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13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진경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교양교육원 교수1
1. 해제
2. 번역
1. 해제
이 글은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민속학을 가르쳤던 앨런 던데
스
(Alan Dundes, 1934~2005)의 논문
“Structural Typology in North Ameri-
can Indian Folktales”1을 번역하고 주석을 단 후에 간략한 해설을 덧붙
*
이 논문은 출판인의 허락 아래 「
Southwestern Journal of Anthropology」 19, 1963, pp.121
~130의 내용을 전재한 것으로, 앨런 던데스(Alan Dundes)의 “Structural Typology in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에 대해 해설을 하고 번역 및 주석을 단 것이다.(역자
주
) 앞으로 (역자 주)라고 표시한 것은 필자의 주석을 의미한다. 나머지는 모두 앨런 던
데스의 것이다
.
1
The Study of Folklore
,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 , 1965. 이 논문은 던데스가 이
전에 썼던 자신의
“The Mor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Helsinky:
Folklore fellows Communication
No.195, 1964)를 축약한 것이다. 그리고 필자의 이 글은
뺷고전의 타작뺸(보고사, 2000)에 실었던 것을 일부 손질하여 재수록한 것이다. 굳이 재수
록을 하는 이유는 전통문화학계가 연구의 대상을 좀 더 확대할 것을 촉구하기 위함이다
.
314
제13호
인 것이다
. 앨런 던데스는 미국의 형식주의적 학풍의 영향을 받은 연구
자이다
. 러시아의 형식주의자 블라디미르 프로프의 연구 성향과 유사
하다 할 수 있다
. “형식주의는 어느 경우에나 단순한 수사학적 논의의
차원을 넘어서기 위해서 구조언어학의 전례에 크게 힘입고 있다
. 구조
언어학은 과연 문화적 현상의 분석에 논리적 방법을 제공한 공로가 있
다
. 정태적인 분석이라는 점에서는 생성이론의 비판을 받고, 언어가 지
닌 의미의 사회적 성격을 도외시한다는 점에서는 사회언어학의 비판
을 받는다
. 이러한 사정은 민담의 구조적 연구 또한 전환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 생성의 문제와 사회적 성격의 문제는 새삼스럽게
심각해진다
.”2 앨런 던데스의 공로는 민담연구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
려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는 데 있다
.
민담의 구조를 분석하려는 시도와 노력은 구비문학 연구의 초기부
터 줄곧 있어 왔다
. 그런데 어떤 방법에 입각해 구조를 분석해야 소기
의 목표
, 곧 다양한 성격․기원․구성․기능․의미 등을 지닌, 광범위
하게 수집한 민담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류․비교․해석하는 등의 작업
에 도달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가 심각한 고민거리였다
. 구조분석에
있어 유효하고도 적절한 단위와 도구는 과연 어떤 것인가에 대한 탐구
의 필요성이 그래서 논쟁적으로 제기된 바 있다
.3
1910년, 카를 크론(Kaarle Krohn)과 함께 역사지리학적(historical-geogra-
2
(역자 주) 조동일, 뺷구비문학의 세계뺸, 새문사, 1980, 158쪽. 앞으로 (역자 주)라고 표시한
것은 필자가 붙인 주석임을 표시한다
. 그 표시가 없는 주석은 모두 앨런 던데스의 것이다.
3
(역자 주) 구조 분석의 단위들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하는 개략에 대해서는 엘리콘가
스 마란다
(Ellikongas Maranda)와 삐에르 마란다(Pierre Maranda)의 Structural Models in
Folklore and Transformational Essays
(Mouton, 1971, pp.21~22)에 실려 있는 “이전에 제
안된 단위들
(units suggested previously)”에 간명히 정리되어 있어 참고할 만하다.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15
phic)
연구 방법4을 개척하여 이후 민담 연구에서 하나의 패러다임을 세
운 안티 아르네에 의해
‘유형(Type)’이라는 단위가 처음으로 고안되었다.
‘유형’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전승 이야기”5로 이해되었다. 이에 따르
면 이야기가 아무리 단순하거나 복잡해도 하나의 이야기로서의 독립성
4
(역자 주) 자연신화학파(mythological school), 인류학파(anthropological school), 심리학
파
(psychological school), 제의학파(ritual school) 등과 같이 이야기의 기원을 어느 단일
한 하나의 요인에서 찾고자 하는 입장에 반대하면서 등장한 역사지리학파는 핀란드에서
시작되어 핀란드학파라고도 부른다
. 민담은 어느 특정 시기에 특정 장소에서 생겨난 것
이 아니라 유형마다 제각기 다른 역사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이 학파의 기본 전제이다
. 가
능한 한 많은 민담의 각편들
(versions)을 수집하고, 그것을 주요 특징에 따라 분석해서 원
형
(archetype)을 추정한 다음, 그 원형과 가장 가까운 것이 주로 어느 곳에서 발견되는가
에 따라 그 유형이 생겨난 지역과 시기를 판단하고
, 원형으로부터 현재의 각편들에 이르
기까지의 변화과정
(‘변화’라고는 했지만, 실상은 ‘변질’의 의미를 강하게 갖고 있음)을 설
명하겠다는 것이다
. 민담의 이러한 국제적인 이동을 논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그들은
유형
(type)과 화소(motif)의 분류에 힘을 기울였는데, 그 결과가 안티 아르네(Anti Aarne)
와 스티스 톰슨
(Stith Thompson)에 의한 뺷민담유형집(Verzeichnis der Marchentypen)뺸, 헬
싱키
, 1910) ― 이것을 영어로 번역하고 보충한 것이 톰슨의 뺷민담의 유형들(The Types of
Folktale
)뺸, 헬싱키, 1928 초판, 1964 재판)이다― 과 톰슨에 의한 뺷구비문학의 화소 색인
: 민담, 발라드, 신화, 우화, 중세 로망스, 도덕담(道德談), 풍자시, 소화(笑話), 전설의 서사
요소 분류
(Motif Index of Folk Literature : A Classification of Narrative Elements in Folktales,
Ballads, Myths, Fables, Medieval Romances, Exempla, Fabliaux, Jest Books, and Local
Legends
)뺸으로 정리되었다. 전자는 유럽 민담만 취급했고, 후자는 전세계의 거의 모든 구
비서사문학을 포괄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 톰슨에 의해 미국에 수입되면서 대단한 세력을
얻은 바 있는 이 학파의 연구 방법은
, 처음으로 하나의 뚜렷한 벙법론을 본격적으로 개
진․확립함으로써 구비문학
, 민속학 연구를 한층 과학적인 것으로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그러나 그들의 작업은 지나치게 원소적이고 번잡하여 거시적인 구조 분석에 실제
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
. 무엇보다도 원형의 재구라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
서는 실제적으로 동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을 뿐 아니라
, 원형이 가장 완전한 것이라는
생각 자체가 기본적으로 퇴화론적 전제에 입각해 있다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 이에 대해
서는 앨런 던데스의
“민속학 이론에서의 퇴화론적 전제(The Devolutionary Premise in
Folklore Theory)”, Journal of Folklore Institute 6권1호(헤이그, 1969)를 참고할 수 있다. 한
편 이 학파의 연구 방법은 우리 나라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는데
, 예컨대 인도나 몽고의
특정 설화가 이러저러한 경로를 거쳐 우리 나라에 전해졌다는 식의 논의와 우리 나라 민
담의 분류에
뺷화소 색인뺸을 하나의 잣대로 적용한 작업 등이 그것이다.
5
(역자 주) “a traditional tale that has an independent existence”, 스티스 톰슨, 뺷민담(The
Folktale
)뺸, AMS, 1979, p.415.
316
제13호
을 가지면 유형으로 인정된다
. 그러나 이야기는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하
는 각편
(version)들로 전승된다는 점에서 볼 때
, ‘유형’은 구조 분석의 적절
한 단위가 되기 어려웠다
.
이어
1928년 러시아 형식주의자인 블라디미르 프로프(Vladimir Propp)
는
“이야기의 구성 요소들이 다른 구성 요소들 그리고 이야기 전체와
맺고 있는 관련성에 입각하여 해명
”6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는 그
것을 형태학
(morphology)이라 명명하고
, ‘기능(function)’을 그 형태론적
단위로 설정하였다
. ‘기능’은 “어떤 이야기의 진행 과정상 중요성의 관
점에서 볼 때 뚜렷하게 드러나는 등장인물의 행위
”7가 순차적으로
(syntagmatically)
연쇄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고안해 낸 도구이다.(주
15 참고)
연구 결과, 형태론적으로 볼 때 러시아의 모든 환상적인 이야기
들
(fairy tales)
8은 하나의 동일한 유형 구조에 속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프로프의 이러한 연구 성과는
, 처음으로 민담의 구조를 형태론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연구사적 의의 이외에도
, 이후 민담 구조 분석의 방법이
한 단계 크게 발전하는 데 확실한 토대가 되었다
. 특히 다음에 보겠지
만
, 민담의 구조 연구를 한 차원 끌어올린 앨런 던데스(Alan Dundes)에게
끼친 영향은 막중한 것이었다
.
한편 아르네에 이어 역사지리학적 연구 방법을 심화하고
, 뺷구비문학
6
(역자 주) “the description of the folktale according to its component part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components to each other and to the whole”, 블라디미르 프로프,
뺷민담형태학(Morphology of the Folktale)뺸, Indiana Univ., p.18.
7
(역자 주) “an act of dramatis personae which is def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significance for the course of action of a tale”, 주 2의 책, p.21.
8
(역자 주) 보통 신이담(神異談) 혹은 마법담(魔法談)으로 번역되곤 하는데, 프로프에 따르
면
, 그것은 아르네의 민담 분류 가운데 300번에서 749번까지의 이야기를 지칭한다.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17
의 화소 색인
(Motif index of Folk Literature)
뺸이라는 방대한 기념비적 저서
를 낸 스티스 톰슨은
1932년 ‘화소(motif)’라는 단위를 제안하였다. ‘화소’
는
‘특이하고 인상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전승력을 지닌 이야기의 최
소 단위
’9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우선 그가 분류해 낸 화소라는 것이 지
나치게 번잡할 뿐 아니라
, 무엇보다도 ‘특이하고 인상적’이라는 기준 자
체가 주관적인 것이어서 얼마든지 자의적 해석이 가능해질 수 있기에
구조 분석의 객관적인 도구로서는 적절치 않았다
.
그 후
1955년 레비 스트로스(Levi-Strauss)에 의해 병렬적 구조(Paradig-
matic structure)분석의 방법이 창안되었다
. 그는 주로 신화를 연구 대상
으로 설정하여 이야기의 순서에 구애되지 않고 이야기에 내포된
‘삶/죽
음
’, ‘남성/여성’ 등의 기본적인 대립을 찾아내 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
고자 하였다
. 한 영역과 다른 영역 사이의 논리적 관계의 직관에서 존
재하는 은유를 발견하자는 것이 그의 연구의 목표였다
. 그의 논의는 일
반적인 결론을 과감하게 모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이론적 차원에서
전개되지 않을 수 없었는데
, 그러나 추상적이거나 이론적 천착의 성격
이 지나치게 강했다
. 그 결과 현장에서 실제로 전승되고 있는 다양하고
도 구체적인 자료들에 대한 실제적인 해명의 측면에서는 문제가 없지
않다
.
이에 프로프의 분석 방법을 계승한 미국의 구비문학자 앨런 던데스
가
1962년 단락소(motifeme, 이를 ‘단락소’로 번역해 새롭게 이해한 이는 조동일
교수이다
)라는 단위를 창안하여
, 이야기의 순차적 구조(syntagmatic struc-
9
(역자 주) “the smallest in a tale having a power to persist in tradition. In order to have this
power it must have something unusual and striking about it”, 스티스 톰슨, 앞의 책.
318
제13호
ture)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 이야기를 진행 순서에 따라서 부분[단락]으
로 나누고 부분들의 근본적인 성격
[단락소]과 그 관계의 논리를 파악하
자는 것이다
. 그렇게 해서, 이야기 속에는 의미의 정도가 같은 단락(소)
간 대립의 연쇄가 구조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자세
한 것은 본문을 참고할 것
)
. 레비 스트로스식의 병렬 구조 분석이 연역적이
고 사변적인 데 비하여
, 순차 구조 분석은 보다 귀납적이고 경험적이어
서 이야기의 실제적 연구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내었다
. 단락소의 연
속에 따라서 이야기의 순차적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확실히 탁월한 방
법이다
. 개별적 요소를 따지면 서로 다르기만 한 것 같은 잡다한 이야
기들을 이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정리하면 뚜렷한 공통점이 드러나게
되기 때문이다
. 실제로 던데스는, 북미 인디언 민담이 구조상 모호하며
이러저러한 삽화 구성으로 이루어진 잡다한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기
존의 견해가 편견임을
, 치밀한 구조 분석을 통해 증명해 보이고 있다.
던데스에 와서 비로소 이야기 분석의 방법이 원소적인 데서 구조적
인 데로 전환하였다고 할 수 있다
.10 이렇게 해서 이론은 돌보지 않고
자료의 수집과 정리와 같이 단순 실증에 골몰하는 기존의 연구 태도
,
특히 그동안 구비문학 연구의 강력한 패러다임이었던 역사지리학파의
연구 방법이 극복되고
, 이야기 연구의 새로운 이론이 마련될 수 있었
다
. 던데스는 단락소에 의한 자신의 구조 분석이 공시적인 작업이라 하
였다
. 과거의 역사지리학파의 연구가 작품의 분석 능력을 갖지 못하고
10
(역자 주) 이러한 연구 시야의 전환에 대해서는 던데스의 “From Etic to emic units in the
structural study of folktales”, Alan Dundes, Analytic Essays in Folklore (Mouton, 1975,
pp.61~72)을 참고할 수 있다.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19
작품에 포함된 어느 요소의 족보와 변이만 다른 것을 비판․극복한 점
에서 던데스의 공시적 작업의 의의는 충분히 인정된다
.
그러나 구조가 공시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 구조는 공시적인 것이
면서 또한 통시적인 것이다
. 구조의 통시적 또는 역사적 변화의 문제
또한 도외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 그런 접근이 시도될 때 구비문학 연
구는 좀 더 깊은 성과를 얻게 될 것이다
. 참고로 조동일 교수는, 던데스
가 북미 인디언 민담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해 낸
‘결핍(L)-해소(LL)’의
구조를 우리 나라 민담 분석에 원용하여
‘고난-(의외의) 행운’ 혹은 ‘행
운-
(의외의)
고난’이라는 구조를 찾아내면서, 나아가 그런 단락소의 교
체와 연속이 일정한 세계관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 즉 고난
을 뜻밖의 행운으로 극복하자는 것은 운명론적 사유가
, 의외의 고난을
주체적인 노력으로 극복하자는 것은 운명론에 반대하는 입장이 각각
반영된 것이라고 하였다
.11
던데스 역시 구조분석 자체만으로 모든 연구가 종결되는 것이 아니
라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 구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을 다양한 방
향으로 열어두고자 하였고 또 일정한 성과를 얻어 내었다
. 즉 그에 따
르면 구조분석은 우선 유형적인 논의를 가능케 하고
, 그것을 통해 여러
문화에 두루 걸쳐 있는 민담이 각 문화에서 결정되는 고유한 특징을 찾
아 낼 수 있게 하였고
, 민담의 교류와 접촉이 일어난 상황을 예측․분
석할 수 있게 하였으며
, 민속의 갈래를 상호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분
명한 근거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 던데스의 이러한 모색은 연구사적으
11
(역자 주) 조동일, 「민담 구조와 그 의미」, 뺷구비문학의 세계뺸, 새문사, 126~144쪽.
320
제13호
로도 매우 의미있을 뿐 아니라
,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 하나의 뚜렷한
참고가 될 것으로 본다
. 우리 민담을 위시한 구비문학 전반에 그의 방
법을 적용해 보아
, 그 의의는 적극 수용하고 그 문제점은 창조적으로
극복하려는 작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여기에 번역하여 소개하는 앨런 던데스의 논문은
뺷민속학 연구(The
Study of Folklore
)
뺸(Engl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65, pp.206~215)에 실려
있는 것으로
, 그의 이전의 논문인 “북미 인디언 민담의 형태학(The Mor-
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
”, Folklore Fellows Communications, 195,
Helsinki, 1964)을 축약․정리한 것이다
. 이 논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다고 생각하는 용어나 개념 등에 대해서는 원주와 동일하게 주석을 달
되
, 역자주임을 별도로 밝혀둔다. 그리고 인디언 부족의 이름이나 논저
명 혹은 수록지면 등의 일부는 원어를 그대로 옮겨 놓았다
.
2. 번역
이 논문은 언어학적이라기보다는 민속학적 관점에서 형식을 분석한
다
. 그렇기는 하지만 이 논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형식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는 점이다
. 형식 문제를 해명하는 것은
이야기의 기원과 기능을 연구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의 하나
이다
. ‘민속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는 형식 연구를 통해서 가능하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21
다
. 민속을 일단 그 형식적 기준에서 정확히 규정할 수만 있다면, 그 기
원을 찾고
, 구비전승의 과정을 이해하며, 다양한 기능들을 분석하는 작
업이 훨씬 더 쉬워질 것이다
.
인용된 특정 미국 인디언 민담들에 대한 자료와 구조 분석에 대한 좀
더 심도있는 논의는
, 앨런 던데스의 “북미 인디언 민담의 형태학(The
Mor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
”, Folklore Fellows Communications,
195, Helsinki, 1964)을 보라
.
형태학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엄격한 유형학이란 있을 수 없다
. 특히
북미 인디언 민담의 경우
, 형태론적 단위와 분석의 도움 없이 유형학적
해명이 불가능하다
. 미국 인디언 밈담의 구성에 대한 신뢰할 수 없는
이론이 여전히 광범위하게 견지되고 있는 것은
, 전적으로 형태론적 접
근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미국 인디언
민담은 임의적이고 불안정한 화소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
다
. 예컨대 1894에 영국의 민속학자인 조셉 야콥스(Joseph Jacobs)는 원
시적인 형태의 민담들에 대해 논의하면서
“이러한 민담들을 읽어 본 사
람들은 나의 견해에 동의할 터인데
, 나는 그것들이 형식이 없고 모호하
며
, 유럽의 잘 짜여진 민담들과 비교해 보면 마치 척추동물의 세계에서
의 무척추동물과 같다고 생각한다
”고 말했다.12 1916년에 프란츠 보아
스
(Franz Boas)도 이와 비슷하게 언급했다
.13 즉 “유럽의 민담은, 이야기
12
죠셉 야콥스
, “확산의 문제: 답변들(The Problem of Diffusion : Rejoinders)”, 뺷민속학
(Folklore)뺸 권5, 1894, p.137.
13
프란츠 보아스
, “Tsimshian Mythology”, 「미국 민족학 사무국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of the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31, 1916, p.878.
322
제13호
들이 일정한 단위로 짜여져 있고 그 결속력도 강하며 전체적으로 매우
복잡하다는 느낌을 준다
. 반대로 미국의 자료들을 분석해 보면, 복잡하
게 구성되어 있는 이야기들은 새롭게 추가된 것들이고
, 구성요소들 사
이의 결속력도 거의 없으며
, 많은 부분들이 삽화적인 것들이거나 몇개
의 단순한 플롯으로 짜여져 있을 뿐임이 드러난다
”고 하였다. 최근, 멜
빌 야콥스
(Melvil e Jacobs)
14는
, 보아스가 언어학과 조형예술의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활용한 구조적 접근 방법을 민속학의 영역에 적용하지 않
았다고 비판했다
.
1920~30년대 언어학, 심리학, 민족음악학 그리고 인류학에서 구조적
이고 양식적인 접근이 풍미하고 있었던 데 반해
, 정체된 분야로 남아있
던 민속학은 협소한 역사적 접근과 원소적인 연구에 몰두해 있었다
.
1934년에 베네딕트(Benedict)의 뺷문화의 양식들(Patterns of Culture)뺸이 출간
되었고
, 1933년에는 헬렌 로버츠(Helen Roberts)가 뺷원시음악의 형식(Form
in Primitive Music
)
뺸과 함께 「원시음악의 패턴 현상(The Pattern Phenomenon in
Primitive Music)」을 써냈다
. 언어학에서는 불름필드(Bloomfield)의 뺷언어
(Language)
뺸(1933)와 스와디쉬(Swadesh, 1934)의 「음소의 원리(The Phonemic
Principle)」가 써피어(Sapir)의
뺷언어(Language)뺸(1921)와 「언어의 음성 양식
들
(Sound Patterns in Language)」(1925)에 이어 나왔다
. 쾔러(Kohler)의 뺷게쉬
탈트 심리학
(Gestalt Psychology)
뺸(1929)과 코파(Kof a)의 뺷게쉬탈트 심리학의
원리
(Principles of Gestalt Psychology)
뺸(1935)가 심리학에서 위와 같은 이론 운
14
멜빌 야콥스
, 「민속학」[월터 골드스미스(Walter Goldschmidt)가 편찬한 뺷프란츠 보아스
의 인류학
(The Anthropology of Franz Boas)뺸에 수록됨], Memoir 89, 샌프란시스코: 미국
인류학회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59, p.127.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23
동에 영향을 끼쳤다
. 30년대에 양식들에 대한 연구는 문화의 양식 그것이
었다
. 그러나 민속학의 분야에서는 공시적인 접근에 대해 완전히 관심이
없었다
. 30년대 중반에 나온 민속학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스티스 톰
슨의 방대한 저서인
뺷구비문학의 화소 색인(Motif-Index of Folk Literature)뺸이
었는데
, 그것은 뛰어난 목록 사전이기는 하지만 민속학 연구에서 원소적
인 관점을 전형적으로 강조한 것이었다
. 민속학 이론에서의 일종의 문화
지체 현상은 불행하게도
30년대 이래로 점차 강화되었는데, 이는 민속학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적 진전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었다
.
몇몇 예외 가운데 하나가
1928년에 출간된 블라디미르 플로프(Vladi-
mir Propp)
15의 뺷민담형태학(Morphology of Folktale)뺸이다. 프로프는 형태학
을
“이야기의 구성 요소들이 다른 구성 요소들 그리고 이야기 전체와
맺고 있는 관련성에 입각하여 해명하는 작업
”이라 했다. ‘기능(function)’
이라고 명명한 형태론적 단위를 규정하고 분리해 낸 후에
, 프로프는 아
파나시에프
(Afanasiev)가 수집한 러시아 민담집에서 임의적으로 뽑은 백
편의 일관된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
(consecutive Marchen)들을 대상으로
하여 형태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 그 백 편의 이야기들에서 기능들,
즉 줄거리를 가진 서사구조
(plot narrative structure)의 단위들을 분석한 결
과
, 프로프는 거기에 제한된 수, 즉 31개의 기능들이 존재하며,16 이러
15
블라디미르 프로프
, 뺷민담형태학(Morphology of the Folktale)뺸, Publication 10, 인디아나
대학 인류학․민속학․언어학 센터
(블루밍턴, 1958), p.18.
16
(역자 주) 프로프가 분석한 31개의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① 가족 구성원 가운데 한 사람
이 부재중이다
.(β) ② 주인공에게 금지의 말이 부과된다.(γ) ③ 금지는 위반된다.(δ) ④
악한이 정찰을 시도한다
.(ε) ⑤ 악한이 그의 희생자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다.(ζ) ⑥ 악한
이 희생자나 그의 재산을 점유하기 위하여 그를 속이려 든다
.(η) ⑦ 희생자가 속아 무심
결에 그의 적을 돕게 된다
.(θ) ⑧ 악한이 가족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를 끼치거나 상처를
324
제13호
한 기능들의 연쇄가 고정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 이것은 하나의 민담
속에
31개의 기능 모두가 반드시 나타난다는 것이 아니라, 예견할 수
있는 질서 속에서 그렇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17 자신의 형
태론을 완성한 후
, 프로프는 유형학으로 나아갈 수 있었고, 러시아의
모든 환상적인 이야기
(fairy tales)들은 형태론적 근거에서 볼 때 하나의
동일한 구조적 유형에 속한다고 결론 내렸다
.18
프로프의 형태론적 분석틀을 미국 인디언 민담들에 적용하면서
, 나
는
뺷인간 행위 구조에 대한 통합 이론과 관련한 언어(Language in Relation
입힌다
.(A) ⑨ 불운이나 결여가 알려지게 된다.; 주인공에게 요청이나 명령이 부과된다.;
그는 가도록 허락되거나 급히 보내진다
. (B) ⑩ 탐색자는 대항 행동에 동의하거나 그것
을 결정한다
. (C) ⑪ 주인공이 집을 떠난다. (↑) ⑫ 주인공은 시험․심문․공격받는데
그로 인해서 주인공에게 조력자를 얻는 방법을 준비시킨다
. (D) ⑬ 주인공이 미래의 증
여자의 행동에 반응한다
. 대부분의 경우 이 반응은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 하
다
. (E) ⑭ 주인공이 주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 ⑮ 주인공은 탐색의 대상이 있는 곳
으로 옮겨지거나 인도된다
. (G) ⑯주인공과 악한이 싸운다. (H) ⑰ 주인공이 표식을 받는
다
. (J) ⑱ 악한이 퇴치된다. (I) ⑲ 최초의 불행이나 결여가 해소된다. (K) ⑳ 주인공이 귀
환한다
. (↓) 쇭
쇶 주인공이 추적당한다. (Pr) 쇭
쇷 주인공이 추적으로부터 구출된다. (Rs) 쇭
쇸
주인공이 아무도 모르게 집이나 다른 나라에 도착한다
. (o) 쇭
쇹 가짜 주인공이 근거 없는
요구를 한다
. (L) 쇭
쇺 주인공에게 어려운 과제가 부과된다. (M) 쇭
쇻 과제가 해결된다. (N)
쇭
쇼 주인공이 인지된다. (Q) 쇭
쇽 가짜 주인공 혹은 악한의 정체가 폭로된다. (Ex) 쇭
쇾 주인
공에게 새로운 모습이 주어진다
. (T) 쇮
쇵 악한이 처벌된다. (U) 쇮
밳 주인공은 결혼하고 왕
좌에 오른다
. (W) 이렇게 해서 특정 민담의 구조적 특징은, 예컨대 “γ1β1δ1А1В2С3↑1
6К9↓”과 같은 식으로 도식화될 수 있다.
17
(역자 주) 이와 관련해서는 프로프의 다음 언급을 참조할 수 있다. “환상적인 옛날이야기
[‘fairy tale’을 번역한 것인데, 신이담(神異談)이라고도 한다.(역자 주)]들은 31가지의 기능
을 경험하고 있다
. 모든 옛날이야기들이 모든 기능들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능들 가운데 어떤 것들의 부재
(不在)는 다른 기능들이 잇달아 오는 순서에 영향을 미치
지는 않는다
. 이 기능들 전체는 하나의 체계(un systeme), 하나의 구성(une composition)
을 이룬다
. 이 체계는 대단히 안정되고 널리 퍼져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환상적인 옛
날이야기들의 변형」
, 김치수 역, 뺷러시아 形式主義뺸, 이대출판부, 1981, 167쪽)
18
위의 책
, 21쪽. 프로프의 연구에 대한 더 포괄적인 개관은, 끌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의 “L'analyse morphologique des contes ru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lavic Linguistics and Poetics
3, 1960, pp.122~149.(편집자 주)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25
to a Unified Theory of the Structure of Human Behavior
)
뺸에서 보인 케네스 파이
크
(Kenneth L. Pike)의 용어와 이론 가운데 몇몇을 채택하였다
.19 그래서
프로프의
‘기능’ 대신에 화소와 변이화소(allomotif)를 합친 개념인 ‘단락
소
(motifeme)
’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민담들은 그러므로 단락소들의
연쇄라고 규정할 수 있게 되었다
. 단락소의 틈들(slots)은 다양한 화소들
로 채워질 수 있는데
, 단락소의 틈 속의 특별한 대체화소(alternative mo-
tifs)들은 변이화소라고 이름붙일 수 있을 것이다
. 이렇게 통합된 프로프
와 파이크류의 구조적 모형의 도움으로
, 나는 북미 인디언 민담에 일정
한 수의 명확한 구조적 양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북미 인디언 민담의 대부분은 불균형에서 균형으로 나아가려는 충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두려워서 가능하다면 피했으면 하는 상태인 불
균형은 관점에 따라서는 과잉 혹은 결핍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 불
균형은 한쪽에서는 너무 많고 다른 쪽에서는 너무 적은 것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 게임, 물고기, 식물, 물, 조류(潮流), 계절, 태양, 빛, 불
등등과 같은 물건들이 인류의 대다수에게 혹은 한 부족의 대부분에게
손에 넣을 수 없는 이야기인 「물건 저장담
(hoarded object tales)」은 매우
종종 사회적으로 혹은 우주적으로 결핍되어 있다는 느낌의 진술로 시
작된다
. 이야기 초두의 홍수 상태는 ‘너무 많은 물’ 혹은 ‘너무 적은 땅’
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거기에는 내가 ‘결핍(lack)’
이라고 부를
, 바람직하지 않은 불균형의 상태가 존재한다. 민담은 충족
의 상태가 어떻게 허물어지는가 혹은 결핍이 어떻게 채워지는가 하는
19
앨런 던데스
, “From Etic to Emic Units in the Structural Study of Folktales”, Journal of Ame-
rican Folklore
75, 1962, pp.95~105.
326
제13호
식으로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다
. 즉 과도한 것은 잃게 될 수 있고 잃어
버렸거나 도난당한 것은 다시 찾을 수 있다는 식이다
. 이러한 상태 모
두가 불균형에서 균형으로 이행하려는 충동에 속하는 것이다
.
북미 인디언 민담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유형의 하나는 그러므로 두
개의 단락소
, 즉 결핍(Lack : L)과 해소(Lack Liquidated : LL)로 구성된다.
「
저장한 물 터놓기
(The Release of Impounded Water)」 이야기 가운데 말리
사이트
(Malecite)
부족의 각 편에서는, “괴물이 세상의 모든 물을 저장한
다
.(L) 문화영웅20이 그 괴물을 죽이고 물을 터놓는다.(LL)” 동일한 단락
소의 패턴으로 구성된 위시람
(Wishram)
부족의 민담은 다음과 같이 되
어 있다
. “콜롬비아 사람들은 눈과 입이 없었다.(L) 그들은 냄새를 맡는
것으로 철갑상어를 먹었다
. 늑대가 그들의 눈과 입을 뜨게 해주었
다
.(LL)” 일반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북부 오지의 치할리스(Chehalis) 부
족에게는
“옛날에 세상이 조각나기 시작하였다. 수많은 덩굴을 가진 박
하가 그것을 꿰매 맞추어 놓기로 하였다
. 그렇게 하여 세상을 구했다”
는 이야기가 전한다
. 이렇듯 단 두 개의 단락소만으로 구성된 이야기들
은 그리 많지는 않지만 몇몇 존재하기는 한다
. 그 두 개의 단락소의 연
쇄가 미국 인디언 민담을 규정하는 최소 요건인 것이다
.
훨씬 더 흔한 연쇄는 다음 네 가지의 단락소로 이루어져 있다
. ‘금지
(Interdiction)
’, ‘위반(Violation)’, ‘결과(Consequence)’, 그리고 그 ‘결과로부터
의 탈출 시도
(Attempted Escape)
’가 그것이다(이하 줄여서 Int, Viol, Conseq, AE
라고 한다
)
. 그런데 ‘탈출 시도’는 필수적이라기보다는 임의적인 것이다.
20
(역자 주) 문화영웅이란 특정 사회의 문화를 창시한 혹은 그 집단의 이상을 구현한 신
화․전살상의 인물을 말한다
.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27
어떤 이야기는
‘결과’로 끝날 수도 있다. 더구나 ‘탈출 시도’가 있다면,
그 시도는 성공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특수한 문화 혹은 그 문
화 속에 살고 있는 특수한 이야기 제공자의 성격에 따라 네 번째 단락
소인
‘탈출 시도’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그 시도의
성패 역시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결정된다
.
몇몇 예들이 이러한 민담 양식의 본질을 보여줄 것이다
. 여기서 동일
한 구조적 형식 안에 다양한 내용들이 들어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
늪지대에 사는 크리
(Cree)
부족의 이야기에서는, “작은 소년이 그의 누나
에게 물 근처에 갔을 때 다람쥐를 쏘지 말라고 주의를 받는다
.(Int) 그 소
년은 물 근처에서 다람쥐를 쏜다
.(Viol) 그리고 그가 물에 떨어진 그의 화
살을 다시 주으려 했을 때
, 물고기에게 잡아먹히게 된다.(Conseq) 그 후 그
물고기는 곧장 그의 누나에게 헤엄쳐 오고
, 누나는 그 물고기의 배를 갈
라 동생을 구해낸다
.(AE)” 릴루엣(Lillooet) 부족의 이야기에서는, “어떤 늙
은 남자가 아이들에게 낚시 가서는 고래를 놀리면서 부르지 말라고 경고
한다
.(Int) 소년들은 웃으면서 계속 고래를 부른다.(Viol) 그러자 고래가
와서 그들을 삼켜버린다
.(Conseq) 그 고래는 곧장 어떤 해변가로 가고 사
람들이 그 배를 갈라 아이들을 탈출시킨다
.(AE)” 에스키모, 평원 그리고
삼림지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들과 유사한 오넌다가
(Onondaga)
부족의
이야기에서는
, “한 무리의 아이들이 춤을 멈추지 말라고 주의를 받는
다
.(Int) 아이들이 거절하자(Viol) 산채로 하늘로 올라가(Conseq) 별들21이
21
(역자 주) 원문의 ‘플레이아데스(Pleiade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틀라스(Atlas)의 일
곱 딸을 말한다
. 그러나 인용한 이야기는 북미 인디언 민담이니, 플레이아데스 성단, 즉
묘성
(昴星)으로 번역한다.
328
제13호
된다
.” 미국 인디언 민담들은 대개 그 끝이 설명적인 화소22로 되어 있다.
설명적인 화소는 구조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 그것은 단순히 문체
상의 종결 표시거나 문학적 종결부 역할을 할 뿐이다
. 때때로 ‘금지’는 명
시적이라기보다는 암시적일 때가 많다
. “구르는 바위(The Rolling Rock)” 이
야기에서는
, “장난꾸러기가 예전에 자기가 주었던 선물(예컨대 예복)을 다
시 빼앗아 가거나 바위 위에 똥을 누어 바위를 화나게 한다
.(Viol) 바위가
굴러 그의 뒤를 계속 따라온다
.(Conseq) 주인공은, 대개의 경우 친한 동물
들이 그 사이에 끼어들어가 바위를 깨뜨려 줌으로써 위기에서 벗어난
다
.(AE)” Tlinhit 부족의 이야기에서는, “몇몇 소년들이 물 위에 떠다니는
해초 조각을 그들의 탄 카누 한 쪽에서 끌어올려 다른 쪽에다 다시 옮겨
놓는다
.(Viol) 그래서 끝임 없는 겨울이 온다.(Conseq)” 반면 같은 혈족인
캐슬라멧
(kathlamet)
부족의 이야기에서는 ‘금지’가 문면에 드러나 있다.
“어떤 마을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눈 똥을 가지고 놀아서는 안 된다.(Int)
어떤 나쁜 소년이 자기 똥을 가지고 놀자
(Viol)
다음 날 밤에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 겨울은 영원히 지속되고 사람들은 굶어 죽기 시작한
다
.(Conseq) 마을 사람들은 그 나쁜 소년을 얼음 위에서 죽게 내버려둠으
로써 거기서 벗어난다
.(AE)” 이러한 민담에는 매우 다양한 내용들이 들어
있다
. 즉 수많은 변이화소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인류
학자들은 미국 인디언 민담에 내적 결합력이 없다고 믿었던 것이다
. 그
러나 이러한 민담들에서 단락소의 연쇄 구조는 정확히 일치한다
. 단락소
의 관점에서 말하면
, 보아스가 생각했던 것과는 반대로, 구성 요소들 사
22
(역자 주) 앞의 예에서 “별들이 되었다”와 같은 결구(結句)를 설명적 화소(explanatory
motif)라 한다.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29
이의 강한 결합력이 존재하는 것이다
.
좀 더 긴 미국 인디언 민담들은
‘결핍’, ‘해소’, ‘금지’, ‘위반’, ‘결과’, 그리
고
‘탈출 시도’ 등 여섯 개 단락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올페우
스
(Orpheus)
이야기에서는, “어떤 사람이 그의 아내를 잃는다.(L) 그러나
다시 그녀를 얻거나 얻을 수 있다
.(LL) 만일 그가 금기를 어지기만 않는다
면 말이다
.(Int) 그러나 그 사람은 금기를 어길 수밖에 없어(Viol) 그의 아
내를 다시 잃게 된다
.(Conseq)” 공통의 구조 틀 속에 얼마나 다양한 내용
들이 나타날 수 있는지는
, 올페우스 이야기를 주니(Zuni) 부족의 민담인
“작은 소녀와 귀뚜라미(The Little Girl and the Cricket)”와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 “한 소녀가 노래하는 귀뚜리미를 발견하고 그것을 집으로 가져오
고 싶어 한다
.(L) 그녀는 귀뚜라미를 데리고 함께 집으로 온다.(LL) 그러
나 그녀는 귀뚜라미를 건드리거나 간지럽혀서는 안 된다고 주의를 받는
다
.(Int) 데리고 놀면서 소녀는 귀뚜라미를 간지럽힌다.(Viol) 그러자 귀뚜
라미는 자기의 위장을 토해내고 죽는다
.(Conseq)” 이 두 이야기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
단락소
올페우스
소녀와 귀뚜라미
결핍
사내가 저승에서 그의 아내를 집으로
데려오기를 원한다
.
소녀가 들판에서 귀뚜라미를 집으로
데려 오기를 원한다
.
결핍해소
사내가 그렇게 한다
.
소녀가 그렇게 한다
.
금지
사내는 그의 아내를 뒤돌아보지 말라
고 주의를 받는다
.
소녀는 귀뚜라미를 만지지 말라고 주
의를 받는다
.
위반
사내가 뒤돌아본다
.
소녀가 귀뚜라미를 만진다
.
결과
사내의 아내가 죽는다
.
귀뚜라미가 죽는다
.
탈출시도
--------------------
--------------------
330
제13호
올페우스 이야기에서처럼
‘결과’가 ‘결핍’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 이것은 이야기 초두에 ‘결핍’이 없는 민담들에서
‘결핍’의 상태를 초래하는 단락소들의 연쇄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
사한다
. 일반적으로 결핍은 현명치 못한 행위의 결과이거나 좀더 특별
하게는 금지를 위반한 결과이다
. 그러므로 ‘땅 잠수(earthdiver)’ 이야기의
몇몇 각 편들에서는
, ‘결핍’은 “옛날에 땅이 없었다. 지금 땅인 곳은 물이
었다
”는 식으로 언급된다. 한편 고원지방 치할리스(Chehalis) 부족의 이
야기에서처럼
, 멍청하게도 금기에 대해 허세를 부림으로써 홍수가 초
래될 수도 있다
. 트러쉬(Thrush) 부족의 근래의 이야기에서 “개똥지빠귀
는 더러운 얼굴을 씻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데
(int)
, 그 놈은 그렇게 해버
린다
.(Viol) 그 놈이 자신의 얼굴을 씻은 후에, 비가 엄청나게 내리기 시
작하고 물이 불어 모든 것이 잠겨버린다
.(Conseq) 그때 사향뒤쥐가, 땅
잠수 이야기의 흔히 있는 순서대로
, 필요한 흙을 얻기 위해 네 차례 잠수
한다
.(AE)”
이러한 구조적인 단락소의 대체가 어떤 하나의 역사적인 민담에서
만 제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 이러
한 대체는 많은 민담들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이다
. 널리 퍼져 있는 ‘눈
마술사
(Eye-Juggler)
’ 이야기에서, “장난꾸러기는 쉽게 그의 눈을 잃고(L),
다시 찾는다
.(LL)” 그러나 평원지방의 많은 각 편들에서는, 그 두 단락소
의 연쇄가 확장된다
. “장난꾸러기는, 자신의 눈을 빼어서 허공에 던지
고 다시 제자리로 갖다놓을 수 있는 어떤 사람을 흉내낼 수 있기를 바
란다
.(L) 장난꾸러기는 그 명령을 좇지 않아(Viol) 결국 그의 눈을 잃게
된다
.(Conseq)” 구조 분석의 관점에서 보면, 처음에 ‘결핍’으로 시작되는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31
어떠한 민담에서든
, 그 ‘위반’이 ‘결핍’을 야기하는 ‘금지’로 시작된다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 사정이 이렇다면, 대체 구조
양식들에 대한 이해는 개별적인 민담들에 관한 역사지리학적 가설들
을 세우고 평가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전에 민속
학자들이 특정 민담의 하위유형들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훨씬 더 일반
적인 구조적 양식의 대체 현상인 것이다
.
단락소들이 특히 안정적인 연쇄를 갖고 있는 한
, 미국 인디언 민담들
이 명확하게 구조화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제 확실해졌다
. 그러나 현존
하는 모든 단락소의 패턴들이 위에서 다 언급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이
해해야 한다
. 예를 들어 다른 패턴은 ‘결핍’, ‘사기(Deceit)’, ‘속음(Decep-
tion)
’ 그리고 ‘결핍 해소’로 구성되어 있기도 한 것이다.23 그렇지만 이
러한 몇몇 예시적인 패턴들은
, 미국 인디언 민담들이 구조화되어 있다
는 명제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것들이다
. 그러나 구조 분석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은 아니다
.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즉 민담의 구
조 분석의 중요성과 효용은 무엇인가
?
첫째
, 유형학적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 로만 야콥슨(Roman Jacobson)이,
미국 인디언 언어에 대한 보아스식 접근에 대해 논평하면서 말했듯이
,
구조적 유사성들이 지적되어야 한다
. 그는 “일정한 문법적 음소 유형들
은 어휘적 유사성 없이도 광범위하고 연속적인 분포를 가질 수 있다
”24
고 했다
. 뵈게린(Voegelin)과 해리스(Harris)25도 마찬가지 말을 했다. 그들
23
앨런 던데스
, 「북민 인디언 민담의 형태학(Mor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
tales)」, 헬싱키, 1964, pp.72~75.
24
로만 야콥슨
, 「프란츠 보아스의 언어 접근(Franz Boas' Approach to Language)」, Inter-
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0, 1939, pp.192~193.
332
제13호
은
, 예를 들어 “언어를 구조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언어의 기원 관계와는
별도로 설명될 수 있다
”고 했다. 반 게넾(Van Gennep)이 지적했듯이, 매우
다른 내용들을 가진 여러 제의들에서 공통의 구조적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 즉 분리(seperation), 변화(transition), 결합(incorporation)과 같은 연속
적인 패턴이
, 탄생(birth), 성숙(puberty), 결혼(marriage), 죽음(death) 등등과
관련을 맺고 있는 제의들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이다
. 마찬가지로 전혀
다른 내용을 가진 민담들에서 공통의 구조적 패턴들이 명확히 해명될 수
있을 것이다
.
구조 분석의 두 번째 중요한 이점은
, 그것이 범문화적 형식들 속에서
내용의 문화적 결정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공
한다는 점이다
. 만일 어떤 민속학자가 특정 문화에서 보고된 동일한 구
조를 가진 모든 민담들을 죽 늘어놓는다면
, 말하자면 그것들을 단락소
별로 정렬한다면
, 그는 어떤 특정한 단락소가 어떤 특정 화소로 나타나
는지 아닌지를 쉽게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 예를 들어 ‘금지’와 ‘위반’에
기초한 일정한 수의 샤이엔
(Cheyenne)
부족의 민담들을 정리한 후에, 나
는 특별한 힘을 사용하지 말라는
‘금지’가 불변적으로 네 번 이상 나타
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어떤 경우에서는, 이러한 특정 화소가 생겨나
도록 하는 샤이엔 부족의 이야기 제공자에 의해 민담의 내용이 상당히
변화되었다
. 샤이엔 부족의 “구르는 바위” 이야기 각 편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바위에 대한 공격
26이 발견되지 않는다
. 대신 “장난꾸러기는
25
뵈게린과 해리스
, 「언어학의 범위(The sc ope of Linguistic s)」, 뺷미국의 인류학자들
(American Anthropologist)뺸 49, 1947, p.596.
26
(역자 주) 앞에서 보았듯이 장난꾸러기가 바위에 똥을 누거나 이전에 주었던 선물을 다
시 빼앗아 가는 따위의 행위를 발한다
.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33
건드리지 않고도 바위들을 굴릴 수 있는 어떤 사람을 보고 그런 힘을
갖기 원한다
.(L) 그에게 그 힘이 주어진다.(LL) 그가 네 번 이상 그 힘을
쓰지 않는다는 조건 위에서
.(Int) 그는 세는 것을 잊어버리고 다섯 번 그
힘을 쓴다
.(Viol) 그러자 바위가 그를 계속 쫒아온다.(Conseq) 밤새가 바
위를 깨뜨려 장난꾸러기를 구해준다
.(AE) “네 번 이상 하지 말라”는 화
소를 특정 문화가 선호한다는 사실은 한 편의 민담을 읽을 때 인지되었
을 수도 있고
, 인지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런데 지극히 주관적인 경
험주의적 접근을 더 이상 수행할 필요는 없다
. 다만 특정 단락소의 패
턴에 기초한
, 어떤 문화 내부의 모든 민담들을 정렬시켜 놓거나 겹쳐
놓기만 하면
, 특정 단락소의 틈(Slot)을 채우는 다양한 화소들을 발견하
게 될 것이다
.
구조 분석의 또 다른 이점은 다른 사회의 문화와의 접촉 혹은 다른
문화의 이입에 따른 문화변용
(acculturation)의 상황을 예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 만일 유럽 민담의 구조와 미국 인디언 민담의 구조를 알고 있
다면
, 유럽의 어떤 민담을 미국 인디언 민담 향유 집단이 빌려왔을 때
어떤 변화들이 발생되는가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아르네 - 톰슨의 민담 유형 121번, 즉 ‘늑대들이 서
로 나무 꼭대기에 올라간다
’는 이야기에 해당하는 주니(Zuni) 부족의 각
편은 교훈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 유럽의 민담에서는 몇몇 늑대들이
나무 위에 있는 누군가를 잡기 위해 서로 꼭대기로 올라가려고 모여든
다
. 맨 아래에 있던 늑대가 떠나 버리자 나머지 늑대들이 모두 굴러 떨
어진다
. 주니 부족의 각편에서는, “늑대가 옥수수를 얻기 위해 절벽을
올라가려고 한다
.(L) 늑대는 그의 친구들을 불러 모으고, 그 무리는 서
334
제13호
로의 꼬리를 붙잡거나 그들의 항문에 끼어 있는 옥수수 속대를 붙잡고
절벽을 올라가자고 결정한다
.(LL) 늑대들은 모두 방귀를 뀌지 말아야
한다고 주의를 받는다
.(Int) 그러나 마지막에 있던 놈이 방귀를 뀌자
(Viol)
그 전체 사슬이 허물어져 내려 모든 늑대가 죽는다.(Conseq)”
이전의 민속학자들이 북미 인디언 민담 가운데에서 유럽의 민담들을
단순히 확인하는 데 만족했다면
, 이제 유럽의 민담들이 전통적인 미국
인디언 민담의 양식이라는 형틀 속에서
, 이런 경우에는 ‘금지/ 위반’이
라는 단락소의 연쇄 구조 속에서 어떻게 주조
(鑄造)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 유럽 민담과 미국 인디언 밈담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구조적 차이 가운데 하나가
, ‘결핍’과 ‘결핍 해소’와 같은 한 짝의 관련된
단락소들 사이에 끼어든 단락소의 수와 관계있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
은 흥미롭다
. 그 끼어든 단락소의 수는 민담의 “단락소적 깊이(motifemic
depth)
”라고 이름붙일 수 있는 어떤 징표로서 이해될 수 있다. 미국 인디
언 민담은 유럽의 민담보다 단락소의 깊이가 훨씬 덜하다
. 유럽의 민담
에서는
‘결핍’(프로프의 ‘기능’으로 말하면 8a)와 ‘결핍 해소’(프로프의 ‘기능’으로
말하면
19번)
사이의 거리가 매우 넓은 반면, 미국 인디언 민담에서 결핍
은 진술되자마자 곧바로 해소된다
. 미국 인디언 민담의 단락소적 깊이
가 얕은 것은
, 그것이 자생적인 것이든 차용된 것이든, 미국 인디언 민
담들 가운데 누적담
(cumulative folktales)이 없다는 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
‘누적담’은, 대개 ‘작품 서두의 결핍과 후반부에서의 그 결핍의 해소’라
는 틀 속에서
, 해소되어야만 하는 광범위하게 상호 연결된 일련의 결핍
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 어떤 특정 문화 속에 일정하게 구조적 양
식을 갖춘 민담들을 이식하고
,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그것을 끄집어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35
내어봄으로써 이 가설의 타당성이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
구조 분석은 갈래 간 비교라고 하는 미답의 영역에서 아마 가장 놀라
운 기여를 할 것이다
. 민속학자들이 상이한 민속 갈래들을 비교하려고
시도한 적은 거의 없다
. 그렇기는커녕 민담과 미신의 갈래에 관해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민속학 연구의 영역을 구비문학과 민속 관습
(folk custom)
이라는 두 분야로 나누려는 시도가 있었던 형편이다
. 예를 들어 헤르스
코비츠
(Herskovits)는
, 그가 명명했듯이 이러한 “두 개의 위임 통치령(dual
mandate)
”에 대해 만족스러워했고,27 바스콤(Bascom) 또한 인류학자에게
민속학은 신화와 민담을 포함하지만 민속 관습이나 민속 신앙은 포함하
지 않는다고 명백하게 단언하였다
.28
그러나 그 두 갈래를 형태론적으로 분석해 보면 그 둘의 근저에는 공
통의 구조적 양식이 드러난다
. 최근 출간된 구조 연구29에서 나는 미신
을 다음과 같이 임시적으로 갈래 규정할 것을 제안했다
. “미신은 하나
이상의 조건
(Conditions)
그리고 무엇인가 징후와 원인을 가진 하나 이상
의 결과
(results)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표현
”이라는 것이다. 미신의 공식
은
“A라면 B일 것이다”라는 식으로 간략히 말할 수 있다. “C를 하지 않
는다면
”이라는 조건은 임의적으로 붙을 수도 있다. 내가 “마법(Magic)”
이라고 부른 미신의 범주 속에는 하나 이상의 조건의 충족은 하나 이상
의 결과를 야기한다
. 예를 들어 치페와(Chippewa) 부족은 “개나 고양이
27
멜빌
J. 헤르스코비츠, 「백 년 후의 민속학: 재정의의 문제(Folklore After a Hundred
Years : A Problem in Redefinition)」, Jounal of American Folklore 59, 1946, p.93.
28
윌리엄
R. 바스콤, 「민속학과 인류학(Folklore and Anthropology)」, Jounal of American
Folklore
66, 1953, p.285.
29
앨런 던데스
, 「브라운 군(郡)의 미신들(Brown County Superstitions)」, 뺷중서부의 민속
(Midwest Folklore)뺸 11, 1961, p.28.
336
제13호
미신
민담
금지
어떤 소녀가 토끼를 잡지 말라는 경고를
받는다
.
조건
만일 여자가 사슴 사냥을 가서 웨이퍼
(wafer) 빵을 먹는다면
위반
그녀가 하고 싶은 대로 한다
.
-------------------
결과
식인 괴물이 나타난다
.
결과
그녀는 쌍둥이를 얻게 될 것이다
.
탈출
시도
쌍둥이 아하이유트
(Ahaiyut)가 그 소녀
를 구해준다
.
반대
행위
만일 그 빵이 그녀의 집 사닥다리 가로대
를 네 번 지나가지 않는다면
를 호수에 던지면 폭풍이 온다
”고 믿는다. 그러나 “전환(Conversion)” 미
신에서는
,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무효화되거나 심지어는 역전되어
그 결과 바람직한 상황이 초래된다
. 그러므로 마법 미신에서는, 만일
충족되기만 한다면 어떤 결과를 이끌어 낼 조건 행위
(conditional action)
가 있다
. 그러나 어떤 개인으로 하여금 마법 미신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피하거나 무효화하게 하는
, 반대 행위(counteractant)로 채택된 전
환 미신이 있을 수도 있다
. 아마도 이제 민담의 ‘금기/위반’이라는 단락
소의 연쇄 구조와 미신의 구조 사이의 유사성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 다음 주니 부족의 민담과 미신을 검토해 보자.
위반 단락소와 유사한 외관상의 결핍을 잘못 보아서는 안 된다
. 미신
에서는 조건이 충족되거나
, 금지가 위반될 것이라고 언제나 생각된다.
그래서 민담과 미신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 보인다
. 더구나 동일한 문
화에 속해 있는 민담과 미신의 형식 사이에 일정한 상호연관성이 있는
지의 여부
, 특히 대체로 임의적인 ‘탈출시도’ 단락소와 미신의 ‘반대행
위
’의 부분에 관해서 이해하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민담에서 금지를
위반한 결과로부터의 탈출시도가 매우 우세하게 나타나 있는 문화에
,
그것과 유사성이 아주 많은 반대행위 혹은 전환 미신이 있을지도 모른
북미 인디언 민담의 구조유형학
337
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30 이러한 구조적 패턴이 다른 민속 갈래들 속
에서도 역시 발견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 예를 들어 게임에
는 반드시 규칙이 있다
. 만일 그 규칙을 어긴다면(그리고 규칙을 어기는 것
이 게임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
벌칙을 받아야 한다. 특별한 게임이나 그
게임의 특별한 각편에 따라서는
, 그 벌칙을 무효화하거나 거기서 벗어
날 수 있는 수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31
구조 분석이 중요하다는 것은 확실하다
. 미국 인디언 민담의 형태론
적 분석은 유형적인 설명을 가능케 한다
. 그러한 설명은 그 다음으로
민속학자들이 내용의 문화적 결정을 검토하고
, 문화적 변화를 예상하
며 갈래 간 비교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 다른 지역, 예컨대 아프리
카의 민속을 구조적으로 분석해 보면
, 일정한 구조적 패턴이 보편적인
지 아닌지의 여부가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
30
(역자 주) 미신의 구조에 대한 더욱 자세한 논의는 앨런 던데스의 「미신의 구조(The
Structure of Superstition)」, Analytic Essays in Folklore, Mouton, 1975, pp.88~94를 참고할
수 있다
.
31
구조 분석을 통한 갈래 간 비교 논의는 다양한 민속 갈래들에서 동일한 구조적 모형들을
두루 활용하는 논문에 의해 견실하게 된다
. 이에 대해서는 ElliKongas Maranda와 Pierre
Maranda의 「민속학의 구조적 모형들(Structural Models in Folklore)」, 뺷중서부의 민속학
(Midwest Folklore)뺸 12, 1962, pp.133~92를 볼 것. 대부분의 민속학자들에 의해 무시되
었던 민속학의 형식인 민속무용에 구조 분석을 적용하는 것 역시 갈래 간 비교 논의에 큰
힘이 될 것이다
. 이에 대해서는 György Martin과 Ernõ Pesovár의 「헝가리 민속 무용의 구
조 분석
(방법론적 개요)(Structual Analysis of the Hungarian Folk Dance-Methodo-
logical sketch)」, Acta Ethnographica 10, 1961, p.1~40을 볼 것. 민담과 게임의 구조를 비
교한 것에 대해서는 앨런 던데스의 「게임의 형태학에 관하여
: 비언어적 민속의 구조 연
구」
[“On Game Morphology : A Study of the Structure on Non-Verbal Folklore”, New York
Folklore Quarterly
20, 1964, pp.276~288]을 볼 것(편집자 주).
338
제13호
참고문헌
Bascom, Wil iam R., 「민속학과 인류학(Folklore and Anthropology)」,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66, 1953.
Boas, Franz, Tsimshian Mythology, Thirty-First Annual Report of the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Washington : Goverment Printing Office, 1916.
Dundes, Alan, 「브라운 군(郡)의 미신들(Brown County Superstitions)」, 뺷중서부의 민
속뺸
11, 1961, pp.25~56.
_______, “From Etic to Emic Units in the Structural Study of Folktales”,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75, 1962.
_______, 「북미 인디언 민담의 형태학(The Mor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 Folklore Fellows Communications 195, Helsinki, 1964.
Herskovits, Melville J., 「백 년 후의 민속학 : 재정의의 문제(Folklore After a Hundred
Years : A Problem in Redefinition)」, Jounal of American Folklore 59, 1946.
Jacobs, Joseph, 「전파(傳播)의 문제 : 말대꾸들(The Problem of Diffusion : Rejoin-
ders)」, 뺷민속학(Folklore)뺸 5, 1894.
Jacobs, Melville, 「민속학」[월터 골드스미스(Walter Goldschmidt)가 편찬한 뺷프란츠
보아스의 인류학
(The Anthropology of Franz Boas)뺸에 수록됨], Memoir 89, 샌
프란시스코
: 미국인류학회(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59.
Jacobson, Roman, 「프란츠 보아스의 언어 접근(Franz Boas' Approach to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0, 1939.
Pike, Kenneth, 뺷인간 행위 구조에 대한 통합 이론과 관련한 언어(Language in Relation
to a Unified Theory of the Structure of Human Behavior
)뺸, 3 parts, Glendale,
Cal. :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54~1960.
Propp, Vladimir, 뺷민담형태학(Morphology of the Folktale)뺸, Publication 10, 인디아나
대학 인류학․민속학․언어학 센터
, 블루밍턴, 1958.
Voegelin, C. F. and Z. S. Harris, 「언어학의 범위(The scope of Linguistics)」, 뺷미국의
인류학자들
(American Anthropologist)뺸 49,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