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붙임_백제중흥을 꿈꾸다-능산리사지 특별전(상세설명).hwp

닫기

"백제 중흥의 꿈을 찾아서"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 중흥을 꿈꾸다-능산리사지개최

국립부여박물관은 능산리사지의 발굴 성과를 집대성하여 기획특별전 "백제 중흥을 꿈꾸다-능산리사지"를 제2실에서 6월 8일부터 8월 15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16년간 능산리사지의 발굴을 통해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 및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 등 400여 점의 유물이 소개된다. 특히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꽃무늬가 화려하게 장식된 주칠편이 최초로 공개된다. 이 자료는 발견 사례가 극히 드문 것으로 고대 칠기편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고대 칠기 제작기법과 백제 회화사 연구에 매우 주목되는 자료다. 능산리사지는 1992년부터 2008년까지 16년간 국립부여박물관을 비롯한 국립문화재연구소, 전통문화학교 등이 참가하여 총 11차례 발굴조사가 진행됐다.

능산리사지 특별전은 발굴 유물을 총 7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1부 <능산리 절의 창건배경 및 입지>는 능산리사지의 발굴 경과를 소개하면서 능산리 절이 왜 능산리에 세워지게 됐는지에 대한 역사적인 의문을 풀어가도록 했다. 2부 <백제 중흥의 꿈과 좌절, 능산리사지>는 능산리 절의 창건부터 폐사까지에 관한 이야기다. 3부 <능산리사지 가람이야기>는 능산리 절이 일탑일금당(一塔一金堂)의 백제 전통 가람배치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강당지 주변의 공방지와 불명건물지 등을 통해 능산리 절이 어떤 기능을 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부 <능산리사지 목간에 남겨진 이야기>는 목간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능산리사지의 성격을 조명하고자 했다. 남근형목간은 남근의 왕성한 생명력을 빌어 당시 백제인들이 무엇을 기원하고자 했는가를 유추해 볼 수 있게 해준다. 5부 <한국 사리장엄의 역사, 이곳에서 시작되다>는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과 함께 봉양된 다양한 사리 공양구를 통해 한국 사리장엄의 첫 장이 능산리 절에서 시작된 것임을 밝혀주고 있다. 6부 <유물로 본 능산리 절의 역사>에서는 사비시기 백제의 국제성을 엿볼 수 있는 유물과 목제품, 금속공예품, 토기 등 능산리사지의 대표적인 유물이 소개된다. 7부 <중흥을 꿈꾼 백제, 백제금동대향로를 땅에 묻다>는 백제 전성기의 예술과 문화를 투영한 백제금동대향로를 통해 능산리 절의 마지막 운명을 엿볼 수 있다.

능산리사지는 옛 백제의 왕도인 사비를 둘러싸고 있던 동라성과 백제왕들이 묻힌 능산리 고분군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능산리 절은 이 고분들에 묻힌 백제왕들의 영혼을 달래고 그 왕릉을 관리하기 위한 사묘祠廟에서 위덕왕대의 국가사찰로 개편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능산리사지를 통해 알 수 있는 백제 사비시기의 삶과 문화를 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능산리 절을 디지털로 복원한 3D 영상을 선보여 땅속에 묻혀 있는 백제 사비시기 능산리 절의 웅장한 모습을 그려 볼 수 있게 했다.

이번 전시 유물들은 해설과 함께 전시도록에 담아 관련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로써, 또한 일반인들에게는 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도록에는 능산리사지 금속공예품과 칠기류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논고와 함께 문헌 속에서 만나는 사비시기의 기록, 능산리사지 관련 연구 문헌 목록 등도 함께 실어 능산리사지 관련 연구자들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백제를 꿈꾸다-능산리사지』, 294쪽, 가격 28,000원, 예맥)

전시 관련 문의: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사 이경수, 서윤희

☎ 041-830-8432, 8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