별도로
실무팀과 지원팀을 구성
구 분
기 능
비 고
총 장
최종 의사결정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지표 심의
기본방향 제시
평가보고서 심의
위원장
: 교학처장
위원
: 각 학과장(학부7명),
외부위원
1인
자체평가 실무팀
평가지표 개발
평가보고서 작성
평가관련 실무업무
총무과 기획계
자체평가 지원팀
평가관련 자료 및 의견제공
교무과
, 학생과, 학과 조교
4
평가지표 선정
지표선정 기본방향
❍ 평가의 연속성을 위해
2016년도 평가지표를 기본틀로 설정
- 고등교육인증평가지표 및 타대학 자체평가 지표를 대학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
❍ 대학중기발전계획 추진 점검을 위하여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점검
지표 추가
지표선정 내용
❍ 객관성 확보를 위해 내부
(대학본부, 학과) 의견수렴, 외부(전문가)
자문검토 실시
❍ 고등교육인증평가지표 영역분류를 기본틀로
5개영역, 13개 부문 선정
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지표를 참고하여 선정
❍ 세부
47개 평가지표 선정(정성평가 28, 정량평가 19)
❍ 자체평가위원회를 거쳐 지표 확정
- 4 -
지표선정 절차
지표 초안 개발
→
내부구성원 의견수렴
→
자체평가 위원회
심의·의결
5
자체평가 활용계획
향후 자체평가 결과 활용계획
❍ 자체평가를 통해 기본적으로 우리대학을 진단하고 취약한 부분을
개선 추진
❍ 대학중기발전계획
(2017-2021) 성과의 중간점검을 통해 개선점을
파악하고 실행 동력 강화에 활용
- 5 -
영 역
평가부문
특성
평가지표
출 처
`16년도
지표
여부
정
성
정
량
1.
대학 사명
및
발전계획
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
대학 설립목적 및 교육목표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1.2
발전계획
●
발전계획 수립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2.
교육연구
2.1
교육과정
●
교육체제 개편 안착
(전공교육 안정화)
중기발전계획
×
●
교수
·학습지원 개선
기관평가인증
/
대학역량진단
/
중기발전계획
〇
● 수업규모
기관평가인증
/
대학역량진단
〇
●
학과간 융복합 활성화
중기발전계획
×
●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 편성
·운영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중기발전계획
〇
●
실험실습 및 현장교육 지원
중기발전계획
×
●
학과 추가 개설 검토
중기발전계획
×
2.2
교원
● ★전임교원 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현장전문가 활용
중기발전계획
×
●
교원인사제도
(업적평가, 안식년,
연구년 도입
, 정년보장 교원 역할
부여 등
)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 시간강사 처우 및 복지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2.3
연구
●
교원 학술연구 지원 확대
(논문실적
포함
) 국내, 국제논문 및 연구비
기관평가인증
〇
●
교원 연구 및 대학원 연구과제 지원
강화
중기발전계획
×
●
학생연구지원 강화
중기발전계획
×
3.
학생 및
교육성과
3.1
입시
●
입시제도 현황
기관평가인증
/
중기발전계획
〇
● ★신입생 충원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재학생 충원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입시프로그램 개발
중기발전계획
×
●
대학원 입시제도 강화
중기발전계획
×
3.2
학생지원
●
장학제도 개선
중기발전계획
×
●
학생지원센터 신설
중기발전계획
×
●
학생 자치활동 지원
기관평가인증
/
중기발전계획
×
6
평가지표
2018 자체평가 지표
- 6 -
영 역
평가부문
특성
평가지표
출 처
`16년도
지표
여부
정
성
정
량
●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지원
기관평가인증
〇
3.3
국제교류
●
국제교류 실적
(센터 운영, 전문인력
확보 등
)
기관평가인증
/
중기발전계획
〇
3.4
취업
● 졸업생 취업률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전공일치도
자체지표
〇
●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자체지표
×
● 문화재 자격증(기능자, 기술자)
자체지표
/
중기발전계획
〇
4.
교육시설
4.1
교육연구기반
● ★교사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강의실 확보율 및 신축
중기발전계획
〇
● 실험·실습실 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기관평가인증
〇
●
노후실험실습장 재건축
중기발전계획
×
●
안전관리 시스템구축
중기발전계획
×
● 기숙사 수용률 현황 및 학생식당 개선
기관평가인증
/
중기발전계획
〇
●
수도권지역 교육관 확보
중기발전계획
×
●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중기발전계획
×
●
대학 종합문화관 건립
중기발전계획
×
●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
DB 현황
기관평가인증
〇
●
정보전산원 조직 개선
중기발전계획
×
5.
대학재정 및
경영
5.1
재정
● ★교육비 환원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장학금 비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〇
●
장학제도
기관평가인증
〇
5.2
감사
●
감사제도
기관평가인증
〇
●
감사제도 활용
기관평가인증
〇
평가영역
: 5
평가부분
: 12
28 19
평가준거
: 47
(16년도 평가준거: 45)
‘★’는 대학기관인증평가에서 설정한 필수지표
- 7 -
평가지표
평가준거
근거자료
1.1.1 교육목표
대학은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명료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 교육목표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가
?
학교 설치법 및 학칙규정
1.2.1 대학발전계획 수립
대학의 장단기 발전계획은 대학구성원의
요구분석 등에 근거하여 수립되어 있는가
?
대학발전계획
2.1.1 교육체제 개편 안착
대학의 교육체제 개편은 교육목표와 일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가?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기준
2.1.2 교수·학습 개선노력
대학은 교수
·학습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개선활동 전개
등 지속적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교수
·학습 지원 현황
2.1.3 수업규모
대학은 강좌 당 학생 수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가
?
강좌 당 수강생 수 현황
2.1.4 학과간 융복합 활성화
대학은 학과간 융복합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미평가
2.1.5 교양 및 비교과 과정 운영
지원
대학은 교육과정을 학문적
·사회적·시대적 요구
및 대학의 인재상을 반영하여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는가
?
교양교육과정 및 비교과
과정 현황
2.1.6 실험실습 및 현장교육지원
대학은 전공교육과정 수업에 있어
실험
·실습·실기를 적절히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증진시켜며
,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는가?
실험
·실습·실기 과목비율
2.1.7 학과 추가개설 검토
대학은 설립목적에 맞는 학과개설을 위한 충분한
고민과 논의를 하고 있는가
?
미평가
2.2.1 전임교원 확보율★
대학은 원활한 교육 및 학생지원을 위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전임교원을 확보하고 있는가
?
전임교원
1명당 학생 수
및 전임교원 확보율
2.2.2 현장전문가 활용
대학은 설립목적에 맞게 현장전문가를 충분히
활용하여 학생들의 실험
·실기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는가
?
현장전문가 교육 현황
2.2.3 교원인사제도
대학은 효율적인 업적평가 및 교원인사제도
규정을 갖추고 있는가
?
교원업적평가 현황 및
인사제도
2.2.4 시간강사 처우 및 복지
대학은 시간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강사료와 함께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가
?
시간강사 강사료 및 복지
2.2.5 교원 연구실적 및 연구비
교수는 대학의 목적 및 특성에 따라 연구비를
얼마나 수주하고 있는가
?
교원 논문실적
(국내외)
산학협력단 연구비 실적
2.3.1 교원 연구 및 대학원 연구
과제 지원 강화
대학은 교수의 교육과 연구활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행정적
, 재정적, 물리적으로 지원하고 있는가?
연구지원 현황
(재정 등)
2.3.2 학생 연구지원 강화
대학은 학생들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
,
제도적인 지원을 충분히 하고 있는가
?
미평가
3.1.1 입시제도
대학은 대학설립 목적에 적합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도록 입시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신
·편입생 모집요강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대학은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신입생 충원현황
, 입학
유형별 선발결과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대학은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재학생 충원율
3.1.4 입시프로그램 개발
대학은 우수한 신입생 유치와 신입생 등록률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는가?
입시프로그램 현황
3.1.5 대학원 입시제도 강화
대학은 대학원입시 전문성을 위해 전담인력을
채용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
미평가
3.2.1 장학제도 개선
대학은 학생들의 재정적 지원을 위해 적합한
장학제도를 개선하고 있는가
?
미평가
3.2.2 학생지원센터 신설
대학은 학생들의 복지를 위한
학생지원전담기구를 설립
·운영하고 있는가?
미평가
지표별 평가준거
- 8 -
평가지표
평가준거
근거자료
3.2.3 학생 자치활동 지원
대학은 학생자치활동을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는가
?
학생자치 활동 지원 현황
3.2.4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 학업 및 진로지도와
관련된 상담 체제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상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있는가
?
학생상담 체제
, 취업 및
진로지도 체제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협정
현황
대학이 국내
·외 대학들과 학술교류협정을 통해
학술적 인프라를 구축하였는가
?
국내
·외 대학 학술교류협정
체결 현황
3.4.1 졸업생 취업률★
대학은 적정 수준 이상의 졸업생 취업률을
유지하고 있는가
?
졸업생 취업현황
3.4.2 졸업 후 현장과 전공의 일치도
학생들은 졸업 후 특수목적대의 성격에 맞게
전공관련 분야에서 취업활동을 하고 있는가
?
졸업생 취업현황
3.4.3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대학은 학생들에게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알맞게
제공하고 있는가
?
취업지원실 실적 자료
3.4.4 문화재관련 자격증 합격률
(문화재수리기능자·기술자)
특수목적대의 취지에 맞게
, 학생들이 문화재관련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문화재수리기능자
(기술자),
자격현황
4.1.1 교사 확보율★
대학은 교육활동에 필요한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교사를 확보하고 있는가
?
교사시설 확보현황
4.1.2 강의실 확보율
대학은 강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실을 확보하고
, 강의실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있는가
?
강의실 현황
4.1.3 실험·실습실 확보율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 실험·실습실의 쾌적한
환경 및 안전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가
?
실험
·실습실 확보현황
4.1.4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에 대한 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실험
·실습
기자재를 구비하고 있는가
?
실험
·실습 기자재
구비현황
4.1.5 노후실습장 재건축
대학은 노후 실험
·실습장을 개선하고 있는가?
미평가
4.1.6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대학은 실험
·실습 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가
?
안전관리 인프라 및 제도
4.1.7 기숙사 확보 현황 및 수용률
대학은 학생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숙사 시설을 확보하고 있는가
?
기숙사 수용 현황
4.1.8 수도권지역 교육관 확보
대학은 답사 및 대학원 교육을 위한 수도권
지역에 교육장소를 확보하고 있는가
?
미평가
4.1.9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대학은 대학원 연구역량 강화 및 교육을 위한
독립적인 종합연구관 건립을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는가
?
대학원 종합연구관 추진
현황
4.2.1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
DB 현황
대학은 학생들에게 적합한 자료와 학술
DB를
충분히 지원하고 있는가
?
자료구입비 및 학술
DB 현황
4.2.2 정보전산원 조직 개선
대학은 정보전산원 업무 효율화를 위한 관련
규정 마련 및 조직개편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미평가
5.1.1 교육비 환원율★
대학은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평가원이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교육비를 환원하고
있는가
?
예
·결산 내역 등 학교
회계에 관한 사항
,
발전기금 현황
5.1.2 장학제도
대학은 학생들은 위한 여러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학교 장학제도 현황
5.1.3 장학금 비율★
대학은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하도록
하고 학업을 독려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는가
?
장학금 수혜현황
5.2.1 감사제도
대학은 예산편성 및 집행
, 대학경영에 대한
감사제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
내
·외부 감사제도 현황
5.2.2 감사결과 활용
대학은 감사결과를 대학운영에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 그 결과를 대내·외에
공개하고 있는가
?
감사결과 반영 실적 및
공개방법
Ⅱ
대학 개황
1. 대학 주요연혁
2. 대학 조직
3. 교직원 현황
4. 학생 현황
- 11 -
연도별
주요연혁
비고
1996
1월
한국전통문화학교 설립계획 수립
4.19
학교 설치령 제정(대통령령 제14982호)
1997
9월
㈜기오헌 설계사무소 현상설계 당선
1998
11.19
학교건립 기공식
12.1
학교건립공사 착공
1999
5.24
한국전통문화학교 직제 제정(대통령령 제16347호)
-정원/49명(총장, 교수16, 조교2, 행정인력30)
2개과(총무과, 교학과)
10.25
초대 김병모 총장 취임
2000
2.15
한국전통문화학교 업무표장(CI) 출원
3.2
한국전통문화학교 개교(문화재관리학과, 전통조경학과)
8.16
대학학력인정(교육인적자원부)
2001
3.2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개설
9.29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7374호)
-정원/57명(총장, 교수19, 조교4, 행정인력33)
2002
3.4
문화유적학과, 보존과학과 개설
4.23
중앙도서관 개관
7.5
학교건립 준공식
2003
9.15
제2대 이종철 총장 취임
7.25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8061호)
-정원/59명(총장, 교수21, 조교4, 행정인력33)
2004
2.18
제1회 학위수여식
2005
8.1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001호)
-정원/65명(총장, 교수21, 조교4, 행정인력39)
11월
전통문화연수원 건립공사 착공
-지상 3층 2동
2006
3.9
전통문화연수원 건립 기공식
4.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440호)
-정원/70명(총장, 교수23, 조교4, 행정인력42)
2007
3.15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928호)
-정원/74명(총장, 교수23, 조교6, 행정인력46)
9.15
제3대 이종철 총장 취임(연임)
2008
11.30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0420호)
-정원/76명(총장, 교수23, 조교6, 행정인력46)
12.28
전통문화연수원 준공식
2009
4.17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1407호)
-정원/83명(총장, 교수23, 조교6, 행정인력51, 연수원교수2)
9.16
제4대 배기동 총장 취임
2010
10.19
제5대 김봉건 총장 취임
2011
7.1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제정(법률 제10830호)
11.28
전통기능교육센터 준공
2012
7.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시행령, 시행규칙 시행
1 대학 개황
1. 주요연혁
- 12 -
연도별
주요연혁
비고
7.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UI 변경
2013
3.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개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14
2.26
평생교육원 개원
12.29
제6대 김재열 총장 취임
2015
1.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5997호)
-정원/94명(총장, 교수33, 조교7, 행정인력51, 교육원교수2
*기술직 전환(관리운영직군 3명)
5.2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6276호)
*기술직 전환(관리운영직군 1명)
2016
2.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일부개정
5.10
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7151호)
-정원/95명(총장, 교수33, 조교7, 행정인력52,
교육원 교수요원2 *전문경력관 나군 1명)
11.2
대학원 기숙사 준공
2017
2.27
교육체제 개편 시행
-2개 단과대학 7개 학과
-대학원 5개학과
11.2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가입
2018
6.1
제7대 김영모 총장 취임
2. 대학 조직
❍ 교육기구
: 2개 단과대(7개 학과), 일반대학원·문화유산전문대학원, 교양기초학부
❍ 대학본부
: 1처(교학처) 3과(교무과, 학생과, 총무과)
❍ 부속기관
: 학술정보관, 학생생활관, 정보전산원, 신문방송사, 산학협력단,
전통문화상품개발실
, 전통기능교육센터, 평생교육원, 전통문화연구소(부설)
- 13 -
* 전통문화교육원의 직원을 포함한 대학 전체 직원 수 (단위: 명)
구 분
정원
현원
총장
1
1
교원
전임교원
36
34
기타교원(겸초빙, 시간강사)
-
121(정원 외)
조교
8
8
직원
일반직
9급 이상
47
48
연구직
1
1
전문경력관
3
2
전문임기제
2
2
대학회계직
6
6
계
104
102
(단위: 명 / `17. 12월 기준)
구 분
정원
재적생 수
(재학생+휴학생)
소계
졸업생
남
여
문화
유산
대학
문화재관리학과
75
36
51
87
202
융합고고학과
75
57
45
102
193
무형유산학과
15
12
25
37
-
전통미술공예학과
160
40
56
96
390
기술
과학
대학
전통조경학과
75
54
49
103
201
전통건축학과
80
70
41
111
190
문화재보존과학과
80
48
56
104
185
대학원
일반대학원
구분
석사
박사
석사
박사
석사
박사
82
20
문화유산융합학과
60
20
26
8
35
13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건축학과
문화유산
전문대학원
구분
석사
박사
석사
박사
석사
박사
79
35
문화재수리기술학과
80
30
26
9
30
14
문화유산산업학과
총 계
750
387
424
801
1,416
3. 교직원 현황
4. 학생 현황
Ⅲ
자체평가 결과
1. 대학사명 및 발전계획
2. 교육·연구
3. 학생 및 교육성과
4. 교육시설
5. 대학재정 및 경영
- 17 -
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전통문화 및 문화재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특수목적으로 설립
되었고 특수목적대로서의 교육목표가 확고함
■ 국내유일의 문화재 관련 특수목적 대학으로 교육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있음
■ 또한 학교 내에 전통문화교육원을 설립하여 전통문화 및 문화재 관련 종사자들의
전문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요
약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제1조(목적)에 대학의 설립목적과 교육목표에 대해
명확히 제시하고 있음
■ ‘민족자존 문화창달’의 건학이념으로 민족의 전통을 찾아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이끌어 나갈 경쟁력을 갖춘 전통문화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두고 있음
■ 본교는 문화재청 소속의 대학으로, 문화재의 발굴·복원·보존·관리 분야의 전통문화
전문인 양성은 물론이고, 문화재 정책의 변화를 반영한 문화재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재 활용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명료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
교육목표를 교육실천의 지표로 삼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및 발전계획
진단결과
교육목표 설정
(충족)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를 설치하여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과 문화재의 보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인 응용력을 갖춘 전통문화인을 양성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문화의 보급과 창달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대학 사명 및 발전계획
1.1.1 교육목표
1.1.1 교육목표
① 대학의 설립목적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 18 -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특수목적대로서 명확한 교육목표를 제시
■ 향후 우수한 인재 유치를 위해 문화재 특수목적대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핵심역량 및 인재상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이 중요
요
약
■ 경쟁력을 갖춘 전통문화 및 문화재 전문인 양성에 교육목표를 두고 있음
■ 한국전통문화교육의 중추기관으로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전통문화를 재창조
하고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체계화하며, 전통문화교육의 센터화 역할 수행
■ 본교는 전통문화 및 문화유산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이러한 우수성을 널리 알려
한국문화를 창출, 국제교류협력 강화 등을 추구하고 있음
② 대학의 교육목표
[그림Ⅰ-1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비전체계도]
※출처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중기발전계획(2018-2021)
- 19 -
1.2 대학 발전계획
제목
연도
수행기관
한국전통문화학교 설립·운영방안 연구
1997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전통문화학교 중장기 발전방안
200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통문화의 재창조 2004-2011 중장기발전계획
200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학교 내실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2008
고려대학교
한국전통문화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보고서
2010
CQI 컨설팅
전통문화 전문인력 진출분야의 시장수요조사 연구
2010
한국노동연구원
NUCH 중장기 발전계획(2012-2021)
201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 전문인력 특성화 방안 연구
201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
2014
한국생산성 본부
(본청 수행)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입학 및 취업지원제도 개선 연구용역
2014
충남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육체제 개편 방안 연구
2014
고려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중기발전계획(2017-2021)
2017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평가준거
대학의 장단기 발전계획은 대학구성원의 요구분석에 근거하여
실현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대학 발전계획 자료
진단결과
발전계획 정기적 수립
(충족)
요
약
■ 우리대학은 학교 이념과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본교 설립 초기인 1997년부터
주기적으로 학교 중·장기발전계획 및 특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발전계획 수립 시, 학생 요구분석(설문조사)과 문화재 관련 전문가, 산업계 등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여 발전계획에 반영하고 있음
■ 발전계획과 더불어 외부환경 분석으로 전통문화 및 문화재 분야 인력에 관한 동향
파악도 추진하고 있음
■ 내·외부 현황분석 → 목표와 핵심과제 설정 →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절차로 이어짐
1.2.1 발전계획의 수립
1.2.1 발전계획 수립
①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표Ⅰ-1 대학 발전계획 수립 현황>
- 20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과거 전통문화인력 특성화 방안(연구용역)을 통해 문화재 관련 외부
환경과 학교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특성화 방안을 마련하였음
■ 초창기 발전계획들은 특수목적대로서의 기반환경 구축에 중점을 두었고, 그 이후로는
특수목적국립대로서의 대학교육 질적 향상을 목표로 계획을 수립
■ 핵심분야와 세부과제를 설정하고 부서별로 나누어 실천하여 주기적으로 점검
■ 발전계획 수립에서 대학구성원(학생)의 요구분석 실시와 의견수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발전계획 및 특성화 계획에 반영하고 있음
■ 외부용역 발전계획의 경우 대부분 문화재 관련 기관이 아닌 대학교육 관련 기관을
통해 수립되었음
■ 이와 별개로 2017년부터 교육체제 개편 방안을 마련하여 대학이 전통문화 및
문화재 환경에서 실기·실습 중심 및 현장능력중심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토대
마련
■ 주로 외부 우수자문기관을 통하여 객관적인 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하였으나,
내부구성원들의 의견이 반영된 발전계획 수립에는 미흡했음
■ 최근 대학중기발전계획(2017-2021)은 내부구성원 TF를 통해 대학내부구성원의 의견
수렴과 진단을 통해 발전계획을 수립하였음
■ 발전계획 수립 시 실행가능하고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성과를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 급변하는 대학교육 환경을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발전계획을 최신화 하는 것도 중요
- 23 -
2.1 교육과정
평가준거
대학의 교육체제 개편은 교육목표와 일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육체제 개편 현황
진단결과
교육체제 개편 시행 및 안착
(충족)
학과
학과 교육목표
문화재관리학과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보호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문화재관리 전문인력 양성
전통조경학과
사적, 명승 등 역사공간에 대한 실측설계와 복원은 물론 현대 조경 공간
속에 전통조경을 계승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전통건축학과
전통건축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인재 양성과 한국건축의 본질을 이해하는
미래의 한국건축 전문가 양성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미술과 공예를 바탕으로 실생활에 기초한 미술문화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그 적용영역의 확대에 선도적 구실을 담당할 전문인재 양성
융합고고학과
문화유적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담당할 전문지식인 양성
무형유산학과
무형유산의 현재적 가치에 기초한 지식체계 수립 및 실무형 인재 육성
문화재보존과학과
다양한 재질의 문화유산을 영구 보존 관리하기 위한 문화재 전문의사 양성
※계절학기 제외 / 이론+실습 과목도 실기·실습 과목으로 포함
구분
2016년도 실기·실습 과목 비율
2017년 실기·실습 과목 비율
문화재관리학과
7.5%
16.6%
융합고고학과
18.4%
39.4%
전통건축학과
37.7%
68.4%
전통조경학과
78%
78.3%
문화재보존과학과
47.7%
68.4%
전통미술공예학과
83%
92.9%
무형유산학과
학과 개설 전
27.2%
2. 교 육
2.1.1 교육체제 개편 안착(전공교육과정 운영지원)
2.1.1 교육과정과 세부 교육목표
① 교육목표 및 학과별 교육목표
<표Ⅱ-1 학과별 교육목표>
<표Ⅱ-2 최근 2년간 실기·실습 비율 현황>
- 24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이론과 실기능력을 갖춘 전통문화인력을 목적으로 각 학과의 특성에
맞게 이론과 실습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학의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현장실무형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습 및
실기 과목들을 운영하고 있음
■ 각 학과마다 세부 교육목표가 명확하며, 학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이론과목, 실습
과목, 이론+실습과목 등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학의 인재상 및 핵심역량을 설정하여 이를 반영한 교육목표를 재설정하는 것도
중요
■ 각 학과별 실기·실습 비율은 이론+실기·실습 혼합과목도 포함되어 있음
■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모든 학과의 실기·실습 비율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에 향후
일부 학과의 경우 실기·실습 비율은 학과 실정에 맞게 재조정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요
약
■ 우리대학은 문화재 및 전통문화의 보존·관리·재창조를 위한 전문화된 인력양성에
목표를 두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 2017년부터 시행된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현장실무 특성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체제 기반을 마련하였음
■ 2017년부터 시행된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학과별로
특성에 맞게 실기·실습 비율을 늘렸음
■ 또한 중기발전계획 수립 당시 각 학과별로 교육목표 설정하고 학과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정하였음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과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인 응용력을 갖춘 전통문화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을
세부 교육목표로 설정
2017학년도 기준
구 분
내 용
교양 학점
22~34학점 이상 이수
단일전공 학점
72학점 이상 이수
부전공 학점
지정과목 포함 24학점 이상 이수(전통건축학과의 경우 33학점)
졸업이수 학점
총 140학점 이상 이수(교양+전공+선택)
② 교육과정
<표Ⅱ-3 졸업 이수 학점>
- 25 -
구분
1학기
2학기
전공과목
문화재관리학과
문화재현장실습Ⅰ
기록유산사례연구
문화재정책사례실습
문화재현장실습Ⅱ
문화예술전시공연기획
문화재교육실습
문화재정보화실습
융합고고학과
야외조사장비활용실습
현장실습Ⅰ
야외조사실습
형질인류학
금석문분석방법론
고고학과 3D활용
현대사회와 고고학
문화유적조사방법론
매트릭스분석실습
유물정리실습
현장실습Ⅱ
지리정보고고학
계량고고학
실험고고학Ⅱ
환경고고학
전통건축학과
건축설계입문
전통건축결구
현장실습Ⅰ
대목입문
한옥주택 및 마을설계
전통목구조디지털모델링
전통건축CAD응용
전통목가구조 맞춤 및 재료
관방복원설계
전통목조건축 시공 및 단청 이론
전통건축복원응용설계
전통도시계획론
전통건축융합설계
건축문화재유지관리Ⅰ
한옥주택설계기초
전통건축실측
전통건축CAD기초
현장실습Ⅱ
결구제작 및 전통건축역학
사찰전시장설계
전통건축물짓기 및 단청실기
근대건축복원설계
전통석조건축 이론 및 시공
프로젝트 관리 및 적산
고대가람복원설계
건축문화재유지관리Ⅱ
근대건축시공
전통조경학과
조경수목학 및 실습Ⅰ
전통조경조형실습
디지털자연유산실습
조경계획
전통식재론
토양학 및 실습
전통원림실측
디지털가든디자인
전통정원설계
문화재적산
조경제도
조경수목학 및 실습Ⅱ
전통조경재료
전통조경계획
수목생리학 및 실습
전통조경시설설계
조경문화재 구조실습
조경수리복원시공
원림공간정보분석
환경생태학
③ 실습교육과정 교과목 현황(이론+실습 과목 포함)
<표Ⅱ-4 실습교육과정 교과목 현황(전공)>
- 26 -
구분
1학기
2학기
수목병해충학
현대조경설계
조경수리복원설계
천연기념물개론
조경수관리학
설계스튜디오
조경문화재연구
문화경관론
보존과학과
현장실습Ⅰ
일반화학 및 실습
목재조직학 및 실습
유기화학실습
도토기보존실습
고고금속학 및 실습
목제유물 보존처리
무기분석실습
문화재생물학 및 실습
문화재복원제작실습
근대문화재재료학실습
지류·섬유문화재 보존
고환경 분석
문화재환경실습
현장실습Ⅱ
철제유물 보존처리
석조문화재 보존
청동유물 보존처리
목칠공예품 보존
유구보존실습
유기분석실습
회화·벽화문화재 보존
기록물보존실습
문화재 방재
문화재보존처리 설계
문화재 연대측정
전통미술공예
학과
무형유산전승실습Ⅰ
공예재료학
전통기초조형
현장실습
디지털문화재복원
사진
무형문화재실습Ⅰ
백묘화기법연구
전통궁중채색화Ⅰ
단청Ⅰ
전통의복구성Ⅰ
천연염색Ⅰ
섬유재료실습Ⅰ
섬유무형문화재실습Ⅰ
소조실습Ⅰ
전통목조각실습Ⅰ
기초금속공예실습Ⅰ
기초옻칠소목실습Ⅰ
기초물레성형Ⅰ
도자재료연구
전통도자문양과 장식
도자디자인연구Ⅰ
무형유산전승실습Ⅱ
전통회화기초
기초전통섬유
기초소조실습
기초전통도자
기초전통도자회화
3D프린팅
무형문화재실습Ⅱ
기초전통채색화
전통궁중채색화Ⅱ
단청Ⅱ
전통의복구성Ⅱ
천연염색Ⅱ
섬유재료실습Ⅱ
섬유무형문화재실습Ⅱ
소조실습Ⅱ
전통목조각실습Ⅱ
기초금속공예실습Ⅱ
기초옻칠소목실습Ⅱ
기초물레성형Ⅱ
전통도자제작기법
도자디자인연구Ⅱ
- 27 -
구분
1학기
2학기
디자인
불교회화Ⅰ
불교회화복원연구
전통인물화연구
전통재료와 표현기법Ⅰ
의례복식재현
한복구성Ⅰ
섬유실용디자인
한국직물사
전통조각실습Ⅰ
공간조형실습Ⅰ
전통금속공예실습Ⅰ
전통옻칠소목실습Ⅰ
청자
백자Ⅰ
옹기물레성형Ⅰ
전통도자채화기법
전시와 기획
전통회화수복Ⅰ
전통회화졸업작품연구
전통회화조형연구Ⅰ
전통섬유졸업작품연구
전통복식고증연구
전통섬유조형연구Ⅰ
전통조각조형연구Ⅰ
전통조각졸업작품연구Ⅰ
전통금속공예조형연구Ⅰ
전통옻칠소목조형연구Ⅰ
전통도자졸업작품연구
전통도자원형연구Ⅰ
생활도자연구Ⅰ
문화상품연구
불교회화Ⅱ
불교회화모사연구
전통회화의모사와복원
전통재료와 표현기법Ⅱ
궁중복식재현
한복구성Ⅱ
섬유패턴디자인
전통직물제작실습
전통조각실습Ⅱ
공간조형실습Ⅱ
전통금속공예실습Ⅱ
전통옻칠소목실습Ⅱ
분청사기
백자Ⅱ
옹기물레성형Ⅱ
전통도자소재응용
미술비평론
전통회화수복Ⅱ
전통회화작품연구
전통회화조형연구Ⅱ
전통섬유작품연구
전통복식활용연구
전통섬유조형연구Ⅱ
전통조각조형연구Ⅱ
전통조각졸업작품연구Ⅱ
전통금속공예조형연구Ⅱ
전통옻칠소목조형연구Ⅱ
전통도자작품연구
전통도자원형연구Ⅱ
생활도자연구Ⅱ
무형유산학과
현장실습Ⅱ
전통재료와 기술Ⅰ
무형유산 전시기획론
유형유산분석연구
현장실습Ⅰ
무형유산기획화실습
무형유산 현장조사방법론
전통재료와 기술Ⅱ
- 28 -
요
약
■ 우리대학은 교육목표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음
■ 학사운영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교육과정위원회를 통해 교육과정의 개발·편성·
평가·운영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음
■ 교육과정은 전공교육(필수/선택), 교양교육(필수/선택)으로 나누어 전공은 72학점
이상, 교양은 22~34학점으로, 전체 140학점 이상을 이수하도록 해야 함(2013년도
이후 입학생 기준)
■ 2017년도부터 교육체제 개편을 실시하여 직전 자체평가(2016년도)에 비해 실기·
실습과목이 늘어남
■ 2017년도부터 교육체제 개편을 시행하여 무형유산학과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각 학과별 교육목표에 따라서, 이론+실습/실습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이론과 실기는 물론 현장능력을 갖추도록 전공 실습과목과는 별도로,
공통전공으로 현장실습 과목을 운영하여 실습능력과 현장능력을 함양하도록 노력
하고 있음
■ 특히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대부분이 실험·실습강의를 포함하고 있음
■ 또한 2017년도 입학생부터 문화재 현장의 인력 수요를 반영하고 학생들의 실기능력
강화를 위해 현장실습학기제를 의무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하였음
■ 계절학기 교육과정의 경우 단기간 동안 효율적인 실기·실습을 위해 1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들을 실기·실습과목으로 편성하였음
구분
1학기
2학기
계절학기
구분
하계
동계
문화재관리학과
문화재정책경영실습
-
전통건축학과
소목
소목
전통조경학과
조경문화재수리실습Ⅰ
조경문화재수리실습Ⅱ
조경식물보호실습Ⅰ
조경식물보호실습Ⅱ
조경문화재조사Ⅰ
조경문화재수리실습Ⅲ
조경식물보호실습Ⅲ
조경문화재조사Ⅱ
문화재보존과학과
동산문화재보존처리
부동산문화재보존처리
근대문화재보존처리
문화재 검진 및 진단
분광분석학
동산문화재보존처리
부동산문화재보존처리
근대문화재보존처리
문화재 검진 및 진단
분광분석학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섬유워크숍Ⅰ
전통섬유워크숍Ⅲ
전통회화워크숍Ⅰ
전통회화워크숍Ⅲ
전통도자문양워크숍Ⅰ
전통도자문양워크숍Ⅱ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Ⅰ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Ⅲ
전통섬유워크숍Ⅱ
전통섬유워크숍Ⅳ
전통회화워크숍Ⅱ
전통회화워크숍Ⅳ
전통도자성형워크숍Ⅰ
전통도자성형워크숍Ⅱ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Ⅱ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Ⅳ
- 29 -
진단
및
개선사항
■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학과별로 특성에 맞는 이론과
실기과목을 적절히 편성하였음
■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세부전공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에는 각 세부전공을 각
학과체제(예: 전통미술공예 단과대학)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향후 문화재 현장의 수요를 파악하여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대학본부 및 학과차원의 취업지원 노력도 중요
■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학과특성상 실험·실습+이론과목과 실습과목이 주를
이루고 있음
■ 본교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문화재 전문인 양성을 위해 학과마다 그 특성에 맞춰
이론과 실습과목을 조화롭게 운영하고 있음
■ 계절학기의 경우 대부분 실기·실습 과목으로 편성하여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실기·실습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 학과 전공의 특성을 고려한 단기적 실습능력 향상을 위해 유연학기제, 집중학기제
등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일부 학과의 실습위주의 교과목 편성은 타대학과의 교류수학에 어려움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30 -
평가준거
대학은 교수
·학습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개선활동 전개 등 지속적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수학습 지원 현황
진단결과
조직
, 인력 부분 부족(약간미흡)
진단
및
개선사항
■ 기존에 단순 교수법지원(강의평가 연계 컨설팅 단순 지원)에서 학습법 위주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역량을 고취시키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부분임
■ 직전 자체평가(2016년도)에 비해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늘어났으나 인력확보가
부족한 상황이고 임시기구이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국내 대부분 대학들이 교수·학습지원 조직을 정식 기구화하여 갖추고 있는 것을
비추어 봤을 때 우리대학은 기구화 조직이 아닌 임시조직으로 갖추고 있는 점은
미흡한 부분임
■ 현재 교수·학습지원은 전담인력 1명(연구교수)으로 운영되고 있고 교수학습지원실
또한 임시조직이기 때문에 학생 학습프로그램 지원과 교수법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확대하고 인력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함
■ 교수·학습프로그램 결과를 환류시킬 수 있는 시스템 마련과 조직, 인력 확보 시급함
■ 향후 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수·학습지원실의 역할이 중요함
요
약
■ 본교는 교원 및 학생의 교수·학습 역량 향상을 위해 2016년 하반기 부터 전담인력을
채용(교수·학습분야 연구교수)하여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특히 그동안 교원들 위주의 교수법(특강 등)에서 학생들을 위한 학습법 지원을 다양
하게 실시하고 있음
■ 전담인력 1명이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상황
구분
내용
교수법
지원
강의촬영·진단·컨설팅
- 강의촬영을 통해 교수자의 강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게 하여
교수법 개선에 기여
수업개선연구 지원
- 교수자와의 사전인터뷰를 통해 강의 자가진단 및 개선방향을
파악
- 교수법 전문가와 매칭하여 컨설팅 실시
- 개선사항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피드백 확인
교수법 향상 세미나
- 전임교원 대상 교수법 향상 세미나 실시(년 2회)
- 비전임교원 학사워크숍 실시(년 2회)
학습법
지원
튜터링, 학습공동체
- 튜터링 및 학습공동체 등 자율학습지원을 통해 학습법 향상
학습진단 및 학습상담
- 학습역량, 학습동기 등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체계적 학습
진단 및 면대면 학습코칭 실시
학습법 특강
- 역량기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특강 실시
학습포토폴리오 개발
- 학생들의 학습법 함양을 위한 학습포토폴리오 과목 개발 추진
2.1.2 교수·학습지원 개선
2.1.2 교수·학습지원 개선
<표Ⅱ-5 2017년도 교수학습지원실 주요사업 내용>
- 31 -
진단
및
개선사항
■ 소수인원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교육의 질과 효율성을 높이도록 노력
하고 있음
■ 소규모 강의 비율이 높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업진행에 도움이 되고 있음
■ 소규모 강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인력, 예산낭비로 이어질 수 있으니 폐강기준을
현재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정비할 필요가 있음
■ 우리대학은 15명 이하의 소규모 수업이 많기 때문에 성적평가 방식(절대평가,
상대평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요
약
■ 기본적으로 일반대학의 대학평가(기관평가인증, 기본역량진단평가)에서는 20명
이하의 강의규모를 평가하지만 우리대학은 소수정예대학으로, 대부분 강의가 20명
이하를 차지하기 때문에 15명 이하 강의 현황을 평가하였음
■ 최근 2년간 우리대학의 15명 이하 강의는 60% 이상 차지했으며 꾸준히 상승하
였음
■ 기준값인 2015년도 전체 비율(62.9%)에 비해 2017년도 전체 비율(68.8%)이 상승
하였음
평가준거
대학은 강좌 당 학생 수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15명 이하 규모 강좌 현황
산출식
전체 강좌 수
명 이하 강좌 수
×
기준값
62.9%(15년도 전체 기준)
진단결과
68.8%(충족)
구분
15명 이하 강좌 수
총 강좌 수
비율
연도별 비율
2016-1학기
132
218
60.5%
63.3%
2016-2학기
136
205
66.3%
2017-1학기
145
218
66.5%
68.8%
2017-2학기
156
219
71.0%
2.1.3 수업규모
2.1.3 수업규모
① 수업규모 현황
<표Ⅱ-6 수업규모 현황>
- 32 -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과정을 학문적
·사회적·시대적 요구 및 대학의 인재상을
반영하여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양 및 비교과 교육과정 현황
진단결과
전공
·교양 교육과정 편성·운영(충족)
구분
1학기
2학기
교양필수
(18과목)
교양기초
(8과목)
백강인문강좌
삶과 글
발표와 토론
한국의 역사와 문화
기초외국어(영어, 일어, 중어, 한문)
백강인문강좌
삶과 글
발표와 토론
한국의 역사와 문화
기초외국어(영어, 일어, 중어,
한문)
전공기초
(4과목)
문화재관리학의 이해
고고·보존과학의 이해
전통건축·조경학의 이해
미공·무형유산학의 이해
문화재관리학의 이해
고고·보존과학의 이해
전통건축·조경학의 이해
미공·무형유산학의 이해
전통예능
(6과목)
전통예술(서예, 전각)
전통무예(택견, 국궁)
전통생활(국악, 다례)
전통예술(서예, 전각)
전통무예(택견, 국궁)
전통생활(국악, 다례)
교양선택
풍수지리와 환경
전통사화의 생활과 문화
종교와 문화
문화론과 사회분석
동양문화사
문화인류학
성과 젠더
법과 권리
예술과 사회
실용금융
수학과 통계
환경과 생태
중급영어
고급영어
중급중국어
고급중국어
중급일본어
고급일본어
중급한문
고급한문
문화재관련 법령
한국문화의 기원과 전개
고전문학강독
동양문화사
서양문화사
동서인문고전산책
인간과 심리
성과 젠더
법과 권리
미디어와 사회
경제와 생활
실용금융
골프
과학사의 구조
생명공학과 인공지능
중급영어
고급영어
중급중국어
고급중국어
중급일본어
고급일본어
중급한문
고급한문
2.1.4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의 편성·운영
2.1.4 교양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① 교양 교육과정 현황
<표Ⅱ-7 2017년도 교양 교육과정 편성 현황>
- 33 -
진단
및
개선사항
■ 교양과목 중 전통예술·무예·생활 과목을 통해 본교 특성과 연계한 실기과목들을
운영하고 있음
■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과목 수를 줄여, 효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음
■ 타대학에 비해 우리대학의 규모 상 많은 과목들을 개설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나
학생들의 요구를 참고하여 다양한 과목들을 늘려가는 것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우리대학에서 과목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외부강의를 연계하여
다양한 교과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예: K-MOOC연계 교양과목, 학점교류 대학
확대 등)
요
약
■ 교양기초, 전공기초, 전통예능, 교양선택 부분으로 나누어 다양하게 교양교육을 제공
하도록 노력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대학특성에 맞는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 전공기초과목을 운영하여 저학년부터 전공이해를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
■ 대부분 학과의 과목수가 2016년도에 비해 감소하였음
구분
1학기(과목 수)
2학기(과목 수)
문화재관리학과
18
(필수8/선택10)
19
(필수9/선택10)
융합고고학과
19
(필수3/선택16)
19과목
(필수3/선택16)
전통건축학과
18
(필수7/선택11)
16
(필수5/선택11)
전통조경학과
19
(필수7/선택12)
18
(필수6/선택12)
문화재보존과학과
18
(필수1/선택17)
18
(필수1/선택17)
전통미술공예학과
54
(필수0/선택54)
58
(필수0/선택58)
무형유산학과
17
(필수4/선택13)
18
(필수2/선택16)
전체 전공과목 수
153
166
② 전공 교육과정
<표Ⅱ-7 2017년도 학과별 전공과목 수>
- 34 -
평가준거
대학은 전공교육과정 수업에 있어 실험
·실습·실기를 적절히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증진시켜며
,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는가?
근거자료
실험실습
·실기 과목 비율
진단결과
실기
·현장 교육과정 제공(충족)
구분
이수구분
교과목
기간(학점)
비고
학기제
전공선택
현장실습Ⅰ(1학기)
현장실습Ⅱ(2학기)
15주 이상
(18학점)
1일 8시간,
주 5일 기준
계절제
전공선택
현장실습(하계Ⅰ)
현장실습(동계Ⅰ)
4주 이상
(5학점)
현장실습(하계Ⅱ)
현장실습(동계Ⅱ)
7주 이상
(9학점)
학기제
일반선택
해외인턴십Ⅰ
해외인턴십Ⅱ
해외인턴십Ⅲ
3개월 이상(9학점)
6개월 이상(18학점)
12개월 이상(24학점)
국립국제교육원,
문화체육관광부 등
총장추천 진행만 가능
※계절학기 제외 / 이론+실습 과목도 실기·실습 과목으로 포함
구분
2016년도 실기·실습 과목 비율
2017년 실기·실습 과목 비율
문화재관리학과
7.5%
16.6%
융합고고학과
18.4%
39.4%
전통건축학과
37.7%
68.4%
전통조경학과
78%
78.3%
문화재보존과학과
47.7%
68.4%
전통미술공예학과
83.%
92.9%
무형유산학과
*학과 개설 전
27.2%
2.1.5 실험실습 및 현장교육 지원
2.1.5 실험실습 및 현장교육 지원 현황
<표Ⅱ-8 학과별 실기·실습 및 실기과목 비율 현황>
<표Ⅱ-9 현장실습 학기제 운영현황>
- 35 -
진단
및
개선사항
■ 학과 특성을 고려하여 실기·실습비율을 적절하게 편성하였음
■ 모든 학과가 실기·실습과목 비율이 2016년도에 비해 대폭상승하였기 때문에 추후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기·실습비율을 재조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현장실습학기제 의무시행을 통해 학기, 방학 중에 실무능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음
■ 향후 학생들의 현장실습교육을 지원할 현장실습이 밀집된 지역의 교육공간(수도권)과
이를 지원할 현장실습지원센터가 필요할 것임
요
약
■ 교육체제 개편 이후 실기·실습과목 비율을 늘려 실기·실습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학과별 특성에 따라 실기·실습비율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
■ 저학년때부터 실기능력 강화를 위한 실습교육을 편성하였음
■ 2017년도 입학생부터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현장실습학기제 의무시행을 실시하고
있음
- 36 -
2.2 교원
평가준거
대학은 원활한 교육 및 학생지원을 위하여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전임교원을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전임교원 현황 및 확보율 현황
산출식
교원법정 정원 명
전임교원 수 명
×
기준값
61%
진단결과
78.3%(충족)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전임교원확보율
74.8%
73.8%
76.8%
78.3%
※ 교원법정 정원(「대학설립 운영 규정 제6조제1항 ‘교원산출기준’」)
계열별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의학
교원1인당 학생 수
25명
20명
20명
20명
8명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시행령 제16조(교원의 배치기준)
- 법정정원 산정 시 계열별 학생정원: 학사과정 학생정원 + 대학원 학생정원은 2배
■ 결과:
교원법정정원 명
전임교원 수 명
× ⇒
■ 본교의 전임교원 정원 산정은「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시행령의 교원 배치
기준에 따라 법정정원을 산정하고 있음
■ 편제정원 기준 전임교원 확보율 학부+대학원 산출결과임
■ 최근 2년간 전임교원 확보율이 하락하고 있음
구분
전임교원 현황(명)
전임교원 1인당 재학생 수
전임교원
확보율(%)
법정정원
현재정원
2016
46
36
18.1명
80.5
2017
48
36
19.3명
78.3
2.2.1 전임교원 확보율
2.2.1 전임교원 확보율 현황
<표Ⅱ-10 전임교원 확보율>
- 37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의 전임교원 확보율은 대학원 정원 증가로 인해 계속해서 하락 중임
■ 기준값과 비교대학들의 값을 넘는 수준이지만 본교가 특수목적 소수정예 대학인
것을 감안하면 전임교원 확보율은 부족한 상황임
■ 또한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세부 전공이 많은 관계로 실질적으로 전임교원이
부족한 상황
■ 문화재관리학과의 경우에도 타학과에 비해 전임교원 수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향후
전임교원 증원 필요
■ 이밖에도 각 학과별로 해당 특수전문분야 전임교원이 절실한 실정(예: 융합고고
학과 해양수중발굴 전문가, 무형문화재 전승자 등)
■ 향후 무형문화재 전문가, 연구소 출신 전문가, 현장업체 전문가 등 현장전문가를
전임교원으로 섭외하여 학생들의 실무현장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함
- 38 -
평가준거
대학은 설립목적에 맞게 현장전문가를 충분히 활용하여 학생들의
실험
·실기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현장전문가 교육 현황
진단결과
실기
·실습 및 현장전문가 활용(충족)
학과
비전업 시간강사 강좌 수
전업 시간강사 강좌 수
문화재관리학과
22
22
융합고고학과
11
12
무형유산학과
8
17
전통미술공예학과
77
99
전통건축학과
18
8
전통조경학과
17
6
문화재보존과학과
2
12
구분
무형문화재 전문가 강사 수
(보유자, 조교, 이수자 등)
문화재수리기술·기능자 자격 강사 수
2016-1학기
7
8
2016-2학기
5
7
2017-1학기
5
6
2017-2학기
7
10
구분
겸임교원 수
초빙교원 수
2015년
7
10
2016년
4
11
2017년
12
21
*전체강의 시간 대비 비전임 교원 담당 강의시간
구분
2016년
2017년
비전임교원 강의비율
54.8%
58.6%
2.2.2 현장전문가 활용
2.2.2 현장전문가 활용
<표Ⅱ-11 최근 2년(2016년 1학기~2017년 2학기)간 현장전문가 활용 현황>
<표Ⅱ-12 최근 2년간 시간강사 무형문화재·수리기술자 활용 현황>
<표Ⅱ-13 최근 2년간 비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표Ⅱ-14 최근 3년간 겸·초빙 교원 현황>
- 39 -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무형문화재 이수자·전수조교·보유자·명장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현장
실기·실습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실기·실습이 높은 학과 강의의 전업강사의 경우에도 대부분 실기·실습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음
■ 향후 무형문화재 전문가 또는 문화재수리기술·기능자 출신의 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전임교원으로 영입하는 방안 또는 전임교원↔현장전문가 교류·파견 등
방안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음
요
약
■ 비전업 시간강사의 경우 대부분 현업에 전문가(문화재 관련 업체, 연구소 등)로
종사하고 있기 때문에 현장전문가로 간주하여 비율을 산출하였음
■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을 보유한 강사도 현장전문가로 포함하였음
■ 학과별로 전업·비전업 비율이 다른 이유는 학과 특성별로 이론중심, 실기중심의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임
■ 일부 학과의 경우 현장전문가임에도 개인작품 활동으로 전업강사에 포함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를 고려하면 본교는 현장전문가를 적절히 잘 활용하고 있음
■ 전통미술공예학과 시간강사의 경우 무형문화재 이수자·전수조교·보유자·명장 등을
위촉하여 실기·실습교육과정에 노력하고 있음
■ 문화재수리기능자의 경우에도 수리기술자는 아니지만 현장경험을 갖춘 전문가로
위촉하여 실기·실습 교육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시간강사 외에도 학과별로 현장전문가 위주(무형문화재 전문가 및 문화재수리기술·
기능자)의 겸·초빙교원을 위촉하여 현장강화 교육에 힘쓰고 있음
■ 겸임교원의 경우 `16년에 약간 감소하였지만 2017년도에는 과거에 비해 많은
겸·초빙교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2016년도에 비해 2017년도 비전임교원 강의비율이 늘어난 것은 교육체제 개편에
따른 실기·실습 과목이 늘어났으며 이에 따른 비전임교원 전문가 섭외도 늘어났기
때문임
- 40 -
평가준거
대학은 효율적인 업적평가 및 교원인사제도 규정을 갖추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원업적평가 및 인사제도 현황
진단결과
교원 업적평가 및 인사제도 구비
·운영(충족)
외
부
공
고
해당학과
채용분야 의견조회
↓
대학본부
채용심사위원회
(채용절차 및 적합성 심사)
총장 승인
↓
대학본부
- 학교 홈페이지 공고
- 관련 사이트 홍보
(문화재청, 교육관련 사이트 등)
서류제출(지원자 직접 현장 제출)
심
사
과
정
1단계
- 서류심사
- 전공적부 심사
- 연구실적 심사
전공분야 별 5명
(단, 1/3 이상은
외부위원)
↓
2단계
- 공개강의 심사
전공분야 별 5명
(단, 1/3 이상은
외부위원)
↓
3단계
- 심사위원회 심층면접
외부위원(2명)
내부위원(3명)
↓
최종
- 대학인사위원회 심사
- 최종 합격자발표
2.2.3 교원 인사제도
2.2.3 교원임용의 절차와 방법
① 교원임용 절차
↓
↓
[그림Ⅱ-1 교원 임용과정 및 절차]
- 41 -
진단
및
개선사항
■ 전공적부 심사를 통해 우리대학의 교육목표와 해당 전공 전문성을 갖춘 교원을
채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
■ 1, 2단계에서는 투명한 절차를 위해 외부위원 위주의 심사를 하고 있음
■ 공개강의 심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역량있는 우수한 교원을 채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우수 전임교원을 채용하기 위해 무형문화재 전문가, 문화재 현장전문가(문화재
수리기술·기능자) 등 현장전문가를 영입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요
약
■ 우리대학의 전임교원 채용은 임용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3차례에 걸친
심사를 통해 선발하고 있으며 공정한 경쟁을 통해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적합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업적평가를 합리적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교원 성과제연봉제, 인사
제도에 반영하고 있음
■ 업적평가위원회를 두어, 합리적 업적평가를 위한 조직을 갖추고 있음
■ 합리적 교원업적평가를 위해 업적평가 지표(교육·연구·봉사)를 현 실정에 맞게 개선
하는 것이 필요함
■ 현재 시행중인 교원업적평가는 시행된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현 실정에 맞게 개선
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현재 우리대학은 교원의 연구년(안식년)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만 사실상 활용
되지는 못하고 있음
■ 교원역량강화를 위해 연구년 제도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방안을 제도
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타대학 사례조사 및 교원 의견수렴 등을 통해 신규평가항목을 개발하여
합리적인 평가지표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요
약
■ 교원업적평가는 교육·연구·봉사 3분야로 40:40:20의 비율로 평가하고 있음
■ 업적평가 결과를 토대로 성과연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승진·재임용에도 반영하고
있음
② 교수업적평가 절차 및 활용
[
그림Ⅱ-2 교수 업적평가 절차]
- 42 -
진단
및
개선사항
■ 시간강사료는 2017년도 기준 전업(8.3만원), 비전업(5만원)으로 구분
■ 그 외에도 시간강사들에게 각 학과별로 시간강사 휴게실을 제공하고 있고 강의실,
도서관 등 학교 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전업+비전업 모든 강사료를 합하여 평균수치를 산출
■ 일반 국·공립대학에 비해 시간강사 강사료가 낮은 것은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특
성을 감안했을 때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님
■ 소수정예 특수목적대학인 우리대학은 지리적 위치로 인해 우수 강사를 초빙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강사료를 더 높여 우수 강사를 초빙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향후 시간강사법(고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시간강사 강사료
54,703원
72,236원
50,403원
70,800원
■ 직전학기 시간강사 1시간당 평균 강사료를 평가값으로 설정
■ 전업+비전업 시간강사의 강사료를 합하여 평균 강사료를 산출
■ 결과:
전체 강의시간
천원 전체 강의료
⇒ 원 ※2017년도 기준
■ 우리대학의 평균 시간강사료는 전체평균과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의 평균수치를
상회하고 있지만, 국공립대학 평균수준에는 못미치는 수준
■ 2년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전업 시간강사료를 인상하였고 이에 따라 평균
강사료도 상승하였음
평가준거
대학은 시간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강사료와 함께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시간강사 강사료 현황
산출식
총 강의시간 수
총 시간강사 강의료
기준값
45,000원
진단결과
70,800
원
(충족)
구분
시간당 강사료(단위: 원)
시간강사 담당
강좌 수
총 지급액
(단위: 천원)
평균 강사료
(단위: 원)
전업
비전업
2016-1학기
80,000
50,000
139
419,100
67,650
2016-2학기
80,000
50,000
133
2017-1학기
83,000
50,000
125
387,400
70,800
2017-2학기
83,000
50,000
129
2.2.4 시간강사의 처우 및 복지
2.2.4 시간강사의 처우 및 복지
① 시간강사 강의료
<표Ⅱ-15 시간강사의 강사료>
- 43 -
평가준거
교수는 대학의 목적 및 특성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전임교원 연구실적
, 연구비 수혜 실적
기준값
국내논문
0.35건
국제논문
0.05건
저역서
0.07건
교외 연구비
10,000천원
진단결과
국내논문
1.57건(충족)
국제논문
0.333건(충족)
저역서
0.363건(충족)
교외 연구비
64,254천원(충족)
구분
전임교원 수 (명)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 포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실적
2016
31
67
2.16건
2017
33
52
1.57건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국내 논문 실적
0.50건
0.62건
0.47건
1.57건
■ 논문실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등재(후보)지 실적만 실적에 포함
■ 결과:
전임교원 수 명
등재 후보 지 실적 건
⇒ 건
■ 우리대학 교수들의 국내논문실적은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인, 0.35건을 크게 상회
■ 대학기관인증평가의 전체평균(0.50), 국공립대학(0.62), 재학생 수 5천미만(0.47)의
실적을 뛰어 넘는 우수한 실적임
2.3 연구
2.3.1 교수의 연구실적 및 연구비
2.3.1 교수의 연구실적 및 연구비
① 전임교원 국내 논문 실적
<표Ⅱ-16 전임교원 1인당 등재(후보)지 논문 실적>
- 44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연구역량강화를 위해 연구비 지원, 교내 연구시설 등을 통해 교수들이
활발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고 등재(후보)지 실적이 우수함
■ 지난 2년간 국내논문 실적이 하락하기는 했지만, 기준값 비교대학 수치를 뛰어넘음
■ 일부 학술지에 논문실적이 편중되지 않도록 다양한 학술분야에 논문실적을 보유
하는 것이 중요함
■ 교내에 ‘한국전통문화연구’ 학술지를 발행하고 있지만 창간 13년째 등재후보지에
선정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전통문화 특수목적대 답게 ‘한국전통문화연구’ 학술지를 발전시켜,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후보)시켜, 교내에 우수한 학술지를 보유하는 것도 학교발전에 중요함
■ 우리대학은 전임교원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소량의 논문건수에도
평균산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또한 2017년 하반기에 신규임용된 전임교원 3명의 경우 임용 첫해이기 때문에 연구
실적 한계임에도 불구하고 교원 전체 평균 연구실적이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음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2016
주신구라(忠臣蔵)를 활용한 일본의 문화콘텐츠 개발 현황에 관한 연구
한일군사문화연구
단독
조선시대 세안(洗顔)문화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문화연구
단독
『도풍속화장전』(都風俗化粧伝)에 보이는 근세 일본여성의 미의식과 여성
의식
아시아여성연구
단독
사상적 관점에서 본 백제칠지도 - 논점의 정리를 겸하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단독
일본의 고문헌을 통해 본 독도‑『隱州視聽合記』와 「개정일본여지노정
전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단독
고운 최치원의 생애 재고찰 생애의 중요한 몇 장면들
한국철학논집
단독
‘最古最高’ 지성의 요람: 성균관대의 역사와 민족사적 위상
한국사상과 문화
단독
18세기 노론 낙학파(洛學派)의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 『성리대전』에
대한 황윤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단독
韓國茶道의 철학적 기반 - ‘妙合’과 ‘中和’의 정신을 중심으로
한국차학회지
단독
우담(愚潭) 성리설과 율곡설 사이의 간격
퇴계학논집
단독
중국 광고산업의 지역화와 효율성 분석
문화경제연구
공동(참여)
한‧중 FTA 문화서비스분야 영향 분석과 향후 대응방안
문화정책논총
단독
콘텐츠산업의 일자리 동학 분석
문화정책논총
공동(참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제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문화경제연구
단독
중국 중요농업문화유산제도의 특징 및 함의
중국학연구
단독
다중흐름모형(MSF)을 활용한 문화재 환수과정 분석-북관대첩비 환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공동(참여)
한국박물관협회 40 년의 성과와 과제
박물관학보
단독
무형문화재와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의 상생과 공존 방안-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을 중심으로 -
글로벌문화콘텐츠
단독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회화문화재 상태진단 적용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전쟁기념관 소장 6.25전쟁 방산장비의 도료 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Study on Wood Species Identification for Daeungjeon Hall of
Jeonghyesa Temple, Suncheon
목재공학
공동(참여)
근ㆍ현대문화재 인력거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근ㆍ현대문화재 인력거 재질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전북 순창 동촌유적 출토 청동기의 원료 산지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남한산성 여장 손상원인 분석
건축역사연구
공동(참여)
진안 봉곡도요지 출토 흑유자기의 재료학적 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조선시대 조적용 석회의 소성 성능과 모르타르의 물성에 대한 실험 연구
건축역사연구
공동(참여)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백제 철제갑주의 복원제작
조형디자인연구
공동(참여)
『경도잡지(京都雜誌)』 「세시(歲時)」편 번역의 오류 문제
Journal of korean Culture
단독
湖西地域 原三國時代 墳墓遺物의 變遷과 周邊地域과의 關係
호서고고학
단독
마한 토기의 지역성과 그 의미
선사와 고대
단독
<표Ⅱ-17 전임교원 등재(후보)지 논문 세부 실적>
- 45 -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토기로 본 5~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호남고고학보
단독
古代 甲川流域 百濟 泗沘期 古墳의 分布와 歷史的 意味
백제연구
단독
일제강점기 ‘古都’의 고적조사 - 초기 고적조사를 중심으로 -
역사와 담론
단독
廣開土王陵 守墓制 論議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역사문화연구
단독
後百濟와 高麗의 吳越國 交流 硏究와 爭點
한국고대사탐구
단독
한국 고대사회에서 술의 기능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後百濟의 降服 動線과 馬城
동아시아문화연구
단독
世宗市 일원 佛碑像의 造像 목적과 百濟 姓氏
한국학연구
단독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고구려발해연구
단독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사적지 인근 현상구축에 관한 연구- 리글의
기념비 개념과 ‘유네스코 역사적 맥락을 살린 새로운 디자인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공동(참여)
호국불교의 삼국통일정신과 2탑식가람의 전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단독
악·해·독 사묘건축의 건축특성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단독
정세권의 일제강점기 가회동 31번지 및 33번지 한옥단지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단독
정세권(鄭世權)의 중당식(中堂式) 주택 실험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단독
조선신궁에서의 신명조 양식 채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단독
조선후기 佛畵草本의 종류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단독
전통 사저교직포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
한복문화
단독
삼베짜기 전승현황 및 지역별 특성
한복문화
공동(참여)
갈이틀의 명칭과 磨造匠의 소임
美術史論壇
단독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기억유산의등재기준에 관한 연구
문화재
공동(참여)
조선시대 판장(板墻)에 관한 연구
문화재
공동(참여)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문화재
공동(참여)
Discussing Architecture and the City as a Metaphor for the
Human Body : From Marcus Vitruvius Pollio, Leon Battista
Alberti, Andrea Palladio to Other Renaissance Architects
Architectural Research
단독
서양의 일본건축문화에 대한 인식과 해석- 에드워드 모스, 크리스토퍼
드레서, 프란츠 발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단독
진신화상첩의 채색기법 연구 - 복식에 표현된 배채와 조채를 중심으로
문화사학
공동(제1)
전통 편금사에 사용된 붉은 접착제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캔버스 차단층(Size Layer)의 재료특성 및 기능평가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굴 패각 분말의 입자분포에 따른 도막특성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대규모 치수(治水) 사업이 주변 문화재 환경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공주 송산리 6호분 벽화고분 보존을 위한 온열환경 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안개 발생에 따른 문화재 표면의 색 변화 예측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시판용 방염제 도포에 의한 단청안료의 물리화학적 변화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목조문화재 단청에 방염제가 미치는 영향평가
문화재지
공동(참여)
적색 염직물의 색소 추출 방법 및 분석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2017
류큐왕국의 구스쿠 및 관련 유산군의 관광 및 문화콘텐츠 개발 현황에
대해* -전후(戰後) 구스쿠의 성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단독
『우쓰호모노가타리[宇津保物語]』에 나타난 ‘酒’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正易』과 한국사상 - 사상적 연원 탐구
율곡학연구
단독
조선 지성인들의 ‘고금(古今)’ 인식과 역사변동 - 학파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단독
河西 金麟厚의 淳昌에서의 講學 활동 -訓蒙齋를 중심으로-
유교사상문화연구
단독
한국사상의 원형과 특질 - 풍류사상, 민족종교와 관련하여
한국철학논집
단독
『童蒙先習』 著者에 대한 再論
孔子學
단독
석굴암 석굴 重修上棟文(1891) 연구-譯註를 겸하여-
보조사상
단독
조선 道學政治史에서의 思庵 朴淳의 위상 ‘世道’와 ‘淸議’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단독
DMZ의 UNESCO 세계유산 등재 가능성 및 기대효과
비교경제연구
공동(교신)
고대 제철기술 복원실험에서 산출된 제련재의 칼슘함량에 따른 재료학적
특성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조선시대 도검 패용 광다회의 제작기법 분석
문화재
공동(참여)
익산 입점리 고분 출토 금동식리 복원제작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공동(참여)
서산 비경도 출수 상평통보의 혐기성 부식 특성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 46 -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靑銅器時代 家口規模 推算 試論 - 松菊里式 住居를 중심으로 -
호서고고학
공동(참여)
백제 사비기 왕릉 발굴의 새로운 성과와 역사적 해석
한국고대사연구
단독
분묘로 본 백제 고도의 신라 지배 양상 - 부여·청양지역을 중심으로 -
백제학보
단독
한국고고학 형성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단독
『三國史記』 溫達傳의 出典 摸索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권력과 기록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백제와 인도와의 교류에 대한 접근
동아시아불교문화
단독
白江戰鬪의 位置 확인에 대한 接近
한국고대사탐구
단독
漢水와 漢城 그리고 漢陽 起源 探索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고구려의 漢江流域 喪失 原因과 長安城 축조 배경
동아시아고대학
단독
유물로 본 발해와 중부-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문화교류에 대해
고구려발해연구
단독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
선사와 고대
단독
고강도 콘크리트 혼화재로서 국산 왕겨재의 활용 가능성: 소성 온도와
분쇄공정 유무에 따른 입도, 성분 및 흡습 성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공동(제1)
부여 구드래 역사마을 기본계획을 위한 기초조사와 배치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단독
1920년대 중후반 경성 학강(鶴ヶ岡, 츠루가오카) 주택지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공동(참여)
무량사 극락전 아미타불회도의 화승과 제작기법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단독
충남 예산 의령남씨(宜寧南氏) 묘 출토복식의 연대추정
한복문화
단독
충남 서산 이(李) 어모장군 부부 합장묘 출토복식의 연대추정
복식문화연구
단독
일본 세이간지 소장 <錦織千佛像>의 조성경위 및 제직특성 연구
한복문화
단독
선암사 소장 <용문자수탁의(龍紋刺繡卓衣)> 연구
복식
단독
월정사성보박물관 소장 <수라향낭>의 직물과 자수 연구
한복문화
공동(참여)
金奉龍의 나전기술과 근대 공예적 성취
미술사연구
단독
공예사 방법론의 성찰과 다문화적 상상력
미술사학연구
단독
시지각강도를 고려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문화재
공동(참여)
3D 시각노출도를 이용한 문화재 범죄예방환경의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단독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의 3차원 기록화를 통한 포토그래메트리의
유용성 연구
문화재
공동(참여)
An Interpretation of Valu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Byeokgolje Embankment as a Cultural Landscape World
Heritage
한국전통조경학회지
공동(참여)
조선시대 한양 동부(東部) 함춘원(含春苑)에 관한 연구
문화재
공동(참여)
러버쉬팅변환을 통한 「동궐도(東闕圖)」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 연구 -
창덕궁 금천교 주변을 중심으로 -
문화재
공동(참여)
청량사 건칠불상의 재질 특성 연구
미술사연구
공동(참여)
건조에 따른 고분벽화 토양 마감층의 물리적 변화
문화재
공동(참여)
Py-GC/MS 분석법을 이용한 첨가물 혼합 옻칠 접착제의 정성분석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FRP 작품 보존을 위한 자외선 열화 특성 및 자외선 차단 코팅제 적용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수계에 인접한 목조건축물의 생물분포 모니터링 연구 -여주 신륵사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의 보존환경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통도사 괘불탱의 채색상태 및 사용 안료의 과학적 분석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in 20th Century Paintings for
Selected Historical Churches of the Bohol, Philippines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백제 풍납토성 출토 흑색마연토기의 제작 특성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 47 -
구분
전임교원 수 (명)
국제논문실적(건)
합계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
SCI급/SCOPUS
학술지
기타 국제발간
일반학술지
2016
31
4
-
4
0.129건
2017
33
9
2
11
0.333건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문화재 및 전통문화를 주로 연구하기 때문에 연구주제가 한정되어, 국제
논문의 실적이 국공립대학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
■ 오히려 국제논문 실적이 국공립대학에 비해 낮지만, 소속대학 전체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소규모대학 보다는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특수목적대의 한정된 연구범위인
것을 감안한다면 낮은 실적은 아님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국외 논문 실적
0.235건
0.374건
0.10건
0.333건
■ 지난 2년간 실적 두배 이상 상승
■ 기준값인 0.05을 상회하나 국공립대학 실적에는 약간 못미치는 수준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2016
Raman spectroscopy of the pigments o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Vibrational
Spectroscopy
공동(참여)
Evaluation on Biological Sensitivity of Three Fumigants
Used for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y
목재공학
공동(교신저자)
단기간 풍화가 단청도채된 소나무재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
목재공학
공동(참여)
The Cause of Whitening by Flame Retardants Treatment on
Korean Wooden Cultural Heritage
목재공학
공동(참여)
2017
Raman mapping study of the pigments in the dancheong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공동(참여)
Optimal methodologies for terahertz time-domain spectroscopic
analysis of traditional pigments in powder form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공동(참여)
Acceleration of Intended Pozzolanic Reaction under Initial
Thermal Treatment for Developing Cementless Fly Ash
Based Mortar
MATERIALS
공동(제1저자)
② 전임교원 국외 논문 실적
<표Ⅱ-18 전임교원 1인당 국외 논문 실적>
<표Ⅱ-19 전임교원 국외 논문 세부 실적>
- 48 -
Intensified Pozzolanic Reaction on Kaolinite Clay-Based
Mortar
A P P L IE D
SCIENCES-BASEL
공동(제1저자)
Effect of Permanent Formwork using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on Structural Behaviour of Reinforced Concrete
Beam Subjected to Bending as a Function of Reinforcement
Parameter
Journal of Applied
Mechanical
Engineering
공동(교신저자)
Strength and Behavior of Bolted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Panel Joint with Geometric Parameter
Journal of Applied
Mechanical
Engineering
공동(제1저자)
Divide-conquer method for improving possibilistic c-means
ELECTRONICS
LETTERS
공동(제1저자)
Tectonic Traditions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and
Their Development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공동(교신저자)
New biocide for eco-friendly biofilm removal on outdoor
stone monument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공동(교신저자)
Ingestion toxicity of FIpronil on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Isoptera: Rhinotermitidae) and Its Applicability
as a Termite Bait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공동(교신저자)
Wood injury characteristics of fungi isolated from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einsa Temple
at Hapchon,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공동(교신저자)
- 49 -
구분
전임교원 수 (명)
저역서 수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
2016
31
10
0.322건
2017
33
12
0.363건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전임교원 수 대비 저역서 실적이 우수함
■ 또한 타대학에 비해 전임교원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유리
■ 저역서 실적은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전문성을 드러낼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교원들의 저역서 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필요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저역서 실적
0.100건
0.094건
0.133건
0.363건
■ 우리대학의 저역서 실적은 최근 2년간 실적 상승
■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 0.07을 충족
■ 대학기관인증평가 전체평균(0.100), 국공립 대학평균(0.094), 재학생 수 5천 미만
대학평균(0.133)의 수치를 뛰어넘는 우수한 수준
구분
저역서 명
참여구분
2016
고대 전남지역 토기제작기술의 일본 파급 연구
공동
時, 空, 形態 그리고 量 : 한국고고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동
후암동 : 두텁바위가 품은 역사, 문화주택에 담긴 삶
책임
디지털유산 : 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공동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공동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책임
首尔建筑旅行地图 : 서울건축 투어맵(중문판)
공동
세계인과 함께하는 서울 건축투어 서울건축투어맵
공동
ソウル建築ツアーマップ : 서울건축 투어맵(일문판)
공동
Seoul Architecture Tour with Global Citizens The Architecture Guide to Seoul
공동
2017
창의적 농촌경제의 성공 모델 : 창의적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하 정책 모형 개발
공동
길로 풀어낸 환황해 문명 교류사
공동
동북아시아에서 본 마한토기
공동
부여 청송리 유적
공동
조선고고연구 해제집. 1-2
공동
논산의 역사와 문화
공동
한국고대사의 쟁점과 과제
책임
신라가라사연구
책임
한국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벨트1
책임
발해 염주성 이야기
공동
한국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벨트2
책임
회암사의 건축
책임
③ 전임교원 저역서 실적
<표Ⅱ-20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
<표Ⅱ-21 전임교원 저역서 세부 실적>
- 50 -
단위: 천원
구분
전임교원 수 (명)
교외 연구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실적
2016
31
2,619,726
84,507
2017
33
2,120,411
64,254
진단
및
개선사항
■ 2016년도에 비해 2017년도 교외연구비 수주실적이 하락하였지만 이는 2017년도
신규교원 채용 3명이 늘어난 것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분석
■ 2017년 채용된 신규교원 3명은 임용 첫해이기 때문에 연구비를 수주하진 않았지만
전임교원 수에는 포함되기 때문
■ 우리대학 교수들은 전임교원 수 대비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음
■ 우리대학이 전통문화 및 문화재분야 특수목적대이기 때문에 본교 교원이 연구비를
수주할 수 있는 분야는 일반대학에 비해 협소한 것을 감안한다면 낮은 수치는 아님
■ 또한 전임교원의 수가 적기 때문에 교원 1인이 평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
■ 연구비 실적은 우수하나, 연구비가 일부 교수들에게 집중되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교수들이 고르게 연구수주를 할 수 있도록 독려 필요
■ 특수목적대 우리대학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연구용역 과제 발굴 필요
■ 외부 연구용역 외에도 대학차원에서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업들에 대한 대학
구성원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
■ 전통문화 및 문화재분야 외에도 융합차원에서의 본교가 참여할 수 있는 연구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음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연구비 실적
41,161천원
74,990천원
21,099천원
64,254천원
■ 결과:
명 전임교원 수
천원
⇒ 천원
■ 교외연구비는 산학협력단 연구비 실적을 통해 평가
■ 소속대학 전체 평균보다는 높지만 국공립대학의 평균에는 미치지 못함
■ 최근 2년간 교외 연구비 전체 실적이 전년대비 하락
■ 2017년 하반기에 임용된 전임교원 3명이 임용 첫해이기 때문에 연구비를 수주하
지는 않았지만 전임교원 수에는 포함
④ 전임교원 연구비 수주 실적
<표Ⅱ-22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실적>
- 51 -
구분
사업명
수주금액(단위: 원)
2016년
부여 능산리고분군(서고분군) 시굴조사 용역
57,893,000
부여 구드래 역사마을조성 건축 기본설계 용역
33,000,000
공간영상정보와 3D Mesh 기술을 융복합한 문화재 3D 구축 시스템
70,000,000
부여 녹간 마을 프로젝트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
20,000,000
국립박물관 보존과학 발전 방안연구-보존과학센터 건립 기본계획연구
50,000,000
간송 소장품 보존처리 용역-6부
14,990,000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규명 연구
159,500,000
부여 민입암집판각조사용역
14,250,000
박물관 전시품 고연색-맞춤형 LED 조명 시스템 개발 및 조명에 의한
전통 문화재 변색에 관한 연구
83,000,000
능산리고분군 보존환경 모니터링
46,500,000
국가긴급보호 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지표개발 연구용역
8,980,000
부여 송국리유적 제21차 시굴조사 용역
59,356,000
2016년 조선왕조실록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평가 및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58,000,000
동궁과 월지 서편지 건물복원 기와하중 연구용역
84,500,000
무형문화재(한산모시) 전수교육관 전시물 설계 및 제작설치사업(계속
비) 중 의상 제작·전시 용역
93,000,000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299,600,000
중요 사찰 및 향교 건축문화재 수종에 대한 연구
61,000,000
공예 소재기법연구 및 목록화(섬유공예 2)
73,000,000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취약종목 실태조사연구
33,250,000
황룡사 중문 철물 복원 고증 및 제작 연구
72,600,000
은산별신제 유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신청 기초 연구용역
19,000,000
서천읍성 정비계획 수립 용역
19,780,000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대비 문화서비스 분야 협상 전략 연구
34,200,000
부여 능산리고분군 4차 발굴조사 용역
262,908,000
부여 반교마을 옛담장 종합정비계획
15,000,000
국외문화재 보존 복원 및 활용 지원 사업 발전방안
20,000,000
고도지구 확대지정 검토지역에 대한 현장조사 및 시뮬레이션
24,900,000
서천 봉선리 유적 목곽고 보존처리사업
372,470,000
한성백제박물관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보존처리 용역
17,800,000
백제역사도시 조성사업에 관한 특별법 제정 마련 용역
17,900,000
남산신성 잔존성벽 실측조사(3D스캔) 용역
19,620,000
2016년 외부위탁기록물 보존복원 처리
22,560,000
조선왕릉 주렴 조사 용역
9,800,000
부여 송국리유적 제21차 발굴조사 용역
122,369,000
김제 벽골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추진 연구 용역
130,000,000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100,000,000
선잠박물관 조성 기본구상용역
19,000,000
2016년 소 계
2,619,726,000
<표Ⅱ-23 전임교원 외부 연구비 수주 세부 실적>
- 52 -
구분
사업명
수주금액(단위: 원)
2017년
순천 송광사 보조암 정비기본계획 학술연구용역
27,000,000
부여 송국리유적 세계유산등재 추진 타당성조사 학술용역
19,000,000
전일빌딩 총 탄흔 보존 및 복제
19,230,000
천안 성거산 위례성 내 용샘 출토 목재 연륜연대분석
2,550,000
부여 고도보존지구 가로공간 개선방안 연구용역
39,500,000
은산별신제 전형유지와 공동체 전승력 강화를 위한 학술포험 용역
17,100,000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상시모니터링
32,550,000
부여 능산리고분군 5차 발굴조사 용역
336,650,000
박물관 전시품 고연색 – 맞춤형 LED 조명 시스템 개발 및
조명에 의한 전통 문화재 변색에 관한 연구
90,000,000
고지도(대동총도) 모사본 제작사업
86,590,000
부여 송국리유적 제22차 발굴조사 용역
294,800,000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369,710,000
2017 건조물 문화재 내진성능 예비평가 연구용역
97,500,000
실록의 숲 조성 연구용역
27,900,000
전통무형문화 전형 전승을 위한 실감 센싱/렌더링 기술 개발
60,000,000
서산 송곡사 향나무 승격지정 조사용역
9,250,000
명승 유형별 보존관리방안 마련 연구
47,300,000
2017년 외부 위탁기록물 보존복원 처리
29,250,000
2017년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대한매일신보 보존처리 사업
38,704,60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사학위복 디자인 용역
19,000,000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274,000,000
화협옹주묘 출토 화장품 조사연구 학술용역
47,000,000
전의 비암사 극락보전 정밀실측조사
20,000,000
농업역사문화전시 체험관의 체계적 운영방안 연구
44,253,000
문화유산 교육사 자격제 도입 및 운영방안 마련 연구용역
22,000,000
조선왕릉 활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용역 – 기초 자료 개발
9,720,000
감지은니묘법연화경 보존처리
20,000,000
서천 봉선리유적 목곽고 3D 스캔 조사용역
19,854,000
2017년 소 계
2,120,411,600
- 53 -
평가준거
대학은 교수의 교육과 연구활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행정적
, 재정적,
물리적으로 지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원 연구지원 현황
진단결과
연구지원
(충족)
구분
지원 건수
지원금액(단위: 천원)
비고
전시회지원
4
8,000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원 전시회
국내논문 장려금
31
27,600
한국연구재단 등재·등재후보지
국제논문 장려금
3
7,000
SCI, SSCI, SCIE, SCOPUS 등
학술저서 장려금
1
3,000
번역서 장려금
1
2000
특허등록 장려금
1
2,000
국제 학술대회 참가 장려금
8
9,000
국내·국제 학술대회 개최 지원
-
-
-
합 계
49
58,600
구분
지원 건수
지원금액(단위: 천원)
비고
전시회지원
4
8,000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원 전시회
국내논문 장려금
31
35,700
한국연구재단 등재·등재후보지
국제논문 장려금
3
6,000
SCI, SSCI, SCIE, SCOPUS 등
학술저서 장려금
1
3,000
번역서 장려금
1
-
특허등록 장려금
1
2,000
국제 학술대회 참가 장려금
8
1,500
국내·국제 학술대회 개최 지원
-
-
합 계
49
56,200
요
약
■ 본교는 교원 학술장려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여 분류별로 지원하고 있음
■ 교원 연구활동 지원비는 비교수치가 존재하지 않음
■ 직전 자체평가(2016년도) 실적에 비해 예산부족으로 인해 지원금액이 감소하였음
2.3.2 교원 연구지원 강화
2.3.2 교원연구 및 대학원 연구과제 지원 강화
① 교원연구 및 대학원 연구과제 지원 강화
<표Ⅱ-24 2016년도 교원 연구지원 현황>
<표Ⅱ-25 2017년도 교원 연구지원 현황>
- 54 -
진단
및
개선사항
■ 교원 연구활동을 활발하게 장려하기 위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 본교는 특수목적국립대이므로 학술대회 개최를 통해 대외적으로 대학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이 중요함
■ 교원들의 활발한 연구활동을 위해 양질의 연구활동에 대해서는 상한선 없이 예산을
지급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중요함
■ 대학원 연구과제 종료 후 연구 연장, 활용방안, 신규과제 발굴 등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음
■ 교원 연구지원과 별개로 학생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예: 논문게재 장려금)
■ 대부분의 타대학들의 경우 학생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행·재정적 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우리대학도 사례를 참고하여 학생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 필요
■ 학술대회 개최 지원 실적의 경우 예산은 확보했지만 실적은 지난 2년간 없음
■ 연구실적 장려금 외에도 대학원연구지원과제 사업(2건 / 전통기술소재은행 구축,
목조문화재 3D안정성 분석 시스템 사업)을 위한 예산(`14-18년 5년간 30억원)을
확보하여 대학원 연구과제 지원 강화에 노력하고 있음
- 57 -
전형유형
지원자격
일반전형
고등학교 졸업자(예정자)
학교장 추천 전형
고등학교 성적 환산 등급점수 7.00 이상이며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
한문 우수자
한자능력검정시험(어문회) 1급 이상인 자
외국어 우수자
영어
TOEIC 900점 또는 TOEFL(IBT 99점, PBT 597점, CBT 247점)
또는 TEPS 800점 이상
일본어
일본어능력시험 N1 또는 JPT 800점 이상
중국어
HSK 5급 이상
러시아어
서울대 러시아 어학능력시험 61점 이상
프랑스어
DELF B1 이상
스페인어
DELF B1 이상
문화재수리
기술·기능자
문화재 수리 기술·기능자 자격증 소지자
문화재수리
기술·기능자(정원 외)
문화재수리 기술·기능 자격 취득 후 10년 이상 실무경력자
문화재 수리현장
경험자
문화재 수리업체 3년 이상 경험자
경시대회·공모전
전국규모 경시대회(수학, 과학) 3위 이내 입상
전국 4년제 대학 주관 실기대회 3위 이내 입상
전통미술공예 관련 전국규모 공모전 특선 이상 입상
무형문화재 이수자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이수증을 발급받은 자
사회적 배려
대상자(정원 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본인 또는 자녀 중 전 학년 환산등급점수가
6.00이상이며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
3.1 입시제도
평가준거
대학은 대학의 교육목표 등에 근거하여 합법적인 절차와 방법에 따라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신입생 및 편입생 모집요강
진단결과
신입생 선발 체제 구축
·운영(충족)
3. 학생 및 교육성과
3.1.1 학생선발 절차 및 방법
3.1.1 학생선발 절차 및 방법
① 신입생 모집 요강 및 절차
[그림Ⅲ-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입학 일반전형 절차]
[그림Ⅲ-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입학 특별전형 절차]
<표Ⅲ-1 신입생모집요강(2017학년도 신입생 기준)>
- 58 -
모집단위
지원가능 학과
TOEIC
TOEFL
TEPS
CBT
IBT
PBT
문화재관리학과
전 계열
700점
이상
170점
이상
60점
이상
500점
이상
600점
이상
융합고고학과
전 계열
무형유산학과
전 계열
전통조경학과
전 계열
전통건축학과
건축 계열
문화재보존과학과
전 계열
전통미술공예학과
전 계열
어학 지원자격 필수 아님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대학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전형유형(수리기술·기능자전형, 무형문화재
이수자, 한문우수자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우리대학의 특성에 맞는 대학만의 독자적인 입시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우리대학이 소규모 대학 조직 특성 상 입시전담조직은 구축하지 못했으나 거의
모든 대학들의 경우 입시전담 조직(입학팀, 입시·취업지원팀, 입학처, 입시·홍보팀
등) 별도의 조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향후 우리대학도 전담조직 마련 논의 필요
■ 우수인재 유치를 위해 전담조직 마련도 중요하고 학부와 대학원 입시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우수학생 유치에 노력하는 것이 필요
■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교육부 대입전형 및 수능체제 변화 등 전반적인 입시
전형 추세를 반영하여 다양한 입학전형 확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요
약
■ 다양한 전형유형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마련
■ 본교는 교육부에서 실시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자체입시시험을
시행하고 있음
■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학과 특성을 반영하여 실기시험을 실시함
■ 현재 본교의 경우 입시담당자는 있지만 전담조직(입학관리팀, 입학팀)은 구분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
■ 특히 학부와 대학원 입시 담당자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
② 편입생 모집 요강 및 절차
[그림Ⅲ-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편입학 모집 절차]
<표Ⅲ-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편입학 지원자격>
- 59 -
평가준거
대학은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정원내 신입생 현황
산출식
정원내 모집인원 명
정원내 입학자수 명
×
기준값
95%
진단결과
96.4%(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대부분의 타대학에 비해 인원 수가 훨씬 적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변동의
폭이 큼
■ 우리대학은 전통문화 및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하기 위한 소수정예 특수목적대
이므로 비교대학들에 비해 신입생 충원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함
■ 기준값을 충족하였지만 전체대학 평균값과 비슷한 수준이고 국공립대학에 비해서는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의 신입생 충원율은 만족할 만한 상황은 아님
■ 또한 소수정예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에 걸맞는 우리대학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기준값은 충족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음
■ 신입생 충원율을 높이기 위해 합격자 관리 프로그램(예비대학)과 학생지원 정책에
대한 홍보 필요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 미만
전통대
신입생 충원율
95.8%
99.6%
90.1%
96.4%
■ 결과:
정원내 모집인원 명
정원내 입학자수 명
× ⇒
■ 2016년 대비 2017년도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소폭 증가하였으나 큰 폭은 아님
■ 입학정원 수가 적어 소수의 인원에 따라 변동의 폭이 크게 나타남
구분
입학정원
모집인원
지원자 수
정원내 입학자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정원내
정원내
2016
148
140
830
132
94.2
2017
149
140
1032
135
96.4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표Ⅲ-3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 60 -
평가준거
대학은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정원내 재학생 현황
산출식
학생정원 명
정원내 재학자수 명
×
기준값
80%
진단결과
94.8%(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 80%는 거의 모든 대학이 충족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
있는 기준값은 아님
■ 본교는 소규모 인원에 따라 충원율 변동의 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음
■ 본교의 경우 소수정예 특수목적대이기 때문에 재학생 충원율 관리는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와도 연계되기 때문에 중요함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 미만
전통대
재학생 충원율
94.2%
102.3%
85.6%
94.8%
■ 결과:
학생정원 명
정원내 재학생 수 명
× ⇒
■ 우리대학의 재학생 충원율은 기준값과 전체평균은 상회하고 있지만, 국공립대학
평균에는 못미치는 수준
■ 지난 2년간의 재학생 충원율은 하락하고 있는 상황
구분
학생정원 수
정원내 재학생 수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2016
560
553
98.8
2017
560
531
94.8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표Ⅲ-4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 61 -
평가준거
대학은 우수한 신입생 유치와 신입생 등록률을 높이기 위한 입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입시프로그램 현황
진단결과
예비대학 프로그램 계획 수립
·일부학과 운영(미흡)
진단
및
개선사항
■ 우수인재 등록률을 높이기 위한 학교차원의 입시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신입생 등록률 제고와 건전한 대학생활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입시프로그램은
중요한 부분임
■ 특히 최근 몇 년간 오리엔테이션 사건·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대학사회는 신입생을
위한 다양하고 유익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타대학(주로 대형대학)의 경우 등록률 제고를 위해 과거 몇 년 전부터 학점연계
예비대학 프로그램, 학과 예비체험, 문화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한 노력을 해왔음
■ 본교의 경우 오리엔테이션 외에 대학차원에서의 입시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아, 이
부분에 소홀했다고 볼 수 있음
■ 예비 합격자 관리를 통해 학교에 대한 관심과 소속감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함
■ 또한 중도탈락자 방지를 위해서도 입시프로그램 시행은 중요한 부분임
■ 학교 특성과 전략 및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안내, 문화재 현장답사, 졸업생
및 명사 초청 특강 등을 통해 신입생들의 원활한 대학생활 및 진로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 입시프로그램은 건전한 대학생활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고 학생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학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함
요
약
■ 본교의 입시전형 시기는 타대학보다 빠른 입시전형 일정으로 신입생 최종 등록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산재함
■ 또한 전국적으로 학과 희소성이 낮은 일부 학과의 경우 등록률이 감소하는 현상이
최근 몇년간 지속되어 왔음
■ 현재까지는 일부학과에서 자체적으로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음
■ 현재 본교의 경우 입시담당자 차원에서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행하고
있음(`18년 10월 이후 시행)
※ 예비대학 프로그램 추진 주요내용(안)
- 학과 특성화 교육과정, 학교생활 안내를 통해 학과 및 대학생활 안내를 할 것임
- 전통문화 체험 및 문화재 현장답사를 통한 문화유산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학과
전공 적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계획
- 졸업생 및 명사 초청 특강을 통해 전공분야 진로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
3.1.4 입시프로그램 개발
3.1.4 입시프로그램 개발 현황
- 62 -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자치활동을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학생자치 활동 지원 현황
진단결과
학생자치 활동 지원
(충족)
3.2 학생지원
구분
주요내용
기타
총학생회
- 학생자치 활동 대표 역할 수행(기획재정국, 문화국,
학생복지국, 홍보국 등 운영)
- 신입생 새로배움터, 축제, 체육대회, 학술제 등 운영
116,200천원 지원
(`16년 대비 7,000천원 증액)
동아리연합회
- 동아리 활동 총괄 지원
- 동아리 문화행사 개최·지원
- 동아리 활동비(13,200천원)
- 재료비(6,800천원) 지원
학과 학생회
- 학과 학생회 운영비 보조
- 학기별 7,000천원 지원
그 외
- 대의원회
- 졸업준비위원회
진단
및
개선사항
■ 대학본부는 학생자치활동을 위한 충분한 예산과 지원을 하고 있음
■ 자치활동과 별개로 2018년 5월 개정된 고등교육법 내용(대학평의원회 설치 의무화)에
조치로 대학평의원회 설치를 위한 대학구성원들의 합의된 논의가 필요함
요
약
■ 본교는 일반대학과 마찬가지로 총학생회, 대의원회, 동아리연합회 등 학생들의
자치활동 단체들을 지원하고 있음
■ 본교는 학생자치활동을 위한 다양한 단체들을 지원하고 있음
■ 학생자치활동을 위한 예산을 충분히 지원하고 있음
3.2.1 학생 자치활동 지원
<표Ⅲ-5 2017년도 주요 학생자치활동 지원 현황>
- 63 -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 학업 및 진로지도와 관련된 상담
체제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상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학생상담실 운영 현황
진단결과
학생 상담체제 구축
·운영(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학생상담센터에서는 상담 및 심리검사, 성희롱, 성폭력 예방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음
■ 교수·학습지원실과 마찬가지로 상담실 또한 전담인력은 1명으로, 학생상담 프로그램
운영 시 지원인력이 부족한 상황임
■ 학생들이 건강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내실있는 상담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추후 보조인력이나 전문인력을 충원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인력충원도 필요하지만 이와 별개로 학생들이 상담실을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유인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함
요
약
■ 2015년도부터 개소한 학생상담센터는 학생은 물론 직원 등 대학구성원 모두에게
상담 및 심리검사·학생 4대폭력 예방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음
■ 상담실 인력은 상담사 1명이 운영을 하고 있음
구분
주요내용
개인상담
- 대인관계, 성격, 정서, 대학생활 등 개별 상담 진행
- 실적 : 상반기 48회 / 하반기 150회 실시 완료
개인 심리검사
- 에니어그램, MBTI, OK그램, 이고그램, SCT, HTP 등
- 실적 : 상반기 48회 / 하반기 150회 실시
심리특강 및 집단상담
- 상담이론 심리특강(3회)
- 대인관계 향상 집단 상담
양성평등교육
- 젠더의 의미 및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 제고
신입생 실태조사
- 설문조사를 통한 신입생 대학생활 현황 파악(신입생 136명 실시)
- 학생 프로그램 개발 기초자료로 활용
신입생 단체 심리검사
-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검사 실시(신입생(127명 실시)
4대 폭력예방 교육
- 가정폭력, 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예방 교육
찾아가는 상담소
- 직접 학생 및 직원을 찾아가 심리검사 및 해석을 제공
그 외 상담
- 자살 방지 및 상담 실시(해당자)
- 부모요청 전화 상담
- 성희롱 고충 상담
3.2.2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3.2.2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표Ⅲ-6 2017년도 학생상담센터 운영실적>
- 64 -
평가준거
대학이 국내
·외 대학들과 학술교류협정을 통해 학술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질적으로 교류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국내
·외 대학 학술교류협정 체결 현황
진단결과
교류협정 체결 수 대비 실질 교류현황 부족
(약간미흡)
3.3 국내·외 교류
구분
일본
중국
러시아
베트남
이탈리아
파견
초청
파견
초청
파견
초청
파견
초청
파견
초청
2015년
1
-
3
2
1
-
-
4
-
-
2016년
1
1
1
4
-
2
-
4
-
-
2017년
3
-
-
4
-
2
-
4
3
-
구분
대학 학술교류 협정 수
기관 산학교류협정 수
국내
3
29
일본
7
3
중국
2
1
베트남
1
러시아
2
1
라오스
1
-
미국
-
1
프랑스
1
-
이탈리아
2
-
영국
1
-
독일
1
-
키프로스
1
-
합 계
22
35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 협정 현황
<표Ⅲ-7 최근 3년간 국외대학과의 학생교류 현황 수>
<표Ⅲ-8 대학 학술교류 및 기관 산학교류협정 현황 수>
- 65 -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국내외 대학뿐만 아니라 문화재 관련 여러 유관기관들과의 교류협력을 체결
하였음
■ 국내대학의 학술교류의 경우 국외대학에 비해 사례 수가 미흡한 상황임
■ 기관교류 협정의 경우 대학교류 협정 수에 비해 사례수가 부족함
■ 본교의 교류협력 체결 대학 사례 수에 비해 실질적인 학생교류는 부족함
■ 영어에디터를 채용하여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교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담조직(국제교류지원팀, 국제교류지원센터 등)과 전담
인력이 필요한 상황임
■ 국외대학 및 기관과의 MOU 체결 시 실질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공동연구 및 학술행사, 학생교류 등)
■ 일부 학과의 경우 학과 특성상 국외대학과의 교류가 어려울 수 있으나 향후 본교도
미주지역, 유럽지역 등 다양한 국외지역으로의 내실있는 교류를 늘려가는 것이
중요함
요
약
■ 학생교류의 사례 수는 대학규모와 특성상 적게 나타나고 있음
■ 학생교류의 경우 본교·학과별 특성상 아시아지역의 사례가 대부분이나 최근 유럽
(러시아, 이탈리아)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
■ 2010년대 이전에는 아시아국가 중심으로 교류협력을 체결했지만 2010년대 이후
에는 유럽지역, 미주지역으로의 교류를 점차 확대해가고 있음
■ 또한 국제교류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2017년에 영어에디터(1명)를 채용하여
국제교류 지원에 노력하고 있음
- 66 -
3.4 취업
평가준거
대학은 적정 수준 이상의 졸업생 취업률을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졸업생 취업현황
산출식
졸업생 진학자 입대자 취업불가자 외국인유학생 건강보험직장미가입자명
건강보험 연계취업자 해외취업자 영농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창업자 프리랜서명
×
기준값
55%
진단결과
58%(충족)
공시취업률 최근 3년간 자료 / 단위: 명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비고
졸업생
128
126
121
제외자
20
17
21
대학원 진학자·취업불가능자 등
취업대상자
108
109
100
취업자
57
53
58
취업률
52.8%
48.6%
58%
단위: 명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졸업생
128
126
121
제외자
23
20
32
미취업자
44
40
34
공무원
10
10
11
공공기관
-
-
4
박물관/연구소
8
18
5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업체
29
22
18
문화재분야 작품활동
-
-
7
기타
14
16
10
자체조사 취업률
58.1
62.3
61.8
3.4.1 졸업생 취업률
3.4.1 졸업생의 취업률
<표Ⅱ-9 한국교육개발원 공시 졸업생 취업률>
<표Ⅱ-10 최근 3년간 자체조사 취업률>
- 67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공식취업률은 기준값은 충족하고 있지만, 비교값과 비교하면 미흡한 상황임
■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은 취업분야가 일반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문화재 분야 취업현황이 어려워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취업률이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제도 있음
■ 또한 문화재 현장에서는 석사 이상의 전문인력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대학원 진학자가 늘어나고 있음
■ 연도별 공식 취업률은 해당년도 졸업생 배출 1년 이내의 취업여부만을 조사하므로,
풍부한 현장경험을 요구하는 문화재 분야 특성상 1년 이후의 취업여부가 미반영되며,
개인공방, 관련 소규모 업체 인턴과정 및 프리랜서의 경우 건강보험(DB)에서 제외
되므로 취업자로 집계되지 않는 한계가 있음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졸업생 취업률
65%
62.2%
66%
58%
■ 2015, 2016년도 취업률은 한국교육개발원 및 대학알리미 정보공시 공식 취업률
데이터임
■ 대상: 2015년도 후기(8월), 2016년도 전기(2월) 졸업자
■ 한국교육개발원 공식취업률이 본교는 기준값(55%)을 넘지만, 비교값들 보다는 낮은
실정임
■ 결과:
졸업생 명 제외자 명
취업자 명
× ⇒
■ 최근 조사자료 2년간 우리대학의 취업률은 상승하였으나 타대학 비교값에 비하면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님
- 68 -
평가준거
학생들은 졸업 후 전공 관련 분야에서 취업활동을 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졸업생 취업분야 현황
산출식
전체 취업자 수 명
공무원 공공기관 박물관연구소 문화재 관련 업체 작품활동 취업자 명
×
기준값
80%
진단결과
81.8%(충족)
기준: 2013년도 후기졸업생+2014년도 전기졸업생 (단위: 명)
구분
문화재
관리학과
융합고고
학과
전통건축
학과
전통조경
학과
문화재보존
과학과
전통미술
공예학과
계
졸업생 수
27
15
20
13
16
35
126
대학원 진학
4
-
-
1
1
8
14
제외대상(국가유공자 등)
-
1
-
-
-
-
1
취업
공무원
3
3
1
3
1
-
11
공공기관
-
4
-
-
-
4
8
박물관/연구소
-
-
6
1
4
4
15
문화재 관련 업체
7
2
8
2
3
5
27
전공 작품활동
-
-
-
-
-
2
2
기타
6
2
3
1
-
6
18
취업 및 진학 준비
7
3
2
5
7
6
30
전공일치 취업자 수
10
9
15
6
8
15
63
학과별 전공일치도
62.5%
81.8%
83.3%
85.7%
100%
71.4%
전체 전공일치도
77.7%
기준: 2014년도 후기졸업생+2015년도 전기졸업생 (단위: 명)
구분
문화재
관리학과
융합고고
학과
전통건축
학과
전통조경
학과
문화재보존
과학과
전통미술
공예학과
계
졸업생 수
15
17
24
14
17
34
121
대학원 진학
4
2
3
2
8
8
27
제외대상(국가유공자 등)
5
-
1
-
2
5
13
취업
공무원
2
2
2
5
-
-
11
공공기관
-
4
-
-
-
-
4
박물관/연구소
-
1
-
-
3
1
5
문화재 관련 업체
-
3
9
2
1
3
18
전공 작품활동
-
-
-
-
-
7
7
기타
2
1
4
1
-
2
10
취업 및 진학 준비
2
4
5
4
3
8
26
전공일치 취업자 수
2
10
11
7
4
11
45
학과별 전공일치도
50%
90.9%
73.3%
87.5%
100%
84.6%
전체 전공일치도
81.8%
3.4.2 졸업 후 현장과 전공의 일치도
3.4.2 졸업 후 현장과 전공의 일치도
<표Ⅲ-11 2015년도 학과별 졸업생의 세부 취업분야 현황>
<표Ⅲ-12 2016년도 학과별 졸업생의 세부 취업분야 현황>
- 69 -
진단
및
개선사항
■ 미취업자를 제외한 전체 취업자 중 81.8%가 전공 관련 분야(공무원/박물관/연구소/
문화재 관련업체)에서 근무하고 있어, 기준값을 충족하고 있음
■ 그러나 2015년도 전공일치도의 경우 기준값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치(77.7%)
■ 또한 대학원 진학자를 제외하더라도 미취업자(취업진학 및 진학준비) 비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미취업자에 대한 지원 방안 마련 필요
■ 취업률 개선을 위해 선후배 멘토링 프로그램 등 학교 자체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현장에 대한 간접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할 것임
■ 또한 저학년 때부터 명확한 진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에서의
내실 있는 지원방법 고민 필요
■ 전공일치도를 높이기 위해 전통문화 및 문화재분야의 시장수요에 대해 파악하는
것도 필요
요
약
■ 전공일치도의 경우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므로
중요한 지표임
■ 세부 취업현황은 한국교육개발원 공시 취업률이 아닌 우리대학 자체조사 결과
이므로 공시취업률과는 다를 수 있음
■ 대학원 진학, 취업 및 진학준비 비중이 크게 나타남
■ 졸업생 중 공무원으로 취업한 졸업생의 경우, 대부분 문화재청 및 문화재 관련 기관
에서 근무하고 있고, 문화재청 외의 공무원들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문화재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공관련 취업자로 포함하였음
■ 전공일치도의 경우 취업자 중 전공관련 취업자의 비율을 설정한 것이므로 적은
표본 수 때문에 학과별 전공일치도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
■ 기준값의 근거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를 분석한 한국
직업능력개발원의 자료를 토대로 4년제 전공일치도 수치(73.8%)를 기준으로, 본교는
특수목적대학이기 때문에 7%정도 가중치를 두어 80%로 설정하였음
- 70 -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에게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알맞게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현황
결과
운영
(충족)
구분
주요내용
취업지원실 개소
- 학생 취업지원 전담 공간 마련(상담실, 면접토론실, 정보검색대 등)
온라인 취업정보센터
- 학교 홈페이지 연계 취업지원 사이트 개소
- 온라인 상담, 온라인 입사지원 클리닉 등 지원
지역인재 7급 대비반
- 지역인재 7급 대비반 운영
- 수강료 지원(월 최대 10만원), 모의고사 지원, 특강 실시 등
자격증 취득 지원
- 문화재수리기술자·기능자 강의료, 교재비, 재료비 등 지원
취업골든벨
- 취업지원 제도 및 일반상식 등 문제풀이를 통한 취업제도 정보제공
취업특강
- 실전취업특강, 학과맞춤형 취업특강, 학과자체 취업특강 등 실시
고용노동부
취업성공패키지
- 본교재학생(학부, 대학원생), 부여주민 등 취업성공 패키지 프로그램
기타
- 고용노동연수원 진로탐색 특강 실시
- 충남경제진흥원 청년 심층 컨설팅 운영
- 문화재 관련기업 현황조사 등 DB 구축
- 취업가이드북 제작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졸업생의 취업분야가 일반대학에 비해 한정되어 있고 문화재 취업현장이
어려워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도 존재함
■ 이에 졸업생 취업률 재고를 위해 전통문화·문화재 현장 시장수요에 대한 파악이
필요함
■ 취업지원실을 통해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학생 이용률은 저조한
상황이므로 취업지원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음
■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 제공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도 필요함
요
약
■ 2017년도 4월에는 취업지원실을 개소하여 학생 취업지원에 노력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학생 취업지원을 위해 2016년도부터 전담직원(대학회계직 7급)을
채용하였고 2017년도에는 직업상담사를 채용하였음
■ 다양한 취업지원 제도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이용실적은 저조한
상황임
■ 자체취업지원 프로그램 외에도 외부기관과 연계하여 학생들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3.4.3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현황
3.4.3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현황
<표Ⅲ-13 2017년도 취업지원 프로그램 실적>
- 71 -
진단
및
개선사항
■ 학교 통계자료에 따르면, 매년 합격인원의 10%(2018년도의 경우 19%)정도가 본교
학생들로써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있음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생에 대한 문화재수리기술자 필기시험을 면제해주는 제도가
2005년도부터 폐지되어 최근 몇 년간 수리기술자 합격자 수가 계속해서 감소
하였음
■ 학생과에서는 문화재 관련 자격증을 위한 지원을 늘리고 있음
■ 수리기술자 실측·설계분야의 경우 시험응시자격에 건축사자격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본교의 경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고민과 관계기관과의 협의 또는 개선책 마련 필요함
■ 종목별로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
■ 문화재수리기능·기술 자격증은 본교가 문화재청 소속대학인 만큼 중요한 자격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합격할 수 있도록 독려가 필요함
요
약
■ 문화재 수리기능자 및 수리기술자 현황은 우리대학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지표로
우리대학만의 고유지표임
■ 문화재수리기능자 합격자 수는 연도별로 편차가 나타남
■ 직전 자체평가에서는 2013~2015년도 문화재 수리기술·기능자 자격 합격자 수가
감소추세였지만 2018년도에서는 증가하였음
■ 기준값은 최근 2년(15-16년도)간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함
■ 시험종목별 합격자 수가 편차가 나타나고 있음
구분
문화재수리기능자 합격자 수(명)
문화재수리기술자 합격자 수(명)
계
2016
23
5
28
2017
17
6
23
2018
34
10
44
평가준거
특수목적대인 본교 학생들은 문화재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문화재수리기능자
, 문화재수리기술자 합격 현황
기준값
26명(16-17년도 평균실적)
진단결과
44명(충족)
3.4.4 문화재 관련 자격증 현황
3.4.4 문화재 관련 자격증 합격률
① 문화재 관련 자격증 합격현황
<표Ⅲ-14 최근 3년간 문화재 수리기술·기능자 합격자 현황>
- 72 -
구분
2016
2017
2018
실측설계사보
4
6
5
조경공
-
-
1
보존처리
10
4
16
세척공
3
-
3
철물공
-
-
-
한식목공대목
-
-
1
훈증공
-
-
-
화공
3
3
1
칠공
1
3
-
모사공
-
-
2
도금공
-
1
-
보존과학공
-
-
-
소목
1
-
-
제작와공
1
-
4
표구공
-
-
1
합계
23
17
34
구분
2016
2017
2018
보수
4
4
4
단청
-
-
-
실측·설계
-
-
-
조경
-
-
2
보존과학
1
2
3
식물보호
-
-
1
합계
5
6
10
<표Ⅲ-15 문화재수리기능자 세부분야 합격현황>
<표Ⅲ-16 문화재수리기술자 세부분야 합격 현황>
- 75 -
4.1 교육 기본시설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활동에 필요한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교사를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사시설 확보현황
산출식
기준면적
기본시설 부속시설 연구시설
×
기준값
100%
진단결과
240%(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수도권 외 지역에 위치하며 소규모대학인 경우 교사확보율 산출식 실적이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임
■ 기본시설은 충분히 갖추고 있지만 기본시설에 비해 연구시설은 부족한 상황임
■ 문화재 현장에서의 대학원 이상의 전문인력을 요구에 따라 대학원 정원이 증가하였고
2017년도부터 시행된 교육체제 개편과 관련하여 연구시설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이후 연구시설 및 강의실 부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됨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교사확보율(%)
152.2%
157.7%
174.8%
240.6%
■ 교직원 및 총장 관사, 전통문화교육원(기능교육센터 포함)의 면적은 제외함
■ 거의 모든 대학들이 기준값을 넘기 때문에 의미있는 기준값은 아님
■ 결과:
기본면적
기본시설 부속시설 연구시설
× ⇒
■ 우리대학은 대학알리미 통계 전체평균, 국공립 대학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
평균 등을 월등히 앞서는 수준임
■ 기본시설에는 일부 연구시설도 포함
구분
기본면적(m2)
(D)
기본시설(m2)
(A)
부속시설(m2)
(B)
연구시설(m2)
(C)
교사확보율(재학생 기준)
(A+B+C/D*100)
2017
18,325
26,629.09
14,056.77
3,404.1
240.6%
4. 교육시설
4.1.1 교사 확보율
4.1.1 교사 확보율
<표Ⅳ-1 교사확보율>
- 76 -
평가준거
대학은 강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실을 확보하고
, 강의실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일반강의실 현황
산출식
재학생 수 명
일반 강의실 총면적
기준값
1.2m2
진단결과
3.4m2(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일반강의실 수는 36개로 36/9(대학원 포함)=과당 평균 4개의 강의실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임
■ 우리대학의 수업규모는 소규모 수업(15명 이하)이 많기 때문에 효율적인 강의를
위해서는 일반강의실 보다는 세미나형 강의실, 계단식 강의실 등 소규모 강의에
적합한 강의실을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함
■ 강의실 모두 멀티미디어지원 시설(강의용 컴퓨터 혹은 노트북, 프로젝터)을 갖추고
있어, 원활한 수업진행시설을 갖추고 있음
■ 우리대학은 이론 강의를 위한 일반강의실 보다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는
실험·실습실이 대다수를 차지함
■ 실험·실습실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강의실 확보수준은 양호한 수준
이나 학과 특성(이론중심/실기·실습중심)에 따라 몇몇 학과는 강의실이 부족할 수
있음
■ 특히 특강이나 외부강연 등을 실시할 대형강의실 시설은 부족한 상황이고 이론중심
학과(문화재관리, 융합고고, 무형유산 등)에 충분한 이론 강의실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
■ 대학원의 경우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이후(2020년) 일반강의실은 물론 실험·실습
연구공간을 확충하여 학생들의 연구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요
약
■ 재학생 1인당 강의실 면적은 실제 강의가 이루어지는 일반 강의실과 세미나실 포함
■ 강의실 확보율은 학부와 대학원 강의실, 세미나실 현황으로 산출함
■ 결과:
명 학부 명 대학원
일반강의실 총 면적
⇒
■ 강의실 확보율과 실험·실습실 확보율의 경우 최근 3년간 산출근거(재학생 수, 강의실
및 실험·실습실)가 변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2017년도 결과만을 산출함
구분
강의실 수
면적(m2) (A)
재학생 수 (B)
(학부+대학원)
재학생 1인당 면적(m2)
(A/B)
일반강의실
36
2313.07
676
3.4
4.1.2 강의실 확보율
4.1.2 일반 강의실 확보율
<표Ⅳ-2 강의실 확보 현황>
- 77 -
평가준거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실험
·실습실의 쾌적한 환경 및 안전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실험
·실습실 확보현황
산출식
재학생 수 명
실험·실습실 총면적
기준값
2.5m2
진단결과
10.2m2(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학과 특성상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재보존과학과 순으로 실험·실습실을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음
■ 문화재관리학과의 경우, 학과 특성상 이론수업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실험·실습실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전체적인 실험·실습 확보율은 우수한 수준이지만 학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특히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실험·실습실 확보율은 매우 부족한 상황
■ 학과 특성별로, 다양한 실험·실습실을 확보하고 있으며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향후 실험·실습실을 더 확보하는 것이 중요
■ 실험·실습실 운영 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전문경력관 채용을 통해
안전관리에 집중하고 있음
■ 향후 건립될 대학원종합연구관을 통해 대학원 전용 실험·실습실을 마련함으로써
역량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요
약
■ 재학생 1인당 실험·실습실 면적은 타대학과의 비교할 통계가 없음
■ 학과실습실은 실질적으로 대학원과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학원생 포함하여 산출
■ 결과:
학부 명 대학원 명
실험·실습실 총 면적
⇒
■ 재학생 1인당 실험·실습실은 기준값의 4배가 넘는 우수한 실적임
■ 중요 기자재가 있는 실습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실습실은 수업 외 시간에도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학과
실험·실습실 수
실험·실습실 면적(m2)
문화재관리학과
-
-
융합고고학과
11
874
무형유산학과
-
-
전통미술공예학과
22
2,789
전통건축학과
6
914
전통조경학과
7
845
문화재보존과학과
21
1149
대학원
2
136
공용
2
167
합계
71
6,874
4.1.3 실험·실습실 확보 현황
4.1.2 실험·실습실 확보 현황
<표Ⅳ-3 실험·실습실 확보 현황>
- 78 -
학과명
실습실 명칭
면적(m2)
위 치
설립년도
전통조경학과
조경재료 및 실측설계실험실
64.68
E-2동 1층(E-109)
2002
조경제도실4
97.02
E-2동 2층(E-215)
2002
조경제도실3
97.02
E-2동 2층(E-214)
2002
컴퓨터설계실습준비실
32.34
E-2동 2층(E-213)
2002
조경제도실2
97.02
E-2동 2층(E-212)
2002
조경제도실1
97.02
E-2동 2층(E-211)
2002
유리온실 및 야외실습장
369.6
야외(교육원 인근)
2005
전통건축학과
컴퓨터설계실습실
130.35
E-2동 2층(E-216)
2002
건축설계실4
97.02
E-2동 2층(E-217)
2002
건축설계실3
97.02
E-2동 2층(E-218)
2002
건축설계실2
97.02
E-2동 2층(E-220)
2002
건축설계실1
97.02
E-2동 2층(E-221)
2002
구조, 치목실습동
396
야외(부재창고 옆)
2004
전통미술
공예학과
전통도자실2
68.64
D동 1층(D-107)
2002
전통도자실3
63.03
D동 1층(D-108)
2002
천연염색실
63.03
D동 1층(D-109)
2002
금속공예실1
63.03
D동 1층(D-111)
2002
금속공예실2
68.64
D동 1층(D-112)
2002
전산실습실
119.46
D동 1층(D-105,106)
2006
침선실
72
D동 1층(D-102-1)
2009
전통섬유실습실1
72
D동 1층(D-103-1)
2009
전통섬유실습실2
72
D동 1층(D-100-1)
2009
전통섬유실습실3
72
D동 1층(D-101-1)
2009
직조실
72
D동 1층(D-104-1)
2009
입체조형실
72
D동 1층(D-105-1)
2009
전통회화실1
144.1
D동 2층(D-201-1)
2009
전통회화실2
72
D동 2층(D-200-1)
2009
전통회화실3
72
D동 2층(D-204-1)
2009
배접실
36
D동 2층(D-203-1)
2009
번조실
80.85
E-2동 1층
2002
모형제작실
64.68
E-2동 1층
2002
목공기계실
86.13
F동 1층
2002
전통도자가마실
138.6
교내(야외)
2002
금속주조단조실
105.6
교내(야외)
2002
전통미술공예실습장(10개실)
1,112.1
교내(야외)
2003
융합고고학과
도․토기복원실
77.55
G동 1층(G-108)
2000
유물보관실
129.36
G동 1층
2000
가상유적복원실
88.44
G동 2층(G-215)
2000
고고학실습실
60.39
G동 1층(G-105)
2000
고고학실습실
60.39
G동 1층(G-106)
2000
유물정리실1
133.92
G동 신축2층(G-204)
2006
유물정리실2
108
G동 신축2층(G-205)
2006
쾌속조형기 운영실
54
G동 신축2층(G-206)
2006
가상유적복원실2
54
G동 신축2층(G-203)
2006
유적조사연구실
54
G동 신축2층(G-202)
2006
도면정리실습실1
54
G동 신축2층(G-201)
2006
문화재보존과학과
X-선 실험실
20.30
F동 1층(F-105)
2002
지류섬유실1
60.39
G동 1층(G-101)
2000
지류섬유실2
60.39
G동 1층(G-102)
2000
회화실
77.55
G동 1층(G-107)
2000
물리, 화학실
77.55
G동 1층(G-109)
2000
<표Ⅳ-4 실험·실습실 세부현황>
- 79 -
학과명
실습실 명칭
면적(m2)
위 치
설립년도
생물실
77.55
G동 1층(G-110)
2000
전처리실
35.31
G동 1층(G-111)
2000
ICP실
11.22
G동 1층(G-115)
2000
습식분석실
22.44
G동 1층(G-117,116)
2000
시료전처리실
22.44
G동 1층(G-118,119)
2000
전처리실2
22.44
G동 2층(G-216,217)
2000
약품실
22.44
G동 2층(G-218,219)
2000
기구실
11.22
G동 2층(G-220)
2000
분석실1
77.55
G동 2층(G-214)
2000
환경실
77.55
G동 2층(G-213)
2000
분석실2
77.55
G동 2층(G-212)
2000
라만분석실
35.31
G동 신축1층(G-101)
2006
보존과학연구소
54.12
G동 신축1층(G-102)
2006
금속실1
107.91
G동 신축1층(G-103)
2006
금속실2
108
G동 신축1층(G-104)
2006
목재실
90.7
G동 신축1층(G-105)
2006
교양기초학부
사진실습실(암실 포함)
64.56
D동 3층(D-303-1)
2002
어학실습실
108
D동 3층(D-301-1)
2002
대학원
대학원생 실습실(조각)
64
D동 1층(D-113)
2002
대학원생 실습실(회화)
72
D동 2층(D-202-1)
2009
공통
통합전산실습실1
83.63
C동 1층(C-111)
2002
통합전산실습실2
83.63
C동 1층(C-110)
2002
- 80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학교 규모에 비해 충분한 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음
■ 다양한 기자재를 통해 학생들이 실험·실습을 활발히 하고 있음
■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후 대학원생들을 위한 연구장비·기자재 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
요
약
■ 기자재 구입비는 실험·실습실 비품, 재료비 등은 제외한 실험·실습 기자재로 한정함
■ 2015~2017년 3년 동안의 기자재 구입비는 총 2,425,620천원으로 나타남
■ 2015~2017년도 총 기자재구입비와 학부+대학원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값
■ 본교 기자재의 경우 현재 대학원종합연구관이 건립 중이기 때문에 학부 기자재를
대학원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학원 재학생까지 포함함
■ 기준값의 경우 우리대학은 51천원
■ 기준값= 천원 천원 × 천원 ※ 2017년도 등록금 기준
■ 결과 =
최근 년간 재학생 수 명
최근 년간 실험·실습기자재 구입비 천원
천원
■ 기준값을 월등히 뛰어넘는 우수한 실적임
평가준거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에 대한 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실험
·실습 기자재를 구비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실험
·실습실 기자재 구비현황
산출식
최근 년간 재학생 수 명
최근 년간 실험·실습기자재 구입비 원
기준값
자연
-인문 평균 등록금
차액의
15%원=51천원
진단결과
1,247천원(충족)
구분
기자재 구입비(단위: 천원)
2015
808,345
2016
808,607
2017
808,668
합 계
2,425,620
4.1.4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 정도
4.1.4 실험·실습실 기자재 현황
<표Ⅳ-5 최근 3년간 기자재 구입 현황>
- 81 -
평가준거
대학은 실험
·실습 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안전관리 장치를 구축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안전관리 현황
진단결과
안전관리 전담인력
·인프라 구축 노력(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해 전담인력을 채용하여 기존에 미흡했던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안전관리 시스템은 실기·실습이 다수인 본교에 매우 중요한 부분임
■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시 연구시설이 늘어나는 만큼 이에 대한 안전시스템 구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함
■ 주기적으로 연구실 안전관리를 실시하고 연구실 안전 중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함
요
약
■ 2016년도 이전에는 연구실 안전관리 전담인력이 없어, 연구실 안전관리 분야에
미흡했으나 2016년부터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한 전문경력관 1명(교무과)을 채용하여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에 노력하고 있음
■ 특히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실 안전환경 개선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음
■ 연구실 안전교육, 안전 캠페인 공모전을 실시하여 연구실 이용자들에 대한 연구
안전 인식 형성에 노력하고 있음
■ 분기별로 연구실 안전점검을 통해 연구실 안전환경을 점검하고 이상 유무 여부에
대한 개선을 실시하고 있음
■ 또한 연구실 안전관리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산시스템 마련을 진행하고 있음
4.1.5 연구실 안전관리 체계 구축
- 82 -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숙사 시설을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기숙사 수용 현황
산출식
재학생 수 명
수용가능인원 명
×
기준값
11%
진단결과
108.6%(충족)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기숙사 수용률
30.8%
25.6%
47.1%
108.6%
■ 결과:
재학생 수 명
수용가능인원 명
× ⇒
■ 대학원기숙사 신축으로 인해 기숙사수용률이 100% 넘게 나타나고 있음
■ 대학원기숙사 개소 전인 2016년도에는 대학원들 대부분 외부기숙사(부여읍내)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학부생 기숙사 수용률만 산출하였음
구분
실 수
수용 가능인원
현재 입사인원
비고
호고재(3인실)
45
135
114
여학생 기숙사
시습재(2인실)
36
72
66
이첨재(2인실)
34
68
61
호연재(2인실)
18
36
33
신축동(2인실)
11
22
22
문소재(2~3인실)
53
154
148
남학생 기숙사
이첨재(2인실)
10
20
20
신축동(2인실)
20
40
39
학구재(2인실)
90
178
105
대학원 기숙사
합 계
317
725
608
-
구분
수용가능 인원
재학생 수
기숙사 수용률
2016
545
553(대학원생 미포함)
98.5%
2017
727
669(대학원생 포함)
108.6%
4.1.6 기숙사 수용률 및 학생식당 개선
4.1.6 기숙사 확보 현황 및 수용률
<표Ⅳ-9 최근 2년간 기숙사 수용률>
<표Ⅳ-10 최근 기숙사 현황 및 수용인원>
- 83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모든 재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 시설을 갖추고 있음
■ 재학생 100%를 기숙사에 유치하는 것은 전국적으로도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우수한 실적임
■ 기숙사 대부분도 2인실로 구성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리모델링을 거쳐, 학생들이
쾌적하게 기숙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그러나 학부 기숙사 시설의 경우 시설이 낙후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
■ 정량지표인 기숙사 수용률은 충족하였지만 학부 기숙사 시설 및 학생식당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함
■ 학생식당 또한 개교 이후 큰 변화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머물고 싶은
학교공간이 될 수 있도록 쾌적한 주거환경 및 식사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 또한 대학원기숙사를 통해 우수한 대학원생을 유치하고 있으며 대학원종합연구관
완공 이후 더욱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됨
■ 최근 학생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RC(Residential College)프로그램이 새로운
대학교육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학생이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대학의 특성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2016년도 학부생의 경우 100% 가까운 기숙사 수용률을 보이고 있고 등록 후 휴
학생과 등록 후 실제 학교를 다니지 않는 학생들을 제외하면 학교에 다니는 학생
들은 100%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음
■ 2017년 1학기부터 대학원기숙사를 개원하여 대학원생도 거의 대부분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어, 학생들의 주거비 부담 경감에 기여하고 있음
■ 우리대학의 기숙사수용률은 기준값은 물론, 비교값인 4년제 전체대학 평균, 국공립
대학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평균 등을 월등하게 뛰어 넘는 수준으로 전국
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례임
■ 학생식당의 경우 우리대학의 재학생 수가 타대학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에 자체적
으로 운영하기 힘들기 때문에 외부업체에 의존하고 있음
- 84 -
평가준거
대학은 대학원 연구역량 강화 및 교육을 위한 독립적인 종합연구관
건립을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대학원 종합연구관 추진 현황
진단결과
계획대로 추진
(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추진동력 확보를 위해 해당년도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
해야할 것임
■ 연구관 건립 이후 부대시설(실습실, 연구실, 연구기자재 등) 마련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함
■ 연구관 건립을 통해 대학원생들의 독자적 실습 및 연구공간 마련으로 연구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요
약
■ 본교는 2013년 대학원 개원 이후 대학원생들의 실기·실습 및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대학원 전용 연구관 건립 확보를 위해 힘써왔음
■ 현재 대학원종합연구관은 2020년 완공을 목표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음
■ 대학원종합연구관 추진경과는 계획대로 운영되고 있음
구분
내용
규모
지하 1층, 지상4층, 연면적(7,711.65m2)
총 사업비
18,531백만원(
사업기간
2017년 ~ 2020년
추진경과
-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타당성 연구용역 추진(`15년 2월)
- 건립설계 공모 시행 및 업체 선정(`17년 4~5월)
- 건립설계 용역시행(`17년 5월 ~ `18년 2월)
- 1차공사 계약 및 착수(`18년 7월~)
향후계획
- 1차공사 준공(`19년 1월)
-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완료(`20년 8월)
4.1.7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4.1.7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표Ⅳ-11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개요>
- 85 -
2017년도 결산 기준 / 단위: 원
구분
자료구입비
재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국내
국외
계
단행본
129,857440
65,142,560
195,000,000
291,479
연속간행물
5,574,000
12,289,000
17,863,000
26,701
비도서자료
11,496,900
0
11,496,900
17,185
전자자료
전자저널 및
웹 DB
39,572,500
15,760,000
55,332,500
82,709
기타
59,560,180
0
59,560,180
89,028
합 계
-
-
339,252,580
507,104
구분
직원현황(명)
도서관 직원 1인당 재학생 수
정규직
(사서직 공무원)
비정규직
계
사서자격증 소지자
2
5
7
-
사서자격증 미소지자
-
-
-
-
합 계
2
5
7
95.2명
4.2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숙사 시설을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대학은 학생들에게 적합한 자료와 학술
DB를 충분히 지원하고 있는가?
산출식
학부 정원내외 대학원 재학생 수 명
자료구입비 원
기준값
54,000원
진단결과
507,104원(충족)
구분
소장자료(건)
단행본
정기간행물
비도서
전자책
전자학술지
계
2016
198,207
30,432
15,091
6,241
16
249,987
2017
211,161
31,544
15,519
8,460
16
266,700
4.2.1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4.2.1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표Ⅳ-12 재학생 1인당 연간 자료 구입비>
<표Ⅳ-13 도서관 직원 현황>
<표Ⅳ-14 최근 2년간 도서관 소장자료 현황>
- 86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도서관은 타대학에 비해 재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가 5배 정도로 매우
높음
■ 우리대학의 재학생 수는 적지만, 재학생 수 대비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많은
학술정보를 자료를 제공·보유하고 있음
■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을 계기로 대학원 교육이 활발해지는 만큼 학술DB 수요를
파악하고 확충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우리대학 도서관 직원 당 학생 수 95.2명으로 도서관 직원확보가 타대학에 비해
우수한 수준이나 특수목적대 특성상 전공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사서직을 충원
하는 것도 필요함
■ 전문성을 갖춘 사서 충원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분야 학술정보지원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을 것임
■ 이에 도서관의 전문학술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우리대학의 특수
전문분야(전통문화 또는 문화재)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사서직 채용에 대한
고민도 필요함
■ 도서관의 직원들이 모두 사서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 도서관 서비스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재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
114,824원
119,895원
118,817원
507,104원
■ 결과:
재학생 수 학부 명 대학원명
자료구입비 원
⇒ 원
■ 대학기관평가인증 통계에서는 학생 1,000명 당 도서관 직원 수를 산출하지만
우리대학은 전체 재학생 천명 미만 대학이기 때문에 도서관 직원 1인당 학생 수로
산출하였음
■ 도서관 직원들 모두 사서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음
■ 비교값에 비해 본교의 수치가 높은 이유는 비교대학들에 비해 본교의 재학생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임
- 89 -
5.1 재정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평가원이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교육비를 환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예
·결산 내역 등 학교 회계 현황
산출식
등록금 천원
총 교육비 천원
×
기준값
100%
진단결과
1,503%(충족)
단위: 천원
구분
재학생 수
(학부+대학원)
총 교육비
재학생 1인당
교육비
2016년도
676
30,764,408
44,882
2017년도
664
32,686,892
49,227
단위: 천원
총 교육비(A)
등록금(B)
교육비 환원율(C)
30,764,408
2,158,458
1,425%
(C=A/B*100)
단위: 천원
총 교육비(A)
등록금(B)
교육비 환원율(C)
32,686,892
2,174,772
1,503%
(C=A/B*100)
5. 대학재정 및 경영
5.1.1 교육비 환원율
5.1.1 교육비 환원율
① 교육비 환원율
<표Ⅴ-1 2016년도 교육비 환원율>
<표Ⅴ-2 2017년도 교육비 환원율>
<표Ⅴ-3 재학생 1인당 교육비 현황>
- 90 -
요
약
단위: 천원
구분
사립대학
국공립대학
국립대법인·
특별법법인
전통대
재학생 1인당
교육비(2017년)
13,006
14,519
60,353
49,227
■ 2016년도 까지는 각 대학의 교육비 환원율(%)을 비교할 수 있었지만 2017년도
이후 비교 데이터가 없어, 재학생 1인당 교육비를 사립대, 국공립대, 국립대법인·
특별법법인 세 유형과 비교하였음
■ 교육비 환원율의 경우 국가예산이 지원되는 국공립대가 대부분의 사립대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음
■ 본교는 재학생 수가 적고 등록금도 저렴하기 때문에 등록금 대비 학생 1인당 투입되
는 교육비 수준은 전국의 타대학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임
■ 본교는 대학회계(등록금 수입) 보다는 국가지원금 재정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음
■ 발전기금의 경우 2017년까지는 사용유예 상태였기 때문에 사용 실적이 없음
■ 본교의 경우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특수목적대이기 때문에 재학생 1인당 교육비가
일반국공립대학이나 사립대학의 비교값 보다는 월등히 높은 수준임
■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대학들은 일반대학에 비해 적은 인원대비 특수목적 달성을 위해
많은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유리함
진단
및
개선사항
■ 직전 자체평가에 비해 교육비 환원율 수치가 상승한 것은 대학원연구관 건립 예산이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분석함
■ 우리대학의 재학생 1인당 교육비 및 교육비 환원율은 사립대학 및 일반국공립대와
비교하면 월등히 우수한 수치임
■ 교육비 환원율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함
■ 우리대학은 일반대학에 비해 우수한 교육인프라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특수목적의
위상에 걸맞은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 중요함
- 91 -
2018년 8월 기준(단위: 천원)
구분
기부금
예금이자 소득
계
2016
10,740
14,367
25,107
2017
3,080
10,870
13,950
합 계
13,820
25,237
진단
및
개선사항
■ 발전기금의 경우 해 마다 기부금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고정적 기부금 유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원활한 발전기금 모금을 위해 명망있는 발전기금 이사를 섭외하는 것에 대한
학교차원의 고민이 필요함
■ 발전기금 모금 활성화를 위한 방안(예-동문회, 교직원 행사 등) 마련 필요
■ 지역사회와의 교류협력을 통해 발전기금을 확충하는 것도 필요함
요
약
■ 우리대학은 발전기금 직원, 교원, 학생, 학부모, 유관기관 및 업체 등을 통한 다양한
모금활동을 실시하고 있음
■ 2016년도에 비해 2017년도 발전기금 기부금이 줄어들긴 했지만 이는 해마다 편차가
나타나는 현상이고 예금이자 소득액도 이율에 따라 편차가 나타나고 있음
■ 2018년도 6월 기준 발전기금 총액은 1,659,203천원을 보유하고 있음
■ 발전기금의 경우 2017년도까지 사용유예 상태였기 때문에 교육비 환원율 수치에 포함
되지 않았음
② 발전기금 현황
<표Ⅴ-4 대학 발전기금 현황>
- 92 -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은 위한 여러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내외부 장학제도 현황
진단결과
다양한 장학제도 운영
교내 장학금 종류
내용
입학성적 우수장학금
- 입학성적 전체 수석·차석·학과수석
- 직전학기 성적 3.5(B+)이상
우수인재 양성 장학금
(등록금 면제)
공통자격
- 신입생: 입학성적 순위 60% 이내
- 재학생: 직전 학기 15학점 이상 이수, 8학기 등록 이내
등급
전액
- 상위 15% 이내
일부
- 상위 20%이내, 상위 60% 이내
보훈장학금
- 국가유공자 본인 및 자녀, 직전학기 평점 2.0 이상
공로장학금
- 총학생회장, 총학생회 부회장, 신문국장, 방송국장, 학회장
- 동아리연합회장, 졸업준비위원장, 홍보대사회장, 총학생회 국
장급 이상 간부
- 직전학기 평점 2.5 이상
공모전 수상 장학금
- 공모전 수상자
어학능력 우수자 장학금
- 영어, 한문, 일어, 중국어, 프랑스어 등 어학시험에서 대학
이 정한 일정 점수 이상을 충족한 자
자격증 취득 장학금
- 자격증 취득자
봉사, 근로장학금
- 교내 봉사 및 근로 학생 장학금
어학연수 장학금
- 1학기 이상 수료자
- 직전학기 평점 3.0 이상
- 연수 후 일정 기준 이상 성적 상승자
- 일정 수준의 외국어 능력을 갖춘 자
교환학생 체제비 지원금
(자대학 → 타대학)
- 2학기 이상 36학점 이상 수학한 자
- 이수 학기 평점 3.0 이상
- 외국대학에 교환학생으로 선발된 자
- 파견 국가 언어로 수업 수강이 가능한 자(일정 점수 기준)
교환학생 수학보조금
(타대학 → 자대학)
- 외국인 초청 교환학생
버디장학금
- 외국인 교환학생의 수학 및 적응에 도움을 준 자
우수인재학업 보조비
- 학과 및 학년별 성적 우수자(1~3등)
문화재수리기능자·기술자 장학금
- 문화재수리기능자·기술자 취득자
- 직전학기 성적 평점 평균 2.0 이상
가계 곤란자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자 중 직전학기 평점 2.0 이상
장애학생 장학금
-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장학금
가족 장학금
- 부부 및 형제·자매 2인 이상 동시 수학자
특별일시 장학금
-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제적 곤란자
무형문화재이수자 장학금
- 국가 또는 시·도 무형문화재 교육이수자
- 직전학기 성적 평점 평균 2.0 이상
우수인재 학업보조비
- 학년별 성적 1~3등에 해당하는 자
5.1.2 장학제도
5.1.2 장학제도
<표Ⅴ-5 교내 장학제도 현황>
- 93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 대학은 다양한 장학제도를 운영하여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독려
하고 있음
■ 공모전 수상, 문화재 수리기능·기술자 자격증 장학금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전공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유관기관과 교류를 통해 다양한 외부장학금을 유치하는 것이 필요함
■ 문화재보존과학, 전통미술공예, 전통건축 외의 학과를 위한 외부장학금 제도를
발굴할 필요가 있음
요
약
■ 우리대학은 다양한 내·외부 다양한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공모전장학금, 문화재수리기능·기술자 장학금으로 학생들이 활발한 전공활동을
하도록 독려하고 있음
■ 직전 자체평가(2016년도)에 비해 외부장학금 종류가 줄어들었음
* 국가장학금 제외
외부 장학금 종류
내용
(재)부여군굿뜨래장학회
- 부여출신으로 학업성적 우수자
(사)국립민속박물관회
- 민속분야에 열의가 있는 학생
㈜한켐
- 문화재보존과학 전공자(대학원 포함) 중 성적 우수 및 선행자
영산문화재연구소
- 문화재보존과학 전공자(대학원 포함) 중 성적 우수 및 선행자
(재)예올
- 전통미술공예(대학원 포함)를 전공자 중 성적 우수자
㈜희림건축사사무소
- 전통건축을 전공한 학생 중 성적 우수자
<표Ⅴ-6 외부 장학제도 현황>
- 94 -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하도록 하는 한편 학업을
독려하기 위하여 평가원이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장학금 지급 현황
산출식
등록금 천원
장학금 천원
×
기준값
10%
진단결과
50.7%(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비교대학들의 약 2배가 넘는 수준의 장학금 지급률을 보이고 있음
■ 장학금 지급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학제도를 통해 장학금 수혜율 또한
102%로 우수한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장학금 지급률은 지난 4학기 동안 근소한 차이를 보이지만, 꾸준히 높은 수준의
지급률을 유지하고 있음
■ 그러나 장학금 지급율이 너무 높을 경우 자체수입금 대학재정의 저해요소가 되기
때문에 다른 재정(발전기금 등)을 확충하는 것이 중요함
요
약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장학금 지급률
22%
20.9%
24.8%
50.7%
■ 기준값은 가장 최근 값인 2017년도 2학기 기준임
■ 장학금 지급률은 등록금대비 장학금 지급금액임
■ 외부 장학금 중 국가장학금(국가장학금Ⅰ유형, 국가근로장학금의 80%) 및 지자체
장학금(부여군 굿뜨레장학금)은 제외하였음 ※대학기관인증평가 산출 기준 참조
■ 결과:
천원
천원
× ⇒
■ 우리대학의 장학금 지급률은 50.7%로 타대학들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실적임
구분
지급액
(단위: 천원)
재학생 수
등록금 총액
(단위: 천원)
장학금 지급률
2016-1학기
365,880
557
902,931
40.5%
2016-2학기
372,690
517
821,633
45.3%
2017-1학기
381,559
543
869,917
43.8%
2017-2학기
416,496
518
820,709
50.7%
5.1.3 장학금 비율
5.1.3. 장학금 비율
<표Ⅴ-7 장학금 비율>
- 95 -
평가준거
대학은 예산편성 및 집행
, 대학경영에 대한 감사제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감사제도 현황
진단결과
감사제도 운영
(충족)
5.2 감사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문화재청 감사, 국정감사, 회계법인을 통한 산학협력단 감사 등의
외부 감사를 받고 있음
■ 내부감사 제도는 학교 자체적으로 보안감사, 재정위원회를 통한 학교운영 및
회계에 관한 사항을 자체적으로 감사하고 있음
■ 재정위원회를 개최하여, 학교운영 및 회계에 관한 사항들을 점검하고 지적사항들을
반영하여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요
약
■ 우리대학은 문화재청 소속기관으로서 문화재청 관련 감사제도 및 내부감사 제도를
통해 학교운영 및 예산·회계에 대한 감사제도를 실시하고 있음
■ 자체적으로도 재정, 보안, 학교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들을 점검하는 체계를 마련
하고 있음
구분
주기
주요내용
비고
문화재청 자체감사
2년
학교 운영사항 감사
문화재청 복무감사
수시
복무 및 공직기강 감사
취약시기, 제보에 따른 감사
재정위원회 감사
1년
재정 및 대학회계 운영 감사
당연직(6명), 일반직(교수,
직원, 학생, 학부모 포함9명)
산학협력단 감사
1년
연구비 관리 현황
회계법인을 통한 감사
국정감사
1년
학교운영 전반
5.2.1 감사제도
5.2.1 감사제도
① 감사제도 현황
<표Ⅴ-8 감사제도 현황>
- 96 -
평가준거
대학은 감사결과를 대학운영에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 그 결과를
대내
·외에 공개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감사결과 활용 내역
진단결과
감사결과 활용
(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감사결과 지적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부서에 통보하고 내부적으로 현안을 공유
■ 우리대학은 정기적인 내·외부 감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적사항들에 대해서는
대학운영에 반영하고자 후속조치를 마련하여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감사결과의 대외적인 공개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개청구가
있을 경우 심의·의결을 통해 공개하도록 하고 있음
요
약
■ 우리대학은 각종 감사제도 결과를 내부적으로 공유하고 개선하고자 후속조치를
마련하고 있음
■ 감사결과를 통해 미흡분야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매년 지적되는
전임교원 확보는 실질적인 조치(2017년 전임교원 3명 채용)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감사 년도
감사대상
감사기관
감사유형
개선사항 및 활용현황
2016
산학협력단
회계법인
내부감사
-
2016
한국전통문화대
국회
국정감사
- 충분한 전임교원 확보
2017
한국전통문화대
국회
국정감사
- 충분한 전임교원 확보
- 실습·취업연계 방안 마련 및 취업률 제고
- 실습위주의 전통공예기술 전수 필요
- 맞춤형 창업교육 방안 마련
2017
산학협력단
회계법인
내부감사
5.2.2 감사결과 활용
5.2.2 감사결과 활용
① 감사결과 반영
<표Ⅴ-9 감사제도 활용 현황>
Ⅳ
자체평가 결과 요약 및 논의
1. 요약
1) 전체 평가결과 요약
2) 주요 정량지표 타대학 비교
3) 선행 자체평가와 비교
4) 역대 자체평가와 비교
2. 논의 및 개선사항
- 99 -
영 역
평가부문
특성
평가지표
기준값
평가결과
정성 정량
1. 대학사명 및
발전계획
1.1 대학사명 및
교육목표
●
대학 설립목적 및 교육목표
정성지표
충족
1.2 대학발전계획
●
대학발전계획 수립
정성지표
충족
2. 교육·연구
2.1 교육과정
●
교육체제 개편 안착
(전공교육 안정화)
정성지표
충족
●
교수
·학습지원 개선
정성지표
약간미흡
●
수업규모
62.9%
68.8%(충족)
●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 편성
·운영
정성지표
충족
●
실험
·실습 및 현장실습교육지원
정성지표
충족
2.2 교원
●
★전임교원 확보율
61%
78.3%(충족)
●
현장전문가 활용
정성지표
충족
●
교원인사제도
정성지표
충족
●
시간강사 처우 및 복지
45,000원(충족)
70,800원(충족)
2.3 연구
●
교원 연구실적 및 연구비
국내논문
(0.35건)
1.57건(충족)
국외논문
(0.05건)
0.333건(충족)
저역서
(0.07건)
0.363건(충족)
연구비
(10,000천원) 64,254천원(충족)
●
교원 연구지원 현황
정성지표
충족
3. 학생 및 교육성과
3.1 입시
●
입시제도
정성지표
충족
Ⅰ. 전체 평가결과 요약
1) 자체평가 지표별 달성여부
❍ 정량지표 기준값은 기본적으로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 적용
- 전공일치도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기준값 자체 설정
- 100 -
영 역
평가부문
특성
평가지표
기준값
평가결과
정성 정량
●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95%
96.4%(충족)
●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80%
94.8%(충족)
●
입시프로그램 개발
정성지표
미흡
3.2 학생지원
●
학생 자치활동 지원
정성지표
충족
●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정성지표
충족
3.3 국내·외 교류
●
국제교류 및 국내교류
정성지표
약간 미흡
3.3 취업률 및 취업지원
●
졸업생 취업률
55%
55%(충족)
●
전공일치도
80%
81.8%(충족)
●
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정성지표
충족
●
문화재 자격증
(기능자, 기술자)
26명
44명(충족)
4. 교육시설
4.1 교육·연구기반
●
★교사확보율
100%
240%(충족)
●
강의실 확보
1.2m2
3.4m2(충족)
●
실험
·실습실 확보
2.5m2
10.2m2(충족)
●
실험
·실습 기자재 구비 정도
51천원
1,247천원(충족)
●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정성지표
충족
●
기숙사 수용률 및 학생식당
11%(기숙사 수용률)
108.6%충족
●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정성지표
충족
●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54,000원
507,104원(충족)
5. 대학재정 및 경영
5.1 재정
●
★교육비 환원율
100%
1,503%(충족)
●
장학제도
정성지표
충족
●
★장학금 비율
10%
50.7%(충족)
5.2 감사
●
감사제도
정성지표
충족
●
감사제도 활용
정성지표
충족
평가영역
: 5
약간미흡
2(교수·학습, 국내외교류), 미흡1(입시 프로그램)
- 101 -
2) 주요 정량지표 타대학 비교
<타대학 비교가능 정량지표 현황>
❍
대학알리미 데이터 기반
❍
소속대학전체
,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 한예종 등 비교
주요 지표
전체 평균
국공립
대학 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 평균
전통대
2. 교육·연구
전임교원 확보율
74.8%
73.8%
76.8%
78.3%
시간강사 강사료
54,703원
72,236원
50,403원
70,800원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
0.50건
0.62건
0.47건
1.57건
전임교원 1인당
국외논문 실적
0.235건
0.374건
0.10건
0.333건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
0.100건
0.094건
0.133건
0.363건
전임교원 1인당
교외연구비 실적
41,161천원
74,990천원
21,099천원
64,254천원
3. 학생 및
교육성과
신입생 충원율
95.8%
99.6%
90.1%
96.4%
재학생 충원율
94.2%
102.3%
85.6%
94.8%
졸업생 취업률
65%
62.2%
66%
58%
4. 교육시설
교사확보율
152.2
157.7%
174.8%
240.6%
기숙사수용률
30.8%
25.6%
47.1%
108.6%
재학생 1인당 연간
자료구입비
11,4824원
119,895원
118,817원
507,104원
5. 대학재정 및
경영
장학금 비율
22%
20.9%
24.8%
50.7%
5. 대학재정
및 경영
재학생 1인당 교육비
사립대
국공립
*국립대법인
·특별법법인
49,227천원
13,006천원
14,519천원
60,363천원
*서울대, 인천대(국립대 법인) / 한국과학기술원, 대구경북·울산·광주과학기술원(특별법 법인)
※하위분야 : 졸업생 취업률
※우수분야 : 논문 및 연구비 실적, 교사확보율, 기숙사 수용률, 자료구입비,
장학금 비율
, 재학생 1인당 교육비
- 102 -
주요 지표
2016년도
2018년도
증감
2. 교육·연구
수업규모(15명 이하 강좌 비율)
59.5%
68.8%
▲
전임교원 확보율
80.5%
78.3%
▼
시간강사 강사료
67,246원
70,800원
▲
국내논문 실적
1.65건
1.57건
▼
국외논문 실적
0.193건
0.333건
▼
저역서 실적
0.322건
0.363건
▲
교외 연구비 수주 실적
91,032천원
64,254천원
▼
교내 교원 연구활동 지원비 실적
62,750천원
56,200천원
▼
3. 학생 및
교육성과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94.3%
96.4%
▲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98.8%
94.8%
▼
졸업생 취업률
54.1%
58%
▲
전공일치도
68.9%
81.8%
▲
문화재수리기능·기술자 합격자
28명
44명
▲
4. 교육시설
교사확보율
189.7%
240%
▲
강의실 확보율
3.4m2
3.4m2
-
실험·실습실 확보율
10.4m2
10.2m2
▼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 정도
(재학생 1인당 기자재 구입비)
1,316천원
1,247천원
▼
기숙사 수용률
98.55%
108.6%
▲
재학생 1인당 도서구입비
470,090원
507,104원
▲
5. 대학재정
및 경영
교육비 환원율
1,239%
1503%
▲
3) 선행 자체평가와 비교
<선행 자체평가와 현재 자체평가 결과 비교>
❍ 직전
(2016년도) 자체평가 지표와 중복되는 정량지표 비교
❍ 해당년도 수치가 아닌 해당년도 자체평가 결과값
* ▲=증가, ▼=감소, ‘-’=변동폭 미미
- 103 -
비교 지표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8년
신입생 충원율
97.9%
99.3%
97.9%
94.3%
96.4%
재학생 충원율
94.3%
-
95.4%
98.8%
94.8%
전임교원 확보율
82.1%
85.2%
68.8%
80.5%
78.3%
졸업생 취업률
(한국교육개발원 공식 취업률)
72.6%
61.5%
52.6%
50.5%
55%
전공일치도
88%
-
-
68.9%
81.8%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
1.1건
1.2건
0.98건
1.65건
1.57건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
0.04건
-
-
0.193건
0.333건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수혜실적
-
132,357천원
-
60,190천원
64,254천원
교사 확보율
263%
263%
164%
189.7%
240%
기숙사 수용률
100%
102.5%
95.5%
98.5%
108.6%
재학생 1인당 교육비
19,819천원
24,185천원
-
32,587천원
49,227천원
교육비 환원율
-
678%
696%
1,239%
1,503%
장학금 지급률
-
-
63%
75%
76%
4) 역대 자체평가와 비교(2010~)
<역대 자체평가와 현재 자체평가 결과 비교>
❍
2010년도부터 2년 마다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 중 주요 정량지표 비교
❍ 해당년도 수치가 아닌 해당년도 자체평가 결과값
※장학금 지급률은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대학기관인증평가 산출기준이 아닌 전체 장학금 기준으로 비교
- 104 -
우리대학은 전통문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대학으로 대학 사명 및 특
성화 분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존 자체평가인 2016년도에 비해 모든 정량
지표들이 개선 되었으며 일부 정성지표가 미흡으로 나타났다. 주기적으로 학교 발전
계획 및 특성화계획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부분 외부용역으로 발전계획을 수립
하였으나 최근 2017년도에 내부구성원 중심의 대학 중기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향
후 우리대학도 개교 20주년(2020년)을 맞아 전통문화 및 문화재현장의 수요를 분석
하고 반영한 발전계획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특수목적대학이긴 하지만 일반적인
대학에 비해 취업분야, 교수학습분야, 교류분야 부분이 취약해지고 있는 실정을 반
영하여, 발전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대학은 이론과 실기를 갖춘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학과별 교육목표에
따라 이론과 실습과목을 조화시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017년부터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실기·실습 비율을 대폭 늘렸으며 이에 따라 학과
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일부학과의 경우 학과 특성상
(이론중심) 실기·실습 비율이 과도한 부분에 있어서는 향후 의견수렴을 통해 조정해
나가야할 것이다. 또한 졸업인증제 및 학점이수 기준을 시대변화에 맞게 변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타대학 사례조사, 학내 구성원 의견수렴 등이 필요할
것이다. 교수·학습분야는 직전 자체평가(2016년도)에 비해 내실있는 교수학습 프로
그램과 임시조직 마련 등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나 인력충원, 정식 조직 마련(교수
학습팀, 교수학습센터 등)이 중요하다. 모든 대학이 교수학습 전담조직을 필수적으
로 갖추고 있으나 우리대학은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전임교원 확보율의 경우 일반
대학의 평균과 비슷한 실정이다. 소수정예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특성을 감안했
을 때에는 매우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향후에 학생들의 현장능력 강화를 위
해 무형문화재 전문가, 연구소 출신, 현장업체 전문가 등 현장전문가를 전임교원으
로 영입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연구지원 분야의 경우 예산
부족으로 인해 매년 연구지원비가 동결 또는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원들의 활
발한 연구활동을 위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우리대학도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정부재정지원사업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대학은 우리대학만의 독자적인 입시제도를 통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신
입생충원율의 경우 소수정예 특수목적대임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전통문화 전문인력을 위한 소수정예를 지향하는 우리대학의 충원율은 중요한 지표
이다. 신입생 충원율을 높이기 위한 합격자 관리 프로그램(입시프로그램)과 중도탈
락을 방지하기 위한 학생지원 정책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장기적
으로 학생과와 분리하여 입시전담(입시·취업전담) 조직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필
Ⅱ. 논의 및 개선사항
- 105 -
요할 것이다. 국내외 교류의 경우 학교 초기에는 아시아국가 중심으로 교류하였으나
우리대학도 점차 유럽, 미주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는 점은 괄목할만한 성과이다. 그
러나 단순 교류협력 체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학생교류, 연구교류 등이
뒷받침 되어야할 것이다. 국내교류분야에서도 연구소, 관련 업체들과는 교류성과가
있지만 대학들과의 교류는 부족하다. 타대학과의 교류를 통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교
양과목을 충족할 수 있고 공동 상생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대학의 교육시설 지원(교사확보율,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실험실습실 확
보 정도, 기숙사 수용률, 학술정보 자료 구비 정도 등)은 타대학에 비해 월등한 것
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을 통해 대학원 연구역량 강화와 우
수인재 유치 등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현장실습학기제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한
현장실습지원센터 마련과 이와 관련하여 수도권 지역 거점 교육장소 확보가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대학의 재정은 소규모대학임에도 충분한 재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비 환원율
의 경우 낮은 등록금과 교육관련 비용 재정 증가로 인해 일반사립대학, 국·공립대학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충분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것
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장학제도를 통해 장학금 수혜율 및 지급률이 매우 높게 나
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자체평가를 통해 전반적인 우리대학의 재정 및 교육시설은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우수한 교육시설과 재정현황을 바탕으로 시설투자도 중요
하지만 앞으로는 교육분야에서 미비한 교수·학습분야, 입시·취업분야, 국내외 교류 부분
에 대해 보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