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건축의 이해
(전통목조가구법과 공간활용을 위한 가구법변용)
-전통문화 교육원 –
목 차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Ⅱ. 전통한옥 목조가구법 탐구
Ⅲ. 전통한옥 목조가구법 변용을 통한 공간활용 사례
전통건축의 이해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한
옥 ?
3W1H
(What, Where, Why, How)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해남 윤탁가옥
1.1 한옥의 평면간살이는 구들방과 마루방이 함께 구조
되었다는 평면구성의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입면적으로는 기단과 몸체 그리고 지붕으로
명확한 구획을 갖는다.
-----
지붕부
-----
몸체부
-----
기단부
-----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한옥의
정의
1.2 목조한옥의 구성은 부재와 부재가 이음과 맞춤의 기법에
따라 기능에 맞는 간살이와 가구방식을 달리하며 완성된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한옥의
정의
최근 들어 저탄소 녹색성장을 정책기조로 내세우
며 시작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지방자치단체에서
시작되더니 중앙정부에서도 자연친화적인 한옥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韓) 문화의 브랜드화
정책을 수립하는 등
한옥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어가는 분위기다.
전라남도의 ‘행복마을 조성사업’이나
전주시의 역사경관 보존을 위한 ‘전주한옥마을사업’
서울특별시의 ‘북촌가꾸기사업’처럼
집단적인 한옥촌 정주마을이 도처에서 활성화.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농어촌 행복마을 – 전남 청산도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70년대 접어들어 새마을운동은 새벽종소리와 함께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히면서 오랜세월 농어촌 경관을 지켜온 볏
짚을 내리고 골슬레이트와 골함석으로 대체되었다.
농어촌 행복마을 – 전남 장흥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2006년도부터 시작된 전라남도의 행복마을 사업은 한옥을 기본 인프
라로 삼아 낙후되어 있는 농어촌 마을을 사람이 살고 싶은 지역으로
만들어 현 주민들과 후손들이 정착하고, 도시민이 돌아오는 마을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도시한옥촌 - 전주한옥마을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도시한옥촌 – 서울 북촌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대단위 숙박단지나 공공시설물에도 한옥의 조형과
한식 목구조를 기본 컨셉으로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한옥은 문화재유산으로서의 존재감을 넘어
현대인의 삶을 담는 그릇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분 좋은 일이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완도 수목원 산림박물관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듯 살림집뿐만아니라 공공건축분야에서도
한옥형 건축물의 건축이 활발히 진행되어 전국적으로 한옥 및 전통목구
조를 조형언어로 삼는 조성사업이 붐을 일으키고 있다.
장성 홍길동 테마파크 청백당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한옥이 관심을 받고 다시 시골마을과 도심에서 재생된다는 것은 기쁜 일
이다. 이제 우리문화를 어디에 내 놓아도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다는
‘문화적 자신감’이 생겼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광주 전통문화관 건립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영암 포플러1(F1)경기장 한식육교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목구조의 탄성한계를 뛰어 넘은 L45m 무경간 한식육교 가능
영암전통숙박단지(영산제)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2. 한옥의
소멸과 재생
(운명)
3.한옥의
진화
한옥의 정형은
대청과 툇마루를
마루로, 안방과
건넌방을 구들로
구조한 형상.
입 면 구 성 은
기단과 몸체 그
리고
지붕으로
구획.
전통한옥의 정형 – 평면/입면/단면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3.한옥의
진화
표준(신)한옥의 평
면은 전통한옥의 정형
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공간요소 도입
(화장실과 다용도실,
거실과 주방, 계단등)
입면구성은
전통
한옥의 외형을 최대한
유지
한옥의 진화 - 평면/입면/단면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나주 미륵사
3.한옥의
진화
한옥의 진화 - 평면/입면/단면(다락의 유무)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기존방식
변용방식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3.한옥의
진화
한옥의 진화 - 평면/입면/단면
기존방식
변용방식
변용원리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행복마을 만들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650
1650
1650
1650
1800
1800
1500
1500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800
1650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행복마을 만들기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A
B
A
B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A
A
A
교량마을-1
윤지영 (순천시 교량동 753-1)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3.한옥의
진화
금산마을-1
강금옥 (순천시 낙안면 금산리 379-4)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3.한옥의
진화
4. 전통주거문화
계승을 위한고민
4.1 한식목구조의 건립(건물단위 조성계획)
한옥이 부흥기를 맞고 있다.
마을마다 제법 많은 한옥이 건립되었고, 시골마을 경관이
울긋불긋한 함석지붕에서 한옥지붕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가까이 다가서서 자세히 살펴보면 서운한 곳이 너무 많다.
울타리 안에 한옥 한채 짓었다고 해서 정체성이 회복되는 것
이 아니다.
전통주거문화 계승과 정체성 회복을 위해 이제는 한옥집만
짓을게 아니라 경관을 고려한 주변시설물과 조경에도 신경을
써가며 한옥마을 조성사업을 추진해야할 것이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2 가구단위 조성계획
한옥이 아름다운 것은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의 짜임
이나 형태가 주는 미학적 가치도 있지만
한옥의 주변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담장, 터밭, 장독대, 부속
채, 절재된 조경수 등 가구단위 구성요소의 조화로운 배치가
완성되었을 때 한옥의 경관적, 심미적 아름다움이 절정에 이
를 것으로 본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2 가구단위 조성계획
가) 공간구성1 – 평민의 살림집
골목에 접한 담장의 일부를 터서 사립문을 달거나 대문채를
지어 집안에 들게 된다. 주요건물은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
며 본채와 부속채가 배치되고, 여백의 공간에 텃밭과 장독대,
몇그루의 관상수나 유실수 등을 심는다.
나) 공간구성2 – 반가의 살림집
사랑채 영역과 안채 영역으로 나뉘며 사랑채를 중심으
로 남성의 생활시설이 들어서고, 안채를 중심으로 여성의
생활시설이 들어선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대문채
안채2
안채1
안채3
01 담양 고재환가옥
가옥
대문채
행랑채
사랑채1
사랑채2
02 보성 이용욱가옥
가옥
여 성 공 간
남 성 공 간
4.3 마을배치계획
가구단위 조성계획은 마을 배치계획을 깊이 염두해 두고 함께
고민해가야할 것이다. 마을 구성은 가구단위 한옥의 집합이라는
형태로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담장으로 구획된 단위가옥은 상호인접하여 골목을 만들고, 골
목은 마을어귀에서 내집과 통하는 길이되고, 나와 이웃이 통할 수
있는 소통의 길이 된다.
과거 전통마을을 구성했던 경관적 요소는 무엇이 있었고, 그들
이 주는 경관적 가치와 심미적 가치는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고,
우마차 문화는 사라지고 자동차문화로 대체된 오늘날 새문화
를 담고갈 미래마을 안에는 무엇을 보존하고 어떤 새로운 요소가
도입되어야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해야할 절호의 기회가 지금
이 아닌가 싶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이중환의 “
택리지”에 거주지의 조건으로 지리
(地理), 생리(生利), 인심(人心), 산수(山水)의
네가지를 들고 있다.
지리는 주로 산과 강 등의 지형적 요소
생리는 사람과 물자의 유통 등 경제적 요건
인심은 지역 사회의 당파별 구성이나 풍속
산수는 주변에 즐기고 노닐 만한 경치
4.3 마을배치계획(예:양동마을-물 (勿)자형국)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택리지
서백당(월성손씨종가) - 이언적외가
무첨당(여강이씨종가)
관가정(첫분가)
향단(첫분가)
낙선당(제2분가)
육위정(제2분가)
안락정(손씨서당)
강학당(이씨서당)
수운정(손씨정자)
설천정(이씨정자)
월성손씨
여강이씨
서 백 당
무 첨 당
종 가 댁 ;
관 가 정
향
단
첫 분 가 ;
낙 선 당
육 위 정
제 2 분 가 ;
안 락 정
강 학 당
서
당 ;
수 운 정
설 천 정
정
자 ;
4.3 마을배치계획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물길-소하천)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장승과 당산나무)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마을길과 큰도랑)
생활하수를 나르는 물길이 마을길을 따라 자리하고 있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마을길)
Ⅰ. 행복마을 만들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마을길과 숲길)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정자)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솟을삼문)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골목과 작은도랑)
골목은 내집 담장과 이웃집 담장에 의해서 만들어진 여백의 공
간이다. 골목을 통하여 외부와 접촉하고 정보를 교환하기도 한다. 골목은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정도로 좁기도 하고 우마차가 지나갈 정도로 넓기도 하다.
반듯한 직선도 있지만 부드럽게 휘어 들도록하여 사생활을 보호하기도 한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Ⅰ. 행복마을 만들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우물터)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담장)
담장은 한옥을 담는 그릇이자
영역의 경계를 알리는 선.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담장)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굴뚝)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굴뚝)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굴뚝)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농경-모심기)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농경-수확)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초가잇기-이엉, 마름)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초가잇기-이엉, 마름)
Ⅰ. 행복마을 만들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초가잇기-이엉, 마름)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고유제)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4.4 전통마을의 주요경관적 요소(조상숭배-제향행사)
5. 기술자의
역할
전통한옥의 조형은 살림집뿐만 아니라 상업시설, 숙박
시설, 관공서 및 공공시설, 문화․예술시설등 사회전반적인
건물에서 부활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과 골동의 가치에 푹빠진 건축주라도 기능과
기술적 한계로 한옥의 조형을 우회하는 경우가 아직까지는
대세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한옥을 선호하는 사람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인데
반하여 한옥을 제대로 이해하고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는
기술자 집단층은 급작스런 요구에 비해 너무 얇다.
이젠 경험이 많은 전문가 집단 즉 학계나 전문기술자들
은 오늘날 한옥의 조영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전통적인
조영사상을 계승하면서 이 시대의 새로운 문화를 담을 수
있는 진화된 한옥조영을 위한 방법과 비젼 제시라는 숙
제를 해야할 시점에 서 있다고 본다.
행정도 발벗고 나서야 한다. 전통건축문화의 정착을 위한
전략적 방향설정을 위해 학계와 전문가 집단에 의한 R&D
사업, 학술세미나, 공모전등 다양한 집단에서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Ⅰ. 한옥마을 둘러보기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가구법 유형
변작법 이해
1. 서 언
신한옥의 공간구성과 활성화 방향
첫째, 전통한옥의 조영원리를 지키되 규모나 간살이에 이 시대의
기능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발전시키는 방법이다.
둘째, 구조와 외형은 전통가옥의 조영원리를 따르면서
내부는 현대적 감각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이다.
셋째, 전통한옥의 멋과 조화를 발휘할 수 있다면
신재료와 신기술의 도입도 깊이 고려해야할 것으로 본다.
본장에서는 전통목구조의 몇가지 조영원리를 살피고, 그 원리에
바탕을 둔 기능적 공간 구성과 변용의 원리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2. 간의 개념과
가구기법
2.2 지붕 형태
맞배집 / 우진각집 / 팔작집 / 사모정 / 육모정 / 팔모정 / 기타
/ 맞배집 /
/ 우진각집 /
/ 팔작집 /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2. 간의 개념과
가구기법
2.1 한옥의 가구법과 변작법
건축구조는 결구방식에 따라 가구식, 조적식, 일체식으로
구분되며 한옥의 구조는 각각의 부재를 이음이나 맞춤에
의해 결구해 나가는 가구식이다.
가구법은 종단면도상에 나타나는 도리의 개수에 따라 3량가,
5량가, 7량가등으로 구분하고, 고주(高柱)의 유무에 따라
1고주 00량가, 2고주 00량가등으로 가구방식을 구분한다.
변작법은 종단면도 상에서 중도리 위치를 대들보 총길이의
3등분한 지점에 설치하였는가 4등분한 지점에 설치하였는가
의 여부에 따라 3분(변)작 또는 4분(변)작 하였다고 해석한다.
3 량 가
5 량 가
7 량 가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대문채, 헛간채, 기타부속채에 활용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2 단층가구식 목구조2(5량가) – 무고주 5량가
퇴칸이 불필요한 큰공간이 필요한 건물에 활용
3분(변)작-확대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4분(변)작
3분(변)작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2 단층가구식 목구조2(5량가) – 1고주 5량가
안채등 전퇴칸 또는 후퇴칸이 필요한 주건물에 활용
4분(변)작
3분(변)작
3분(변)작-확대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2 단층가구식 목구조2(5량가) – 2고주 5량가
안채등 전후퇴칸이 필요한 주건물에 활용
4분(변)작
3분(변)작
3분(변)작-확대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2 단층가구식 목구조2(5량가) – 5량가 변작법
4분(변)작
3분(변)작
3분(변)작-확대
A
A
B
B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3 단층가구식 목구조3(7량가) – 무고주 7량가
4분(변)작
3분(변)작
3분(변)작-확대
퇴칸이 불필요한 큰공간이 필요한 건물에 활용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3 단층가구식 목구조3(7량가) – 1고주 7량가
안채등 전퇴칸 또는 후퇴칸이 필요한 주건물에 활용
4분(변)작
3분(변)작
3분(변)작-확대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3.3 단층가구식 목구조3(7량가) – 2고주 7량가
안채등 전후퇴칸이 필요한 주건물에 활용
4분(변)작
3분(변)작
3분(변)작-확대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단층)
<표1> 가구법과 변작법에 따른 건축적특성과 변화 비교표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4 중층가구식 목구조1(중층1형식 – 고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4 중층가구식 목구조1(중층1형식 – 고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4 중층가구식 목구조1(중층1형식 – 고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4 중층가구식 목구조1(중층1형식 – 고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5 중층가구식 목구조2(중층2형식 – 층단변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5 중층가구식 목구조2(중층2형식 – 층단변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5 중층가구식 목구조2(중층2형식 – 층단변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6 중층가구식 목구조3(중층3형식 – 심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6 중층가구식 목구조3(중층3형식 – 심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다층)
3.7 다층가구식 목구조1(고주, 층단변주, 심주)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7 다층가구식 목구조1(고주, 층단변주, 심주)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3. 전통가옥
목구조의
가구법과
변작법의
상호관계
(중층)
3.7 다층가구식 목구조1(고주, 층단변주, 심주)
1층 ~ 2층 : 층단변주식
2층 ~ 3층 :고주식
3층 ~ 4층 : 층단변주식
4층 ~ 5층 : 심주식
Ⅱ. 전통(한옥)목구조 가구법 탐구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변용사례
나주 미륵사
화순 유마사
기
타
가. 설계적용1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나주 미륵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1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나주 미륵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1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나주 미륵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
기존방식
변용원리
변용방식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기존방식
변용원리
변용방식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화순 유마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무안초의선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무안초의선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가. 설계적용2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
무안초의선사
Ⅲ. 가구법의 기능적활용과 적용사례
감사합니다.
1) 단층가구식 목구조1(3량가) : 대문채, 헛간, 기타부속채에 활용
ㄱ) 무고주 5량가 변작 : 안채등 퇴칸이 불필요한 건물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