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2020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자체평가결과.pdf

닫기

background image

한 국 전 통 전 통 문 화 대 학 교

대학자체평가(2018-2019)

결과보고서

2021.  2.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목    차

   

Ⅰ.  자체평가 개요  ······················································································ 1   

        1)  자체평가 개요  ···································································································· 1     

              1.  목 적  ················································································································· 1     

              2.  법적근거  ············································································································ 1     

              3.  선행자체평가 분석  ·························································································· 1     

              4.  자체평가 시행계획  ·························································································· 2     

        2)  평가지표 선정  ···································································································· 3     

              1.  지표선정 기본방향  ·························································································· 3     

              2.  지표선정 내용  ·································································································· 3     

        3)  자체평가 활용  ···································································································· 3     

        4)  자체평가 지표  ···································································································· 4     

              1.  평가지표  ············································································································ 4     

              2.  평가지표 평가준거  ·························································································· 6     

 

  Ⅱ.  대학개황  ······························································································ 11   

        1.  주요연혁  ··············································································································· 11     

        2.  대학조직 ················································································································· 12     

        3.  교직원 현황 ··········································································································· 13     

        4.  학생 현황 ··············································································································· 13     

   

Ⅲ.  평가결과  ······························································································ 15   

        1.  대학사명 및 발전계획  ······················································································· 17     

        2.  교육·연구 ················································································································ 23     

        3.  학생 및 교육성과  ······························································································· 57     

        4.  교육시설  ··············································································································· 75     

        5.  대학구성원 소통  ································································································· 89     

        6.  대학 재정 및 경영  ····························································································· 95     

   

Ⅳ.  평가결과 요약 및 논의 ··································································· 103   

        1.  평가결과 요약  ··································································································· 105     

              1)  지표별 달성 여부 ························································································· 105     

              2)  주요 정량지표 타대학과 비교  ································································· 107     

              3)  선행 자체평가와 비교  ··············································································· 108     

              4)  역대 자체평가(2010년~)와 비교  ··························································· 109     

        2.  논의 및 개선사항 ······························································································· 110     


background image

<세부 목차>

1.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 17
1.2.1 대학 발전계획의 수립 ····················································· 19
2.1.1 전공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23
2.1.2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29
2.1.3 교수·학습지원 ···························································31
2.1.4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 32
2.1.5 비교과과정 운영지원 ····················································· 34
2.1.6 현장실무 교육과정 ····················································· 36
2.2.1 전임교원 확보율 ······················································38
2.2.2 교원 인사제도 ··························································40
2.2.3 강사보수 수준 ··························································42
2.3.1 교원 연구실적 및 연구비 ················································ 43
3.1.1 학생선발 입시제도 현황 ·················································· 57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 61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 62
3.2.1 학생 자치활동 지원 ····················································· 63
3.2.2 학생 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64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 ················································ 65
3.4.1 졸업생 취업률 ··························································67
3.4.2 취창업 지원 ······························································69
3.4.3 자격증 현황 ······························································71
4.1.1 교사 확보율 ······························································75
4.1.2 강의실 확보율 ··························································77
4.1.3 실험·실습실 확보율 ···················································· 78
4.1.4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 81
4.1.5 기숙사 수용률 ··························································82
4.1.6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 84
5.1.1 대학구성원 소통 ······················································86
5.2.1 교육만족도 ································································87
6.1.1 교육비 환원율 ··························································91
6.1.2 장학제도 ································································98
6.1.3 장학금 비율 ·························································· 100
6.2.1 감사제도 ································································101
6.2.2 감사결과 활용 ······················································· 102


background image

자체평가  개요

1. 자체평가 추진 개요

2. 평가지표 선정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1  -

자체평가  개요

법적근거

❍ 

『고등교육법』 제11조의 2(평가) 제1항 

학교는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기관의 교육과 연구

, 조직과 운영, 시설과 설비 등에 

관한 사항을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공시하여야 한다

.

❍ 

「고등교육기관의 자체평가에 관한 규칙」 제3조의 2

자체평가는 

2년마다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자체평가에 관한 규정」(예규 제48호)

자체평가 목적

❍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책무강화와 개선점 파악

❍  평가결과 피드백을 통한 교육의 질 확보와 대학의 경쟁력 강화

❍  정보공시를 통한 국민들의 알권리 충족

우리대학  선행  자체평가  분석(2010년~  /  매  2년  평가

자체평가 성과

❍ 

2010년부터 실시한 자체평가는 해당 시기 고등교육인증평가 기준을
기본으로 실시

- 유사 특수목적대와 일반국립대 수준과 비교한 우리대학의 현재 위치진단
- 대학의 강점 파악(장학금 지급률, 기숙사 수용률, 교육비 환원율 등)

- 일부지표(장학금, 논문실적, 수업규모, 자료구입비 등)는 본교가 소규모

대학이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유리하게 작용

현재까지 자체평가의 한계점

(2010~)

❍  현재까지의 자체평가결과 피드백

, 개선사항 반영 미흡

- 그 동안의 자체평가는 ‘평가’에만 그치고 실제 대학 발전을 위한 개선

사항 반영 및 중요지표 관리에는 미흡


background image

-  2  -

2020년도  자체평가  시행계획

기본방향

❍  학부  및  대학원의 

2년(2018~2019)간 데이터를 통해 우리대학의 

발전정도를 파악

- 대학기관평가인증 통계를 참고하여 전체대학, 국립대 평균과 비교
- 정성지표 및 자체지표는 타대학 사례, 대학 누적통계와 비교 
- 일부 지표의 경우 대학원 제외(충원율, 취업률 등)

❍  선행된 자체평가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 평가결과 피드백 강화

평가관련 조직구성

❍  평가관련 조직구성

- 우리대학 자체평가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평가위원회를 조직하고 별도로

실무팀 구성

구  분

기  능

비  고

총     장

최종 의사결정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지표 심의

기본방향제시

평가보고서 심의

위원장 

: 교학처장

위원 

: 전임교원 및 외부인사

등 총 

8명

[자체평가위원회 명단]
-위원장: 정*재
-위  원: 이*아, 김*택, 최*성,

*용, 서*권, 김*철, 임*환

자체평가 실무팀

평가지표개발

평가보고서 작성

평가관련 실무업무

교무과

(교육혁신계)

자체평가 지원부서

평가관련 자료 및 의견제공

교무과

, 학생과, 총무과,

각 학과


background image

-  3  -

평가지표  선정  기본방향

지표선정 기본방향

❍  평가의 연속성을 위해 

2018년도 평가지표를 기본틀로 설정

- 대학기관인증평가지표  및  타대학  자체평가  지표를  대학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

❍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자체지표 포함

- 문화재수리기능·기술 자격 현황, 현장실무 교육과정 지원 등 지표 포함

지표선정 내용

❍  객관성  확보를  위해  내부

(대학본부, 학과) 의견수렴, 외부(전문가)

자문검토 실시

❍  대학기관평가인증 영역분류를  기본틀로 

6개영역, 14개  부문으로 

선정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지표를 참고하여 설정

❍  세부 

34개 평가지표 선정(정성평가 17, 정량평가 17)

❍  자체평가위원회를 거쳐 지표 확정

지표선정 절차 

지표 초안 개발

내부구성원 의견수렴

자체평가 위원회

심의·의결

자체평가  활용

향후 자체평가 결과 활용계획

❍  자체평가를 통해 기본적으로 우리대학을 진단하고 취약한 부분을 

개선 추진

❍  지표점검을 통해 대학의 발전정도 파악 및 후속조치 시행


background image

-  4  -

평가지표

2020년도 대학자체평가 지표

영 역

평가부문

특성

평가지표

출 처

18년도 

지표 
여부



1.

대학 사명 

및 

발전계획

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대학 설립목적 및 교육목표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1.2

발전계획

대학발전계획 수립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2.

교육연구

2.1

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교수

·학습지원 개선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기관평가인증 

/

대학역량진단

×

비교과 과정 운영 지원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현장실무형 교육과정

자체지표

×

2.2

교원

● ★전임교원 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교원인사제도 

(업적평가, 안식년,

연구년  도입

, 정년보장 교원 역할 

부여 등

)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강사 보수 수준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2.3

연구

● 교원 연구실적

기관평가인증

3.

학생 및 

교육성과

3.1

입시

입시제도 현황

기관평가인증 

● ★신입생 충원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재학생 충원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3.2

학생지원

학생활동 지원

기관평가인증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지원

기관평가인증

3.3

국내

·외 교류

국제교류 실적

(센터 운영, 전문인력

확보 등

)

기관평가인증

3.4

취창업

● 졸업생 취업률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취창업지원 

대학기본역량

×

● 자격증 취득

자체지표

4.

교육시설

4.1

교육연구기반

● ★교사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background image

-  5  -

● 강의실 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 실험·실습실 확보율

기관평가인증

●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기관평가인증

● 기숙사 수용률

기관평가인증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

DB 현황

기관평가인증

5.

대학 구성원 

소통

5.1

대학구성원 

소통

대학구성원 소통

기관평가인증

×

5.2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 조사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6.

대학행정 및 

재정

6.1

재정

● ★교육비 환원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 ★장학금 비율

기관평가인증 

/

대학기본역량

장학제도

기관평가인증

6.2

감사

감사제도

기관평가인증

감사제도 활용

기관평가인증

평가영역

: 6

평가부분

: 14

17 17

평가준거

: 34

(18년도 평가준거: 46)


background image

-  6  -

지표별 평가준거

평가지표

평가준거

근거자료

1.1.1 교육목표

대학은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명료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 교육목표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가

?

학교 설치법 및 학칙규정

1.2.1 대학발전계획 수립

대학의 장단기 발전계획은 대학구성원의 

요구분석 등에 근거하여 수립되어 있는가

?

대학발전계획 수립 및 

실행 현황

2.1.1 전공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대학은 학생의 입학 후 졸업까지 달성될 역량 

개발을 위해 전공교육과정을 편성하고

,

학생의선택권이 보장되도록 운영하고 있는가

?

전공교육과정 편성 및 

개편 현황

2.1.2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대학은 학문적

·사회적·시대적 요구 및 대학의 

인재상을 반영하여 교양교육과정을 편성하고

,

학생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운영하고 

있는가

?

교양교육과정 편성 체계 

및 운영현황

2.1.3 교수·학습 지원 개선

대학은 교수

·학습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개선활동 전개 

등 지속적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교수

·학습 전담조직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 

운영현황

2.1.4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대학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 수업평가를 실시하여 수업의 질을 

관리하고 있는가

?

수업운영 절차

, 수업관리 

기준 등

2.1.5 비교과과정 운영지원

대학은 정규 교육과정 외에 학생 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가

?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2.1.6 현장실무 교육과정

대학은 현장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적절히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증진시켜며

,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는가

?

현장실무교육 현황

(현장실습, 실습비율,

현장전문가 활용 등

)

2.2.1 전임교원 확보율★

대학은 원활한 교육 및 학생지원을 위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전임교원을 확보하고 있는가

?

전임교원 

1명당 학생 수 

및 전임교원 확보율

2.2.2 교원인사제도

대학은 효율적인 업적평가 및 교원인사제도 

규정을 갖추고 있는가

?

교원업적평가 현황 및 

인사제도

2.2.3 강사 보수 수준

대학은 시간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강사료와 함께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가

?

강사 강사료 및 복지

2.3.1 교원 연구실적 및 연구비

교수는 대학의 목적 및 특성에 따라 연구비를 

얼마나 수주하며 연구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가

?

교원 논문실적

(국내외)

산학협력단 연구비 실적

3.1.1 입시제도

대학은 대학설립 목적에 적합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도록 입시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편입생 모집요강 및 

입시제도 개편 현황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대학은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신입생 충원현황

, 입학 

유형별 선발결과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대학은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재학생 충원율

3.2.1 학생 자치활동 지원

대학은 학생자치활동을 활발하게 지원하고 

학생자치 활동 지원 현황


background image

-  7  -

있는가

?

3.2.2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 학업 및 진로지도와 

관련된 상담 체제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상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있는가

?

학생상담 체제

, 취업 및 

진로지도 체제

3.3.1 국내외 교류

대학이 국내외 대학

·기관들과 교류협정을 통해 

학술적

·교육적 인프라를 구축하였는가?

국내외 교류협정 체결 

현황

3.4.1 졸업생 취업률★

대학은 적정 수준 이상의 졸업생 취업률을 

유지하고 있는가

?

졸업생 취업현황

3.4.2 취·창업지원

대학은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가

?

·창업프로그램 현황

3.4.3 국가 자격증 취득

특수목적대의 취지에 맞게

, 학생들이 문화재관련 

자격 및 국가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자격즉 취득현황

4.1.1 교사 확보율★

대학은 교육활동에 필요한 일정기준 이상의 

교사를 확보하고 있는가

?

교사시설 확보현황

4.1.2 강의실 확보율

대학은 강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실을 확보하고

, 강의실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있는가

?

강의실 현황

4.1.3 실험·실습실 확보율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 실험·실습실의 쾌적한 

환경 및 안전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가

?

실험

·실습실 확보현황

4.1.4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에 대한 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실험

·실습 

기자재를 구비하고 있는가

?

실험

·실습 기자재 

구비현황

4.1.5 기숙사 수용률

대학은 학생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숙사 시설을 확보하고 있는가

?

기숙사 수용 현황

4.1.6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

DB 현황

대학은 학생들에게 적합한 자료와 학술

DB를 

충분히 지원하고 있는가

?

자료구입비 및 학술

DB 현황

5.1.1 대학구성원 소통

대학은 민주적인 대학경영을 위해 대학구성원과 

충분히 소통하고 있는가

?

대학평의원회 운영현황

,

대학

-학생 소통현황

5.2.1 교육만족도

대학은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교육만족도 조사 현황

6.1.1 교육비 환원율★

대학은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평가원이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교육비를 환원하고 

있는가

?

·결산 내역 등 학교 

회계에 관한 사항

,

발전기금 현황

6.1.2 장학제도

대학은 학생들은 위한 여러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학교 장학제도 현황

6.1.3 장학금 비율★

대학은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하도록 

하고 학업을 독려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는가

?

장학금 수혜현황

6.2.1 감사제도

대학은 예산편성 및 집행

, 대학경영에 대한 

감사제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

·외부 감사제도 현황

6.2.2 감사결과 활용

대학은 감사결과를 대학운영에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 그 결과를 대내·외에 

공개하고 있는가

?

감사결과 반영 실적 및 

공개방법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대학  개황

1. 대학 주요연혁

2. 대학 조직

3. 교직원 현황

4. 학생 현황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11  -

1. 주요연혁

연도별

주요연혁

비고

1996

1월

한국전통문화학교  설립계획  수립

4.19

학교  설치령  제정(대통령령  제14982호)

1997

9월

㈜기오헌  설계사무소  현상설계  당선

1998

11.19

학교건립  기공식

12.1

학교건립공사  착공

1999

5.24

한국전통문화학교  직제  제정(대통령령  제16347호)

-정원/49명(총장,  교수16,  조교2,  행정인력30)

2개과(총무과,  교학과)

10.25

초대  김병모  총장  취임

2000

2.15

한국전통문화학교  업무표장(CI)  출원

3.2

한국전통문화학교  개교(문화재관리학과,  전통조경학과)

8.16

대학학력인정(교육인적자원부)

2001

3.2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개설

9.29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7374호)

-정원/57명(총장,  교수19,  조교4,  행정인력33)

2002

3.4

문화유적학과,  보존과학과  개설

4.23

중앙도서관  개관

7.5

학교건립  준공식

2003

9.15

제2대  이종철  총장  취임

7.25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8061호)

-정원/59명(총장,  교수21,  조교4,  행정인력33)

2004

2.18

제1회  학위수여식

2005

8.1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001호)

-정원/65명(총장,  교수21,  조교4,  행정인력39)

11월

전통문화연수원  건립공사  착공

-지상  3층  2동

2006

3.9

전통문화연수원  건립  기공식

4.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440호)

-정원/70명(총장,  교수23,  조교4,  행정인력42)

2007

3.15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928호)

-정원/74명(총장,  교수23,  조교6,  행정인력46)

9.15

제3대  이종철  총장  취임(연임)

2008

11.30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0420호)

-정원/76명(총장,  교수23,  조교6,  행정인력46)

12.28

전통문화연수원  준공식

2009

4.17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1407호)

-정원/83명(총장,  교수23,  조교6,  행정인력51,  연수원교수2)

9.16

제4대  배기동  총장  취임

2010

10.19

제5대  김봉건  총장  취임

2011

7.1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제정(법률  제10830호)

11.28

전통기능교육센터  준공

2012

7.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시행령,  시행규칙  시행

1 대학  개황


background image

-  12  -

2. 대학 조직

❍ 교육기구

: 2개 단과대(7개 학과), 일반대학원·문화유산전문대학원, 교양기초학부

❍  대학본부

: 1처(교학처) 3과(교무과, 학생과, 총무과)

❍  부속기관

: 학술정보관, 학생생활관, 정보전산원, 신문방송사, 산학협력단,

전통문화상품개발실

, 전통기능교육센터, 평생교육원, 전통문화연구소(부설),

취창업센터

, 국제문화재교육센터

연도별

주요연혁

비고

7.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UI  변경

2013

3.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개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14

2.26

평생교육원  개원

12.29

제6대  김재열  총장  취임

2015

1.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5997호)

-정원/94명(총장,  교수33,  조교7,  행정인력51,  교육원교수2

*기술직  전환(관리운영직군  3명)

5.2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6276호)

*기술직  전환(관리운영직군  1명)

2016

2.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일부개정

5.10

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7151호)

-정원/95명(총장,  교수33,  조교7,  행정인력52, 

  교육원  교수요원2  *전문경력관  나군  1명)

11.2

대학원  기숙사  준공

2017

2.27

교육체제  개편  시행

-2개  단과대학  7개  학과

-대학원  5개학과

11.2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가입

2018

6.1

제7대  김영모  총장  취임

2019

2.26

학교직제  개정(대통령령  제29590호)

*총장,  교수37,  조교8,  행정인력51,  교육원교수요원2)

3.1

국제문화재교육센터,  취창업센터  개소

2020

4.7

연구지원센터  개소

6.9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개정

*전통문화  사회교육과정  신설

8.26

대학평의원회  설치  및  구성

11.2

개교  20주년  비전선포식


background image

-  13  -

3. 교직원 현황

4. 학생 현황

*  전통문화교육원의  직원을  포함한  대학  전체  직원  수  (단위:  명)

구    분

인원  수

총장

1

교원

전임교원

36

기타교원(겸초빙,  시간강사)

126

조교

8

직원

일반직

9급  이상

47

연구직

1

전문경력관

3

전문임기제

2

대학회계직

8

232

(단위:  명  /  2020년  12월  기준)

구    분

정원

재적생  수

(재학생+휴학생)

소계

기술

과학

대학

전통건축학과

80

63

47

110

전통조경학과

60

54

35

89

문화재보존과학과

80

48

53

101

문화

유산

대학

전통미술공예학과

160

51

134

185

무형유산학과

60

22

44

66

문화재관리학과

60

42

46

88

융합고고학과

60

55

35

90

대학원

일반대학원

구분

석사

박사

석사

박사

석사

박사

99

문화유산융합학과

80

30

1

5

-

-

전통미술공예학과

4

18

4

3

전통건축학과

11

30

11

12

문화유산

전문대학원

구분

석사

박사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08

문화재수리기술학과

80

30

33

42

11

12

문화유산산업학과

2

4

2

2

총    계

936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자체평가  결과

1. 대학사명 및 발전계획
2. 교육·연구
3. 학생 및 교육성과
4. 교육시설
5. 대학 구성원 소통
6. 대학재정 및 경영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17  -

1. 대학 사명 및 발전계획

1.1.1 교육목표

1.1.1 교육목표

① 대학의 설립목적

<표Ⅰ-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국가차원에서  전통문화  및  문화재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특수

목적으로  설립되어,  교육목표가  확고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을  특수목적  달성을  위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음

■  국내유일의  문화재  관련  특수목적  대학으로  교육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있음

■  또한  학교  내에  전통문화교육원을  설립하여  전통문화  및  문화재  관련  종사자들의 

전문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제1조(목적)에  대학의  설립목적과  교육목표에  대해 

명확히  제시하고  있음

■  ‘민족자존  문화창달’의  건학이념으로  민족의  전통을  찾아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이끌어  나갈  경쟁력을  갖춘  전통문화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두고  있음

■  본교는  문화재청  소속의  대학으로,  문화재의  발굴·복원·보존·관리  분야의  전통문화 

전문인  양성은  물론이고,  문화재  정책의  변화를  반영한  문화재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재  활용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명료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

교육목표를 교육실천의 지표로 삼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및 발전계획

진단결과

특수목적 교육목표 설정

(충족)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를  설치하여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과  문화재의  보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인  응용력을  갖춘  전통문화인을  양성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문화의  보급과  창달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image

-  18  -

② 대학의 교육목표

[그림Ⅰ-1  203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비전체계도]

※출처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비전수립(2020)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특수목적대로서  명확한  교육목표를  제시하였으며  4차산업혁명,  문화재   

분야의  환경변화  등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교육비전을  제시하고  있음

■  향후  우수한  인재  유치를  위해  문화재  특수목적대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핵심역량  및  인재상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이  중요

■  또한  문화재  및  전통문화의  정책변화에  따라  대학의  역할을  확장하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학으로서  특수목적성과  독창성을  추구하고자  함 

■  본교는  경쟁력을  갖춘  전통문화  및  문화재  전문인  양성에  교육목표를  두고  있음

■  한국전통문화교육의  중추기관으로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전통문화를  재창조

하고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체계화하며,  전통문화교육의  센터화  역할  수행

■  본교는  전통문화  및  문화유산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이러한  우수성을  널리  알려 

한국문화를  창출,  국제교류협력  강화  등을  추구하고  있음

■  문화재  정책  환경에  맞춰,  기존의  보존·관리  중심에서  문화재  및  전통문화  콘텐츠, 

신기술  활용,  신분야  창출  등  대학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함 


background image

-  19  -

1.2.1 발전계획의 수립

1.2.1 발전계획 수립

①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표Ⅰ-2  대학  발전계획  수립  현황>

1.2 대학  발전계획

제목

연도

수행기관

한국전통문화학교  설립·운영방안  연구

1997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전통문화학교  중장기  발전방안

200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통문화의  재창조  2004-2011  중장기발전계획

200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학교  내실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2008

고려대학교

한국전통문화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보고서

2010

CQI  컨설팅

전통문화  전문인력  진출분야의  시장수요조사  연구

2010

한국노동연구원

NUCH  중장기  발전계획(2012-2021)

201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  전문인력  특성화  방안  연구

201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

2014

한국생산성  본부

(본청  수행)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입학  및  취업지원제도  개선  연구용역

2014

충남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육체제  개편  방안  연구

2014

고려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중기발전계획(2017-2021)

2017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육체제진단

2019

DWM컨설팅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비전수립

202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평가준거

대학의 장단기 발전계획은 대학구성원의 요구분석에 근거하여 

실현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대학 발전계획 자료

진단결과

발전계획 정기적 수립

(충족)

■  우리대학은  학교  이념과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본교  설립  초기인  1997년부터 

주기적으로  학교  중·장기발전계획  및  특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발전계획  수립  시,  학생  요구분석(설문조사)과  문화재  관련  전문가,  산업계  등 

다양한  시각의  의견들을  발전계획에  반영하고  있음

■  발전계획과  더불어  대학교육  외부환경  분석을  실시하고  있음

■  내·외부  현황분석  →  목표와  핵심과제  설정  →  발전계획  수립  절차로  이어짐


background image

-  20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과거  전통문화인력  특성화  방안(연구용역)을  통해  문화재  관련  외부

환경과  학교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특성화  방안을  마련하였음 

■  초창기  발전계획들은  특수목적대로서의  기반환경  구축에  중점을  두었고,  그  이후로는 

특수목적국립대로서의  대학교육  질적  향상을  목표로  계획을  수립

■  핵심분야와  세부과제를  설정하고  부서별로  나누어  실천하여  주기적으로  점검

■  발전계획  수립에서  대학구성원(학생)의  요구분석  실시와  의견수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발전계획  및  특성화  계획에  반영하고  있음

■  2017년에는  교육체제  개편  방안을  마련하여  대학이  전통문화  및  문화재  환경

에서  실기·실습  중심  및  현장능력중심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토대  마련

■  2019년에는  문화재  정책  환경  변화,  대학설립  20주년,  급변하는  대학교육  환경 

등  여러  요인들을  대응한  교육체제진단을  실시함

■  주로  외부  우수자문기관을  통하여  객관적인  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하였으나, 

내부구성원들의  의견이  반영된  발전계획  수립에는  다소  미흡했음

■  발전계획  수립  시  실행가능하고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성과를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  특별법  근거로  설치된  특수목적대라고  하더라도  학령인구  감소,  4차산업혁명  영향, 

문화재  정책환경  변화  등  급변하는  외부환경을  반영하는  것도  중요함

■  대학발전계획의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함

■  또한  대학발전계획을  토대로  예산편성,  학과발전계획  수립  등  발전계획의  구체적  실

행을  위한  후속조치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함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23  -

2. 교육·연구

2.1.1 전공교육과정 운영지원

2.1.1 교육과정과 세부 교육목표

① 교육목표 및 학과별 교육목표

<표Ⅱ-1  학과별  교육목표>

<표Ⅱ-2  최근  2년간  실기·실습  비율  현황>

2.1 전공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의 입학 후 졸업까지 달성될 역량 개발을 위해 

전공교육과정을 편성하고

, 학생의선택권이 보장되도록 운영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전공교육과정 편성 및 개편 현황

진단결과

교육과정 위원회를 통한 체계적 교육과정 편성

(충족)

학과

학과  교육목표

전통건축학과

전통건축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인재  양성과  한국건축의  본질을  이해하는 

미래의  한국건축  전문가  양성

전통조경학과

사적,  명승  등  역사공간에  대한  실측설계와  복원은  물론  현대  조경  공간 

속에  전통조경을  계승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문화재보존과학과

다양한  재질의  문화유산을  영구  보존  관리하기  위한  문화재  전문의사  양성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미술과  공예를  바탕으로  실생활에  기초한  미술문화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그  적용영역의  확대에  선도적  구실을  담당할  전문인재  양성

무형유산학과

무형유산의  현재적  가치에  기초한  지식체계  수립  및  실무형  인재  육성

문화재관리학과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보호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문화재관리  전문인력  양성

융합고고학과

문화유적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담당할  전문지식인  양성

※계절학기  제외  /  이론+실습  과목도  실기·실습  과목으로  포함

구분

2018년도  실기·실습  과목  비율

2019년  실기·실습  과목  비율

1학기

(전체/이론/실습)

2학기

(전체/이론/실습)

1학기

(전체/이론/실습)

2학기

(전체/이론/실습)

전통건축학과

실험실습중심

18/6/12(67%)

21/7/14(67%)

17/4/13(76%)

16/4/12(75%)

전통조경학과

18/3/15(83%)

18/3/15(83%)

18/3/15(83%)

14/2/12(86%)

문화재보존과학과

18/6/12(67%)

19/7/12(63%)

18/6/12(67%)

18/7/11(61%)

전통미술공예학과

실기중심

58/7/51(88%)

58/7/51(88%)

58/7/51(88%)

58/4/54(93%)

무형유산학과

이론중심

18/13/5(28%)

17/14/3(18%)

18/12/6(33%)

18/14/4(22%)

문화재관리학과

18/15/3(17%)

18/15/3(17%)

18/15/3(17%)

14/14/0(-)

융합고고학과

18/13/5(28%)

18/13/5(28%)

19/13/6(32%)

16/11/5(31%)


background image

-  24  -

② 교육과정

<표Ⅱ-3  학부  졸업이수  학점  기준>

③ 실습교육과정 교과목 현황(이론+실습 과목 포함)

<표Ⅱ-4  실습교육과정  교과목  현황(전공)>

2019학년도  기준  /  이론+실습수업도  실습과목으로  포함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이론과  실기능력을  갖춘  전통문화인력을  목적으로  각  학과의  특성에 

맞게  이론과  실습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학의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현장실무형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습  및 

실기  과목들을  운영하고  있음

■  각  학과마다  세부  교육목표가  명확하며,  학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이론과목,  실습

과목,  이론+실습과목  등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  2017년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모든  학과의  실기·실습  비율이  대폭  늘어났으나 

일부학과의  경우  특성에  맞게  실기실습  비율을  적정수준으로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

■  실기·실습  비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업  내실화를  위한  실기실습  혁신수업 

등  현장실무  역량강화를  위한  과목들을  내실화  있게  운영하는  것도  필요

■  우리대학은  문화재  및  전통문화의  보존·관리·재창조를  위한  전문화된  인력양성에 

목표를  두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  2017년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학과별로  실기·실습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음

■  각  학과별  실기·실습  비율은  이론+실기·실습  혼합과목도  포함

■  학과별  특성에  따라(이론중심,  실기실습중심,  실험실습중심)  실습비율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

■  지난  2년  간  실습비율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음

2019학년도  입학생  기준

구  분

내  용

교양  학점

-28학점  이상  이수

단일전공  학점

-66학점  이상  이수

제2전공(선택)

-부전공:  24학점  이상(전통건축학과  33학점)

-복수전공:  42학점  이상

-연합전공:  42학점

-연계·학생설계전공:  24학점  이상

졸업이수  학점

총  130학점  이상  이수

구분

1학기

2학기

전공과목

전통건축학과

석회모르타르재료및시공

전통상업·복합시설설계

한옥주택설계

전통건축결구

전통건축설계입문

전통건축실측

전통건축CAD기초

한옥주택설계기초

결구제작및전통건축역학

사찰전시장설계


background image

-  25  -

구분

1학기

2학기

전통건축CAD응용

전통목구조디지털모델링

대목입문

전통건축현장실습Ⅰ

관방복원설계

전통도시계획론

전통목조건축시공및단청이론

프로젝트관리및적산

전통건축복원응용설계Ⅰ

전통건축현장학습Ⅱ

전통건축물짓기및단청실기

근대건축복원설계

전통석조건축이론및시공

전통조경학과

조경계획

조경수목학및실습Ⅰ

전통조경조형실습

전통식재론

디지털자연유산실습

전통원림실측

디지털가든디자인

토양학및실습

전통정원설계

조경문화재정비계획

문화재적산

수목병해충학

현대조경설계

천연기념물개론

조경문화재환경분석

전통조경계획

조경제도

조경수목학및실습Ⅱ

수목생리학및실습

조경문화재구조실습

전통조경재료

전통조경시설설계

원림공간정보분석

조경수리복원시공

조경수관리학

설계스튜디오

조경문화재연구

문화재보존과학과

근대문화재보존

도토기보존실습

유기화학실습

문화재생물학및실습

목제유물보존처리

무기분석실습

문화재복원제작실습

청동유물보존처리

기록물보존실습

문화재환경실습

목제문화재식별

철제유물보존처리

석조문화재보존

일반화학실습

고고금속학및실습

유기분석실습

목칠공예품보존

유구보존실습

문화재연대측정

문화재방재

문화재보존처리설계

전통미술공예학과

공예재료학

사진

단청Ⅰ

소조실습Ⅰ

기초물레성형Ⅰ

무형문화재실습  I

도자디자인연구I

기초금속공예실습I

기초옻칠·소목실습I

도자재료연구

백묘화기법연구

섬유무형문화재실습Ⅰ

단청Ⅱ

소조실습Ⅱ

기초물레성형Ⅱ

무형문화재실습  II

도자디자인연구II

기초소조실습

기초전통도자

기초전통도자회화

전통회화기초

기초옻칠·소목실습II

기초전통채색화

섬유무형문화재실습Ⅱ


background image

-  26  -

구분

1학기

2학기

섬유재료실습I

전통궁중채색화I

전통도자문양과장식

전통목조각실습I

전통의복구성I

천연염색I

전통기초조형

전통기초조형

불교회화Ⅰ

옹기물레성형Ⅰ

전통인물화연구

공간조형실습  I

무형유산전승실습I

무형유산전승실습I

백자I

불교회화복원연구

섬유실용디자인

의례복식재현

전통금속공예실습I

전통도자채화기법

전통옻칠·소목실습I

전통재료와표현기법I

전통조각실습I

청자

한국직물사

한복구성I

디자인

전통회화조형연구Ⅰ

전통도자졸업작품연구

전통도자원형연구Ⅰ

생활도자연구Ⅰ

전통섬유졸업작품연구

전통섬유조형연구Ⅰ

전통회화수복I

전시와기획

전통금속공예조형연구I

전통복식고증연구

전통옻칠·소목조형연구I

전통조각조형연구I

전통조각졸업작품연구I

전통회화졸업작품연구

전통궁중채색화II

전통도자제작기법

전통목조각실습II

전통의복구성II

천연염색II

기초금속실습

금속공예실습II

섬유재료실습

전통도자소재응용

불교회화Ⅱ

옹기물레성형Ⅱ

공간조형실습II

무형유산전승실습II

무형유산전승실습II

한국직물사

궁중복식재현

백자II

분청사기

불교회화모사연구

섬유패턴디자인

전통금속공예실습II

전통옻칠·소목실습II

전통재료와표현기법II

전통조각실습II

전통회화의모사와복원

한복구성II

문화상품연구

전통직물재현

전통회화작품연구

전통회화조형연구Ⅱ

전통도자작품연구

전통도자원형연구Ⅱ

생활도자연구Ⅱ

전통섬유작품연구

전통섬유조형연구Ⅱ

전통회화수복II

전통금속공예조형연구II

전통복식활용연구

전통옻칠·소목조형연구II

전통조각조형연구II

전통조각졸업작품연구II

무형유산학과

-

무형유산기록화실습

무형유산비평론

전통재료와기술Ⅱ

문화재관리학과

기록유산사례연구

문화재정책사례실습

-


background image

-  27  -

④ 교육과정위원회 개최

<표Ⅱ-5  최근  2년간  교육과정위원회  개최  현황>

구분

1학기

2학기

융합고고학과

유물정리실습

고고학현지실습Ⅱ

계량고고학

실험고고학

환경고고학

야외조사장비활용실습

야외조사실습

형징인류학

고고학현지실습Ⅰ

고고학과3D활용

금석문분석방법론

현대사회와고고학

매트릭스분석실습

계절학기

구분

하계

동계

문화재관리학과

문화재정책경영실습

전통건축학과

소목

전통건축복원응용설계Ⅱ

전통건축실측Ⅱ

소목

전통조경학과

조경문화재조사  I

조경문화재조사  II

조경문화재수리실습I

조경문화재조사  II

조경문화재수리실습Ⅲ

문화재보존과학과

-

문화재검진및진단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도자문양워크숍  I

전통회화워크숍I

전통섬유워크숍I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I

전통도자문양워크숍  Il

전통섬유워크숍  III

전통회화워크숍  III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  III

전통회화워크숍II

전통회화워크숍IV

전통도자성형워크숍  I

전통도자성형워크숍  II

문화재수리기능워크숍  IV

무형유산학과

무형유산실습  I

구분

2018학년도

2019학년도

학부

□  학부  교육과정위원회

-개최일:  2018.  1.  5.  ~  1.  8.

-위원:  교학처장,  학장,  학과장  등  11명

-심의방법:  서면심의

□  학부  교육과정위원회

-개최일:  2019.  1.  2.

-위원:  교학처장,  학장,  학과장  등  11명

-심의방법:  서면심의

대학원

□  대학원  교육과정위원회

-개최일:  2017.  12.  20.

-위원:  교학처장,  학장,  학과장  등  7명

-심의방법:  서면심의

□  대학원  교육과정위원회

-개최일:  2018.  12.  24.  ~  12.  28.

-위원:  교학처장,  학장,  학과장  등  8명

-심의방법:  서면심의


background image

-  28  -

진단 

및 

개선사항

■  대학의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현장실무형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습  및 

실기  과목들을  운영하고  있음

■  각  학과마다  세부  교육목표가  명확하며,  학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이론과목,  실습

과목,  이론+실습과목  등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  2017년  당시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모든  학과의  실기·실습  비율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에  향후  일부  학과의  경우  실기·실습  비율은  학과  실정에  맞게  재조정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향후  문화재  현장  및  정책  환경의  수요를  파악하여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

■  계절학기의  경우  대부분  실기·실습  과목  위주로  편성하여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실기·실습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  일부  학과의  실습위주의  교과목  편성은  타대학과의  교류수학에  제약사항  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특성화  교육과정을  통해  대학  내부구성원  뿐만  아니라  타대학  교류  활성화,  성인

학습자  평생교육  제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사회  등에  강점을  환원하는  것도 

필요함 

■  향후  대학의  인재상  및  핵심역량을  설정하여  이를  반영한  교육목표를  재설정하고 

이에  맞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와  교육과정  로드맵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

■  우리대학은  문화재  및  전통문화의  보존·관리·재창조를  위한  전문화된  인력양성에 

목표를  두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과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인  응용력을  갖춘  전통문화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을 

세부  교육목표로  설정

■  2017년부터  시행된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현장실무  특성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체제  기반을  마련하였고  학과별  특성에  맞게  실기실습  비율을  대폭으로  늘렸음

■  계절학기  교육과정의  경우  단기간  동안  효율적인  실기·실습을  위해  1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들을  실기·실습과목으로  편성하였음

■  또한  학과  전공의  특성을  고려한  단기적  실습능력  향상을  위해  집중이수제,  과목당 

편성  학점  상향(3학점→5학점  이상)을  통한  유연한  학사제도도  운영하고  있음

■  학사운영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교육과정위원회를  통해  교육과정의  개발·편성·

평가·운영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음

■  교육과정위원회를  통해  신·구  교육과정을  비교,  교육과정  이수방법  등  익년도  교육

과정에  관한  사항을  위원회를  통해  심의  의결하고  있음


background image

-  29  -

2.1.2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2.1.2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표Ⅱ-6  2019학년도  교양교육과정  편성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학문적

·사회적·시대적 요구 및 대학의 인재상을 반영하여 

교양교육과정을 편성하고

, 학생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운영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양교육과정 편성 체계 및 운영현황

진단결과

교양교육과정 편성

(충족)

구분

1학기

2학기

교양필수

삶과글

발표와토론

삶과글

발표와토론

교양선택

공통

문화유산을이해하는관점들

삶의현장과풍속

유물을통해본우리아름다움

전통과현대가만나는지점

일반교양

백강인문강좌Ⅰ

글쓰기윤리와논문작성

전통사회의생활과문화

한국고전의이해(삼국유사)

인물한국사

한국사상의맥

종교와문화

생각의탄생

영화로세상읽기

동서인문고전산책

인권의지평

경제와생활

성과젠더

물리의세계

실용금융

동양문화사

문화인류학

풍수지리와환경

수학과통계

환경과생태

문화유산3D그래픽

백강인문강좌Ⅱ

글쓰기윤리와논문작성

한국문화의뿌리

고전문학강독

쟁점한국사

역사와사관

불교와전통문화

문화론과문화분석

인간과심리

우리서화독법

법과권리

시민사회와시민되기

동서미술감상법

과학사의구조

실용금융

서양문화사

미디어와사회

지리와국제정치

생명공학과인공지능

문화재와국제기구(영어강의)

프로그래밍기초

어학

기초영어

기초영어


background image

-  30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의  교양교육  과정은  일부  학교특성에  맞게  문화재,  전통문화(국궁,  택견, 

다도  등)  등을  편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  다만,  문화재  전반에  대한  기초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교양교육에는  미흡

■  또한  우리대학은  소규모  대학  특성상  한정된  재원  때문에  다양한  교양과목을  편성

하는  것에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음

■  재학생  교육만족도  조사  시  ‘교양교육  만족도’에  대한  부분이  교육과정  분야에서 

최하위  분야로  선정되고  있는  만큼  교양교육의  개선·개편이  필요함

■  교양교육  개편  시  수요자  중심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

하며  한국전통문화대  핵심역량  중  공통5대역량(심미,  창의,  글로벌,  소통,  융복

합)에  근거한  체계적인  역량기반  교양교육  편성도  중요함

■  또한  대학  내부자원  한계로  다양한  교양교육  개설  및  교육내실화가  어렵다면,  외

부대학과의  교류,  온라인  교양(MOOC  등)  등  외부자원을  통해  교양의  개선점을 

보완해  나가는  방안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음

■  우리대학은  문화재  및  전통문화의  보존·관리·재창조를  위한  전문화된  인력양성에 

목표를  두고  이에  맞는  교양교육을  일부  편성하였음

■  우리대학의  교양교육은  전통분야,  어학,  일반교양  등  다양한  교양과목  편성을  위

해  노력하고  있음

■  일부  교양은  대학자체가  아닌  외부자원을  활용한  교양과목을  제공하고  있음(실용

금융-금융감독원  지원사업)

■  2017년부터  시행된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  전공기초에  관련  된  교양과목을  신설하여 

전공교육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음

■  교양과목도  전공교육과  마찬가지로  학사운영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교육과정위

원회를  통해  편성하고  있음

기초일본어

기초중국어

기초한문

기초러시아어

중급영어

중급일본어

중급중국어

중급한문

고급영어

고급일본어

고급중국어

고급한문

기초일본어

기초중국어

기초한문

기초러시아어

중급영어

중급일본어

중급중국어

중급한문

고급영어

고급일본어

고급중국어

고급한문

예능실습

전통예술(서예,  전각)

전통무예(택견,  국궁)

전통생활(국악,  차와문화)

전통예술(서예,  전각)

전통무예(택견,  국궁)

전통생활(국악,  차와문화)


background image

-  31  -

2.1.3 교수·학습 지원

2.1.3 교수·학습 지원

<표Ⅱ-7  2018-2019학년도  교수·학습지원  주요사업  내용>

진단 

및 

개선사항

■  교수법  지원의  경우  2018년  대비  2019년도  지원실적이  크게  증가하였음

■  교수법  지원도  중요하지만  학습법  위주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역량을 

고취시키고  있으며  학습법  프로그램  실적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음

■  다만,  직전  자체평가(2018년도)에서  교수·학습  지원  내실화를  위해  조직  및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여전히  교수·학습에  대한  개선은  이뤄지지  않음

■  전국의  모든  대학들이  교수·학습전담  조직을  필수로  갖추고  있는  것을  봤을  때 

우리대학은  설립시기나  운영인력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  됨

■  현재  교수·학습지원은  전담인력  1명(연구교수)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  학습

프로그램  지원과  교수법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확대하고 
인력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함

■  교수·학습프로그램  결과를  환류시킬  수  있는  시스템  마련과  조직,  인력  확보  시급함
■  또한  교수·학습지원의  시작  시기가  현저히  늦어,  교수법,  학습법  지원  프로그램의 

활발한  참여를  위한  홍보  및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함

■  본교는  교원  및  학생의  교수·학습  역량  향상을  위해  2017년  부터  전담인력을  채용

(교육공학전공  연구교수)하여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특히  그동안  교원들  위주의  교수법(특강  등)에서  학생들을  위한  학습법  지원을  다양

하게  실시하고  있음

■  전담인력  1명이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상황

평가준거

대학은 교수

·학습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개선활동 전개 등 지속적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수

·학습 전담조직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 운영현황

진단결과

다양한 교수법

, 학습법 프로그램 운영, 인력지원 부족(약간미흡)

구분

내용

실적

교수법

지원

강의촬영·진단·컨설팅

- 강의촬영을  통해  교수자의  강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

게  하여  교수법  개선에  기여

2018년:1건
2019년:9건

수업개선연구  지원

- 교수자와의  사전인터뷰를  통해  강의  자가진단  및  개선

방향을  파악

- 교수법  전문가와  매칭하여  컨설팅  실시
- 개선사항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피드백 

확인

2018년:1건
2019년:2건

교수법  향상  세미나

- 전임교원  대상  교수법  향상  세미나  실시(년  2회)
- 비전임교원  학사설명회(년  2회)

2018년:X
2019년:1건

학습법

지원

튜터링,  학습공동체

- 튜터링  및  학습공동체  등  자율학습지원을  통해  학습법 

향상

2018년:27건
2019년:36건

학습진단  및  학습상담

- 학습역량,  학습동기  등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체계적 

학습  진단  및  면대면  학습코칭  실시

2018년:302건
2019년:360건

학습법  특강

- 역량기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특강  실시

2018년:1건
2019년:2건

학습포트폴리오  개발

- 학생들의 학습법 함양을 위한 학습포트폴리오 과목 개발 추진

-


background image

-  32  -

2.1.4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2.1.4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① 수업규모

<표Ⅱ-8  –2018-2019학년도  학부  수업규모  현황>

② 강의평가

<표Ⅱ-9  2018-2019학년도  학부  강의평가  현황>

③ 성적평가

<표Ⅱ-10  2018-2019학년도  학부  성적분포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 수업평가를 

실시하여 수업의 질을 관리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수업운영 절차

, 수업관리 기준 등

진단결과

규정에 의거하여 운영

(충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사운영규정」제58조(성적평가)에  의하면  A등급은  30%  이

내로  하게  있지만  소규모  강의가  많은  본교의  경우  예외규정을  두어  A등급  비율을 

상향할  수  있는  규정이  존재

A등급  이내

A등급과  B등급의  합

C등급  이하

예외(A등급  50%이내)

30%  이내

12m2

17m2

-수강인원  10명  미만

-실험·실습과목

-원어강의 

구분

15명  이하  강좌  수

총  강좌  수

비율

연도별  비율

2018-1학기

156

238

65.5%

69.1%

2018-2학기

171

235

72.7%

2019-1학기

153

239

64.0%

68.1%

2019-2학기

155

213

72.7%

구분

총  강좌  수

점수(5점만점)

참여율

2018-1학기

238

4.17

93.5%

2018-2학기

235

4.16

92.7%

2019-1학기

239

4.27

95.9%

2019-2학기

213

4.23

95.7%

구분

총  강좌  수

A+~  A

B+~  B

C+~  C

D이하

비고

2018학년도

394

38.2%

43.2%

16.3%

4.6%

(pass-fail 

과목제외)

2019학년도

391

37.1%

41.2%

16.5%

3.3%


background image

-  33  -

진단 

및 

개선사항

■  학사운영규정의  기준에는  조금  벗어나는  수치이나  소규모  강의  및  실험실습  강좌가 

많은  경우  예외  규정을  두어  관리하는  점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감안하면  제대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  오히려  소규모  강좌가  절대적으로  많은  우리대학  특성상  상대평가에  관한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임

■  또한  소규모  강좌가  대다수인  강점을  활용한  효율적인  교수법을  도입하여  교육의 

질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

■  우리대학의  경우  일반대학에  비해  소규모  강좌(15명  이하  수업)가  절대적으로  많

으며  실기·실습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수업의  질  관리를  위해  2018년도  대학자체평가  당시  수업규모(68%)  실적을 

비슷한  실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background image

-  34  -

2.1.5 비교과과정 운영지원

2.1.5 비교과과정 운영지원

<표Ⅱ-11  2018-2019학년도  비교과과정  프로그램  운영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정규 교육과정 외에 학생 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진단결과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제공

(충족)

부서명

프로그램  내용

운영시기

상시여부(O,  X)

교무과

-2019학년도  동기유발학기

  ⦁답사,  특강,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등

1~2월

O

-2019학년도  RC프로그램

  ⦁문화체험  프로그램  등

상시

O

-학습법  지원프로그램

  ⦁학습공동체,  튜터링,  학습에세이  공모전  등

상시

O

전통문화상품

개발실

-2018년  상품개발  교육

  ⦁한글테마  문화상품  개발  교육

  ⦁새활용  소재를  적용한  문화상품  개발  교육

  ⦁19C생활공예품  리디자인  상품개발  교육

-전문가  초청  컨설팅(4회)

-상품개발  교육  관련  특강

  ⦁관계자  초청  릴레이  특강(5인)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특강

  ⦁지원사업  공모  및  사업계획서  작성법

  ⦁상품기획을  위한  효과적인  PT특강

-워크숍개최

  ⦁비유로  만드는  상품컨셉

  ⦁디자인  신소재  워크숍

  ⦁북바이딩을  통한  컨셉  북  제작

  ⦁리소프린팅  워크숍

-홍보교육(기획전  개최)

(6~12월)

(6~12월)

(9~12월)

(7~11월)

(6~11월)

(6~11월)

(12월)

-

-2019년  상품개발  교육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  관련  문화상품  개발 

교육

  ⦁지역+환경을  고려한  문화상품  개발  교육

-전문가  초청  컨설팅(4회)

-전문가  초청  특강

  ⦁전시기획  및  가야사의  역사적  의의

  ⦁유물유적으로  만나보는  가야의  사회문화적  특징

  ⦁박물관  문화상품

  ⦁창업전문가  초청  특강(5회)

-워크숍개최

(3~12월)

(7~12월)

(5~11월)

(5월)

(5월)

(5월)

(5월)

(7월)


background image

-  35  -

진단 

및 

개선사항

■  직전  대학자체평가(2018년도)에  비해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지원

하고  있음

■  학생들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센티브  방안(예:  역량 

마일리지제)에  대한  고민도  필요  함

■  또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질  관리(만족도,  역량진단)  시스템을  도입

하여  비교과  효과성에  대한  측정을  하여  관리하는  것도  중요

■  국제문화재센터의  경우  2019년도에  3월에  개소하여  상대적으로  프로그램  실적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

■  문화재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경우  전공교육  위주로  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나  문화재 

분야는  다양한  분야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역량기반  및  비교고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  과거  전공중심으로  통용되던  문화재  현장은  문제해결,  창의성,  의사소통  등  전공  외에 

다양한  역량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비교과  과정에  대한  중요성  때문에 

다양한  부서  및  센터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  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2019년도  취창업센터와  국제문화재교육센터를  개소하여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및  국제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음

■  또한  2018년도에는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2019년도부터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체험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전문공예작가와  함께  소재활용  워크샵

-계절학기

  ⦁3D  디지털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

-홍보교육(기획전  및  대외연계(국립중앙박물관) 

개최

(7월)

(12월)

국제문화재교

육센터

○  2019  IHEC  Summer  Workshop

-  주제:  유·무형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존  관리

- 장소:  본교  및  현장답사

-  대상:  10명(교류학생  7명,  본교  3명)

-  프로그램:  강의,  현장답사,  학생  발표회

방학  중

(8월)

X

*국제문화재교육센터

는  2019년도부터 

개소

취창업센터

- 온라인  어학강화  지원

상시운영

- 개인별  취업상담

상시운영

- 신입생  단체  직업심리검사 

2018

- 학과맞춤형  취업특강

2018

- 직무관련  자격증  지원  프로그램

상시운영

- 지역인재  7급  대비반/문화재  행정  연구반

상시운영

- 문화재  전문가  특강

2018

- 박람회  및  기업설명회  참여  지원

2018

- 문화재  취업진로  포럼

2019

- 취업진로가이드북  발간

상시운영

- 창업특강

2019

-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  워크숍 

2019

- 예비창업자  인큐베이팅  공강지원사업  운영

상시운영

- 창업연계  상품  업그레이드  및  마케팅  지원

2019

교양기초학부

- 인문학  특강(인문학  명사초청  특강)

학기별

학기중  운영(6회)


background image

-  36  -

2.1.6 현장실무 교육과정

2.1.6 현장실무 교육과정

① 현장실습학점제 운영현황

<표Ⅱ-12  2018~2019학년도  현장실습학점제  참여현황>

② 현장전문가 활용현황

<표Ⅱ-13  최근  2년간  시간강사  무형문화재·수리기술자  활용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현장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적절히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증진시켜며

,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는가?

근거자료

현장실무교육 현황

(현장실습, 실습비율, 현장전문가 활용 등)

진단결과

현장실무 교육과정 제공

(충족)

■  우리대학은  2017년도  교육체제개편부터  현장실습학점제  참여를  의무화로  하여  많은 

학생들이  현장에서  전문가들에게  멘토링을  받아  현장실무능력을  강화하고  있음

■  일부  학과의  경우  현장전문가임에도  개인작품  활동으로  전업강사에  포함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를  고려하면  본교는  현장전문가를  적절히  잘  활용하고  있음

■  전통미술공예학과  시간강사의  경우  무형문화재  이수자·전수조교·보유자·명장  등을 

위촉하여  실기·실습교육과정에  노력하고  있음

■  문화재수리기능자·기술자만  등  문화재  현장  관리에서  현장경험을  갖춘  전문가로 

위촉하여  실기·실습  교육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무형문화재  전문가,  문화재수리기능·기술자  외에  일부  학과의  경우  자격증  보유  외

에도  현장경험이  풍부한  비전임교원들을  적절히  잘  활용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특수목적대학으로,  실기·실습  수업을  대폭  강화하여  현장전문가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음(전체  이론대비  실기·실습비율  50%  이상)

단위:  명

구분

1학기

하계방학

2학기

동기계절

비고

2018년도

8

21

14

9

2019년도

8

47

27

43

구분

총  개설강좌

(교양과목  제외)

무형문화재  전문가  강사  수

(보유자,  조교,  이수자  등)

문화재수리기술·기능자

2018년도

335

15명

16명

2019년도

320

16명

16명


background image

-  37  -

진단 

및 

개선사항

■  현장실습학점제의  경우  2017년도부터  의무화  이수를  통해  참여  학생  수는  늘어

났으나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으로  현장실습학점제에 

대한  내실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현장실습학점제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교육부  현장실습  지침  및  타대학  사례를  참

고하여  학생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본교는  무형문화재  이수자·전수조교·보유자·명장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현장 

실기·실습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자격  보유자  외에  문화재  현장전문가,  예술  전문가  등을  감안하면  많은  수의  전

문가들을  현장실무  교육을  위해  활용하고  있음

■  향후  무형문화재  전문가  또는  문화재수리기술·기능자  출신의  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전임교원으로  영입하는  방안  또는  연구기관  또는  기업체와의  전임교원

↔현장전문가  교류·파견  등  방안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음


background image

-  38  -

2.2.1 전임교원 확보율

2.2.1 전임교원 확보율 현황

<표Ⅱ-14  전임교원  확보율>

2.2 교원

평가준거

대학은 원활한 교육 및 학생지원을 위하여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전임교원을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전임교원 현황 및 확보율 현황

산출식

교원법정 정원 명 

전임교원 수 명 

× 

기준값

61%

진단결과

77%(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의  전임교원  확보율은  대학원  정원  편제  완료  이후  소폭  상승하고  있음

■  기준값과  비교대학들의  값을  넘는  수준이지만  본교가  특수목적  소수정예  대학인 

것을  감안하면  전임교원  확보율은  부족한  상황임

■  또한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한  개  학과이지만  실질적으로  보면  세부전공이  많아 

※  교원법정  정원(「대학설립  운영  규정  제6조제1항  ‘교원산출기준’」)

계열별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의학

교원1인당  학생  수

25명

20명

20명

20명

8명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시행령  제16조(교원의  배치기준)

      -  법정정원  산정  시  계열별  학생정원:  학사과정  학생정원  +  대학원  학생정원은  2배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전임교원확보율

74.3%

76.9%

75.9%

77%

■  결과:  

교원법정정원 명 

전임교원 수 명 

×  ⇒ 

■  본교의  전임교원  정원  산정은「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  시행령의  교원  배치

기준에  따라  법정정원을  산정하고  있음

■  편제정원  기준  전임교원  확보율  학부+대학원  산출결과임

■  최근  2년간  전임교원  확보율은  큰  변동이  없음

■  평균수치들에  비해  약간  높은  수치임

구분

전임교원  현황(명)

전임교원  1인당  재학생  수

전임교원 

확보율(%)

법정정원

현재정원

2018년

48

36

23.5

75%

2019년

48

37

22.3

77%


background image

-  39  -

전임교원이  부족한  상황 

■  이밖에도  각  학과별로  특성화를  위한  현장전문가  등의  전임교원이  절실한  실정

■  향후  무형문화재  전문가,  연구소  출신  전문가,  현장업체  전문가  등  현장전문가를 

전임교원으로  섭외하여  학생들의  실무현장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함


background image

-  40  -

2.2.2 교원인사제도

2.2.2 교원인사제도

① 교원인사제도      

[그림Ⅱ-1  교원  임용과정  및  절차]

평가준거

대학은 효율적인 업적평가 및 교원인사제도 규정을 갖추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원업적평가 현황 및 인사제도

진단결과

교원 업적평가 및 인사제도 구비

·운영(충족)

해당학과

채용분야  의견조회

대학본부

채용심사위원회

(채용절차  및  적합성  심사)

총장  승인

대학본부

-  학교  홈페이지  공고

-  관련  사이트  홍보

    (문화재청,  교육관련  사이트  등)

서류제출(지원자  직접  현장  제출)

1단계

-  서류심사

-  전공적부  심사

-  연구실적  심사

전공분야  별  5명

(단,  1/3  이상은 

외부위원)

2단계

-  공개강의  심사

전공분야  별  5명

(단,  1/3  이상은 

외부위원)

3단계

-  심사위원회  심층면접

외부위원(2명)

내부위원(3명)

최종

-  대학인사위원회  심사

-  최종  합격자발표


background image

-  41  -

<표Ⅱ-15  교원인사제도  규정  및  최근  2년  간  제도개선  현황>

<표Ⅱ-16  최근  2년간  전임교원  승진현황>

<표Ⅱ-17  최근  2년간  겸·초빙  교원  임용  현황>

② 교원업적평가 절차 및 활용

[

그림Ⅱ-2  교수  업적평가  절차]

담당부서

규정명

규정  제·개정  현황

교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칙」

□  개정:  2019.  8월

    -강사법(고등교육법)에  따른  비전임

교원  규정  정비

교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겸임교원 

및  초빙교원에  관한  규정」

□  개정:  2019.  8월

    -강사법(고등교육법)에  따른  비전임

교원  규정  정비

교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원  및 

조교  임용  규정」

□  개정:  2019.  8월

    -강사법(고등교육법)에  따른  교원인

사위원회  개최  근거  마련

교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원 

업적평가  규정」

□  개정:  2019.  2월

    -교원업적평가  지표  개선

진단 

및 

개선사항

■  투명한  절차를  위해  외부위원  위주의  심사를  하고  있음

■  공개강의  심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역량있는  우수한  교원을  채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전임교원  업적평가의  경우에도  타대학  추세와  교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지표를 

개선하였음

■  우리대학의  전임교원  채용은  관련  규정에  의거하여  임용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

이기  위해  3차례에  걸친  심사를  통해  선발하고  있으며  공정한  경쟁을  통해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적합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  교원  업적평가의  경우에도  유형별로  지표를  나누어  평가하고  있음

구분

겸임교원  수

초빙교원  수

2018년

9명

23명

2019년

37명

24명

구분

승진대상  교원

승진교원

2018년

1명

1명

2019년

3명

3명


background image

-  42  -

2.2.3 강사보수 수준

2.2.3 시간강사의 보수수준

<표Ⅱ-18  시간강사의  강사료>

진단 

및 

개선사항

■  시간강사료는  2019년도  기준  전업(8.3만원),  비전업(5만원)으로  구분

■  그  외에도  시간강사들에게  각  학과별로  시간강사  휴게실을  제공하고  있고  강의실, 

도서관  등  학교  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전업+비전업  모든  강사료를  합하여  평균수치를  산출

■  일반  국·공립대학에  비해  시간강사  강사료가  낮은  것은  특수목적대인  점과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면  강사료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님

■  소수정예  특수목적대학인  우리대학은  지리적  위치로  인해  우수  강사를  초빙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강사의  보수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

■  문화재  및  전통문화  현장전문가를  늘리기  위해  강사료를  인상할  필요가  있음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시간강사  강사료

59,511원

85,368원

54,247원

71,876원

■  직전학기  시간강사  1시간당  평균  강사료를  평가값으로  설정

■  전업+비전업  시간강사의  강사료를  합하여  평균  강사료를  산출

■  전업  시간강사의  강사료가  83천원인  반면  평균강사료가  그  보다  낮은  이유는  비

전업  강사를  많이  활용했기  때문으로  분석

■  결과:  

 전체 강의시간 

천원 전체 강의료 

⇒ 원       ※2019년도  기준

■  우리대학의  평균  시간강사료는  전체평균과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의  평균수치를 

상회하고  있지만,  국공립대학  평균수준에는  못미치는  수준

■  2017년도  이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전업  시간강사료를  인상하였음

구분

시간당  강사료(단위:  원)

시간강사  담당 

강좌  수

총  지급액

(단위:  천원)

평균  강사료

(단위:  원)

전업

비전업

2018-1학기

83,000

50,000

97

851,703

70,058

2018-2학기

83,000

50,000

89

2019-1학기

83,000

50,000

109

814,813

71,876

2019-2학기

83,000

50,000

74

평가준거

대학은 시간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강사료와 함께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시간강사 강사료 현황

산출식

총 강의시간 수

총 시간강사 강의료

기준값

45,000원

진단결과

71,876원(충족)


background image

-  43  -

2.3.1 교수의 연구실적 및 연구비

2.3.1 교수의 연구실적 및 연구비

① 전임교원 국내 논문 실적

<표Ⅱ-19  전임교원  1인당  등재(후보)지  논문  실적>

평가준거

교수는 대학의 목적 및 특성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전임교원 연구실적

, 연구비 수혜 실적

기준값

국내논문

0.35건

국제논문

0.05건

저역서

0.07건

교외 연구비

10,000천원

진단결과

국내논문

1.95건(충족)

국제논문

0.24건(충족)

저역서

0.35건(충족)

교외 연구비

112,494천원(충족)

구분

전임교원  수  (명)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 포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실적

2018년

36

60

1.67

2019년

37

72

1.95

진단 

및 

■  우리대학은  전임교원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소량의  논문건수에도 

평균산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국내  논문  실적

0.51건

0.59건

0.48건

1.95건

■  논문실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등재(후보)지  실적만  실적에  포함

■  결과: 

전임교원 수 명 

등재 후보 지 실적건 

⇒ 건

■  우리대학  교수들의  국내논문실적은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인,  0.35건을  크게  상회

■  비교군인  전체  대학평균(0.51),  국공립대학(0.59),  재학생  수  5천미만(0.48)의  실적

을  뛰어  넘는  우수한  실적임

2.3 연구


background image

-  44  -

<표Ⅱ-20  전임교원  등재(후보)지  논문  세부  실적>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전임교원  수가  일반대학에  비해  현저히  적어  산출식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음 

■  우리대학은  연구역량강화를  위해  연구비  지원,  교내  연구시설  등을  통해  교수들이 

활발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고  등재(후보)지  실적이  우수함

■  또한  일반대학과  달리  문화재  및  전통문화에  한정된  학술분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음

■  지난  2년간  국내논문  실적이  소폭  증가

■  일부  학술지에  논문실적이  편중되지  않도록  다양한  학술분야에  논문실적을  보유

하는  것이  중요함

■  대학부속기관인  전통문화연구소의  ‘한국전통문화연구’  학술지를  내실화하여  특수

목적대로서의  강점을  구축해  나가는  것도  학술분야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음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2018

LED광원에  의한  회화  전색제의  변색  영향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납(Pb)  계열  안료의  변색에  관한  대기환경인자의  영향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대량  공공  기록물의  선별적  소독을  위한  미생물  활성도  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출토복식  유물의  재현  현황  및  제안  -어린이  도포와  장의 

재현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단독

先史土器와  土壤試料分析을  통한  韓半島新石器·靑銅器時代 

生計經濟  硏究  -  微量  有機  炭素安定同位元素分析을 

中心으로  -

호서고고학

공동(참여)

공주  구  선교사가옥과  제일교회의  건축적  가치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단독

세계유산  공산성의  유적정비와  유물전시관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단독

원주역사박물관  소장  근⋅현대  목칠공예품의  재질분석  및 

보존처리

한국가구학회지

공동(참여)

적외선분광분석과  Py-GC/MS를  이용한  옻칠  및  캐슈칠도막 

분석

목재공학

공동(참여)

동서양의  접점에서  파빌리온의  기원과  전개  :  소아시아와 

인디아  대륙  사이에서

동양예술

단독

보존과  복원  개념의  변증법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공동(교신)

SNS  사진과  사진측량을  이용한  정원유산의  3차원  형상  재현 

가능성  연구  -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潭陽  瀟灑園)을 

대상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공동(제1)

경복궁  경회루  권역의  식생경관원형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공동(제1)

보존  및  활용을  고려한  명승의  분류  체계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단독

창덕궁  전각권역의  해설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공동(제1)

도이  고카(土居光華)의  『여대학』(女大學)  비판과  여성론

아시아여성연구

단독

마쓰에시(松江市)의  ‘무사(武者)’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전략 

고찰

한일군사문화연구

단독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관리와  활용  현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김장문화와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

비교문화연구

단독

墳周土器로  본  古代榮山江流域

호서고고학

단독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신라사학보

단독


background image

-  45  -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의  문직물  연구

한복문화

단독

Noisy  Image  Segmentation  via  Swarm-based  Possibilistic 

C-mean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

문지

단독

1920∼30년대  장충단  인근  주택지  개발로  인한  지역  성격의 

변화

건축역사연구

단독

고도  보존  기본계획  수립  이후  부여  일반상업지역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단독

금강  중하류역  송국리문화의  성격

고고학

단독

기후  변동의  고고학-일본고고학  연구  사례의  비판적  검토-

선사와  고대

단독

일본  제국주의  시기  고고학  조사의  다양성과  평가

한국상고사학보

단독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고고학사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단독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

한국청동기학보

단독

檀君朝鮮,  神話에서  歷史로의  進入  過程

단군학보

단독

弁韓  ‘國出鐵’  論의  檢證과  意味

단군학보

단독

삼국시대의  유학  정치이념에  의한

통치분석

한국사연구

단독

衛滿의  頭髮과  服裝을  실마리로  한  한국  고대문화의  정체성 

탐색

온지논총

단독

扈聖功臣敎書의  修理復元硏究  -<崔興源  扈聖功臣敎書>의 

修理와  裝潢  復元을  中心으로-

문화사학

단독

우리나라  벚꽃  놀이의  역사와  벚꽃  축제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단독

나주신촌리9  호분출토금동신발의원형복원연구

조형디자인연구

공동(교신)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벽화  보존상태  진단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  산지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유산경영

예술경영연구

공동(참여)

국내  교과서  저작권료의  추정과  정책적  시사점

계간  저작권

공동(참여)

한·미  FTA의  콘텐츠산업  수출입  효과  분석

문화경제연구

공동(참여)

발해  거란도  노선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단독

발해도성(渤海都城)의  성문형식(城門形式)에  대해

백산학보

단독

An  Assessment  of  the  Deterioration  of  Fabricated  Metal 

Thread  with  Light,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Factors:  A  Focused  Study  of  Asian  Textile  Collections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전통  붓의  섬유  특성  분석  및  성능  평가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제니핀을  첨가한  아교의  접착  특성과  물성  변화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천연  보강  매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토벽화  마감층 

제작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美術史論壇

단독

『홍범연의洪範衍義』를  통해  본  존재存齋‧  갈암葛庵의  학문

국학연구

단독

牧隱  李穡의  歷史意識과  民族思想

국학연구

단독

사상사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

한국철학논집

단독

신라  성덕대왕신종의  명문(銘文)  연구–  ‘사상성(思想性)’ 

탐색을  겸하여

한국철학논집

단독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두  번의  만남

퇴계학논집

단독

한국유교의  기원과  동이문화(東夷文化)  –  류승국  교수의  설을 

논함

한국철학논집

단독

現代  儒敎界,  그  분열의  역사

동양문화연구

단독


background image

-  46  -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黃喜,  그  역사적  평가와  위상에  대한  一考察  -  實錄의 

史臣評과  관련하여  ­

동양고전연구

단독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박물관학보

단독

나주  정촌  고분군  출토유리구슬의  화학  조성과  특징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납(Pb)  계열  안료의  변색에  관한  대기환경인자의  영향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안료  원료인  뇌성산  산출  뇌록의  소성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

한국광물학회지

공동(참여)

2019

박물관  조명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문화재

공동(참여)

소화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건축  문화재  보존용  수제 

소석회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공동(참여)

세부목골조로  구성된  전통목골조  벽체  전단저항능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공동(참여)

고성능  감수제가  혼입된  기경성  석회  모르타르의  탄산화 

반응  및  강도발현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공동(교신)

김사수(金師秀,  1490~1553)  묘  출토복식  연구

한복문화

단독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소장  목가구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근⋅현대  목칠공예품의  재질  분석  및 

보존처리

한국가구학회지

공동(참여)

포화염수  삶음  처리가  목재의  물리적  특성  및  금속  부식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국내  근대  학교건축에서의  대학고딕  양식의  수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공동(교신)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한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

휴양및경관연구

공동(참여)

『우쓰호모노가타리(宇津保物語)』의  음식  관련  용례에  대한 

연구

등재

단독

계백장군을  활용한  지역  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한일군사문화연구

단독

세계의  문화유산  등재  전쟁과  우리의  문화재  정책  방향 

검토-  WIPO  지식재산  제도와  UNESCO  문화유산  제도의 

이념과  운영에  기초하여  -

법학연구

단독

무형문화유산의  사적(私的)  보호의  한계

정보법학

단독

고대  제주와  마한소국의  교류양상

한국상고사학보

단독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출토  금제오각형장식에  대한  고찰

선사와  고대

공동(참여)

마한  문화의  전개와  변화  양상

호남고고학보

단독

土器生産遺蹟으로  본  古代榮山江流域

호서고고학

단독

최근  호서지역  마한  유적의  조사·연구  현황

한국전통문화연구

공동(참여)

조선시대  어진에  사용된  綃  문헌연구

한복문화

공동(참여)

1302년  아미타불복장소화문협힐견(小花紋頰纈絹)  염색기법 

재현

문화재

공동(참여)

고려시대  자수  유물을  통해  본  기법연구

한복문화

공동(참여)

1502년  천성산  관음사  목조보살좌상  복장  직물  연구

복식

단독

Multisensory  based  AR  System  for  Education  of  Cultural 

Heritage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

문지

공동(참여)

착용형  디스플레이  기반  손동작  추적  기술을  활용한  원격 

증강현실  보드게임  개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

공동(참여)

한일  선사시대  도구  조성  검토  -  목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단독

중국  漢代  방언사전  『方言』에  수록된  北燕지역  어휘와 

고대  몽골어의  친연관계  고찰  試論

몽골학

공동(참여)

단군조선  관련  在野文獻에  대한  남⋅북한  연구  성과의  현 

단계

온지논총

단독

伴跛國  位置에  대한  論議

역사와  담론

단독

가상박물관  저작을  통한  문화유산  교육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

단독


background image

-  47  -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무용  동작  기록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

단독

User  Requirement  Analysis  on  Risk  Manage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Virtual  Reality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

문지

단독

Analysis  and  Suggestions  of  Digital  Heritage  Policy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

문지

단독

Ontology-based  Recommendation  System  for 

Maintenance  of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

문지

단독

조선시대  관영건축의  벽체에  사용된  중깃(中衿)과  외엮기 

기법에  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공동(교신)

Analysis  of  Iron  Production  Technology  of  Army  against 

Japanese  through  Slag  from  Saengsoegol  Iron  Production 

Site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발해의  북방-서역루트  ‘담비길’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단독

테라헤르츠  이미징기법을  이용한  유화의  상태분석  및  진단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An  Analytical  Investigation  on  the  Dancheong  Pigments 

by  Hyperspectral  Technique:  Focusing  on  Green  Colors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Analysis  of  Cow  Hide  Glue  Binder  in  Traditional 

Dancheong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목공예용  천연  및  합성  접착제의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흰개미  가해  목조건축물의  급속  방제를  위한  분말형 

약제(Termite  Dust)  평가  기준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라만분광현미경을  이용한  흑유자  유약  내  철산화물의  변화 

양상  연구  -신안선  출수  흑유자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흰개미  토양처리제  효과  평가  및  시험방안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연질  PVC  작품  보존을  위한  가소제  종류별  열화  특성  및 

화학적  세척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Cleaning  Fabricated  Metal  Thread:  A  Post‐treatment 

Stability  Assessment  after  Artificial  Deterio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Synthetic  Soil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아교  전처리  및  평가  조건에  따른  특성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문화재보호법에서  자연유산  분야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재  조경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단독

김진갑의  <나전침대>  -  사용자와  제작경위

미술사연구

단독

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  몇  가지  -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단독

退高往復書의  意義와  朝鮮儒學史에서의  위상

퇴계학논집

단독

현대  성리학  연구사에서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의  위상

한국철학논집

단독

노백재(老柏齋)  최명희(崔命喜)의  실천적  의리사상        - 

‘간문소학동자(艮門小學童子)’의  삶

한국철학논집

단독

頤齋  黃胤錫의  政治活動에  대한  考察  -  諸政派에  대한 

견해를  겸하여

율곡학연구

단독

최치원  말년의  역사적  발자취  -가야산  은둔  이후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총

단독

譯註  髹飾錄(Ⅰ)

미술사연구

단독

회당(晦堂)  윤응선(尹膺善)의  학문과  정신

유학연구

단독

安龍福  제2차  渡日의  성격에  관한  고찰

독도연구

단독

이병도(李丙燾),  『자료한국유학사초고 

(資料韓國儒學史草藁)』  -한국유학사의  근대적  출발-

한국사상사학

단독

백제문화제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주요  성과분석,  뉴거버넌스 

한국전통문화연구

단독


background image

-  48  -

② 전임교원 국외 논문 실적

<표Ⅱ-21  전임교원  1인당  국외  논문  실적>

구분

전임교원  수  (명)

국제논문실적(건)

합계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

SCI급/SCOPU

S학술지

기타  국제발간 

일반학술지

2018년

36

5

0

5

0.14

2019년

37

9

0

9

0.24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국외  논문  실적

0.23건

0.40건

0.08건

0.24건

■  상대적으로  적은  전임교원  수에  의해  지난  2년간  변동의  폭이  크게  나타남

■  기준값인  0.05을  상회하나  국공립대학  실적에는  약간  못미치는  수준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증대방안

뮤지엄  공동체의  유산  해석과  표출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

단독

용인  덕성리  테크노밸리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  출토  도·토기 

및  기와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전통문화연구

공동(교신)

철산화물  안료  원료와  번조조건에  따른  철화분청사기의  유약 

발색  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국내  산출되는  황토의  특징에  따른  천연(제조)안료  특성연구

보존과학회지

공동(참여)

금탑사  괘불탱과  만연사  괘불탱의  직물  및  채색  안료  특성 

비교

불교미술사학

공동(참여)

Study  of  Scientific  Comparis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Black  Ware  Excavated  from  White  Porcelain  Kiln  of 

Yongyeon-ri,  Damyang  and  those  of  Other  Regions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A  Study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Remain  Point  of  Paleolithic  Age  in 

Osong  Site,  Cheongju

보존과학회지

공동(교신)

평택  포승지구  출토  토기의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한  토기  및 

출토  유구  간의  상관성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공동(교신)

고성능  감수제가  혼입된  기경성  석회  모르타르의  탄산화 

반응  및  강도발현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공동(참여)

세부목골조로  구성된  전통목골조  벽체  전단저항능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공동(교신)

소화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건축  문화재  보존용  수제 

소석회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공동(참여)


background image

-  49  -

<표Ⅱ-22  전임교원  국외  논문  세부  실적>

진단 

및 

개선사항

■  본교는  문화재  및  전통문화를  주로  연구하기  때문에  연구주제가  한정되어,  국제

논문의  실적이  국공립대학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  오히려  국제논문  실적이  국공립대학에  비해  낮지만,  소속대학  전체평균과는  비슷하고 

5천미만  소규모대학  보다는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특수목적대의  한정된  연구범위인 

것을  감안한다면  낮은  실적은  아님

■  국제논문  실적은  우리대학의  국제화  추진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국제논문 

실적을  잘  관리하는  것도  중요

구분

논문명

발표 학회(지)

저자구분

2018

Enhancement  of  Material  Properties  of  Lime-Activated  Slag 

Mortar  from  Intensified  Pozzolanic  Reaction  and  Pore  Filling 

Effect

SUSTAINABILITY

공동(제1)

A  study  o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acquer  drying  condi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lacquerwar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공동(참여)

Study  on  species  identification  for  pungnammun  gate 

(treasure  308)  in  Jeon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공동(참여)

보물  제  308호  전주  풍남문  주요  부재의  수종  연구

목재공학

공동(교신)

Application  of  and  Changes  in  Construction  Principles  and 

Joint  Methods  in  the  Wooden  Architecture  of  the  Joseon 

Era:  A  Case  Study  on  the  Sungnyemun  Gate  in  Seoul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공동(교신)

2019

황토  벽돌의  재료구성  및  공극률이  압축강도와  내수성에  미치는 

영향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공동(참여)

황토  벽돌의  재료구성  및  공극률이  압축강도와  내수성에  미치는 

영향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공동(교신)

Quantitative  Analysis  of  CO2  Uptak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ir  Lime-Based  Materials

ENERGIES

공동(교신)

Historical  and  Scientific  Investigations  into  the  Use  of 

Hydraulic  Lime  in  Korea  and  Preventive  Conservation  of 

Historic  Masonry  Structures

SUSTAINABILITY

공동(참여)

Design  principles  of  early  stone  pagodas  in  ancient  korean 

architecture:  Case  studies  on  the  stone  pagodas  at 

chŏngnimsa  and  kamŭnsa  buddhist  temples

Religions

공동(참여)

Reconsidering  a  proportional  system  of  timber-frame 

structures  through  ancient  mathematics  books:  a  case  study 

on  the  Muryangsujŏn  Hall  at  Pusŏksa  Buddhist  Monastery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공동(참여)

Remote  Diagnosis  of  Architectural  Heritage  Based  on  5W1H 

Model-Based  Metadata  in  Virtual  Reality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공동(참여)

Context-aware  risk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공동(참여)


background image

-  50  -

③ 전임교원 저역서 실적

<표Ⅱ-23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

<표Ⅱ-24  전임교원  저역서  세부  실적>

구분

전임교원  수  (명)

저역서  수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

2018년

36

12

0.33

2019년

37

13

0.35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의  전임교원  저역서  실적은  기준값  및  비교군에  비해  월등한  실적을  나

타내고  있음

■  저역서  실적은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전문성을  드러낼  수  있는  지표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또한  문화재  및  전통문화분야의  체계화된  표준교재를  개발하는  것도  필요함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저역서  실적

0.09건

0.07건

0.12건

0.35건

■  우리대학의  저역서  실적은  최근  2년간  소폭  상승

■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  0.07을  충족

■  대학기관인증평가  전체평균(0.100),  국공립  대학평균(0.094),  재학생  수  5천  미만 

대학평균(0.133)의  수치를  뛰어넘는  우수한  수준

구분

저역서  명

참여구분

2018

조선가구

책임

한눈에  보는소반

공동

전통공예문헌  자료집성

책임

(사상과  문헌을  통한)  한국사의  재발견  :  철학자의  역사공부

책임

일본  속의  백제  :  큐슈지역

공동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공동

백제학연구총서  젱점백제사13    :  백제  웅진기  영역과  지방통치

공동

백제  도성  연구

책임

삼국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책임

풍류의  류경,  공원의  평양

책임

조선의  잡지: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책임

회암사의  건축

책임

2019

영산강유역  마한사회의  여명과  성장

책임

호서의  마한,  미지의  역사를  깨우다  :  2019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공동

가야는  철의  왕국인가?  :  가야·신라·백제의  鐵

책임

분석  고대한국사

책임

칠산서원지(七山書院誌)

책임

조선의  밀사  안용복

책임

고운최치원적철학사상

책임

역주원외랑집

책임

경성의  주택지  :  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

책임

도시재생,  현장에서  답을  찾다

공저

한국  의식주  생활사전  -  주생활편

공저

웃대기행  -  경복궁  서측  사진이야기

공저

정원사를  위한  라틴어  수업  :  식물의  이름을  이해하는  법

책임


background image

-  51  -

④ 전임교원 연구비 수주 실적

<표Ⅱ-25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실적>

<표Ⅱ-26  전임교원  외부  연구비  수주  세부  실적>

단위:  천원

구분

전임교원  수  (명)

교외  연구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실적

2018년

36

2,321,053

64,473

2019년

37

4,162,294

112,494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교수들은  전임교원  수  대비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음

■  2018년도에  비해  2019년도에는  신규사업(국제ODA,  문화재돌봄사업)들을  많이 

유치하였음

■  우리대학이  전통문화  및  문화재분야  특수목적대이기  때문에  본교  교원이  연구비를 

수주할  수  있는  분야는  일반대학에  비해  협소한  것을  감안하면  우수한  실적임 

■  또한  전임교원의  수가  적기  때문에  교원  1인이  평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 

■  직전  대학자체평가(2018년)과  비교하면  우리대학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연구

용역  과제들을  발굴하였음

■  나아가  전통문화  및  문화재분야  외에도  문화재  정책  및  시장변화에  따른  융합

차원의  연구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음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연구비  실적

43,686천원

79,541천원

21,552천원

112,494천원

■  결과:  

명 전임교원 수 

천원 

⇒ 천원  

■  교외연구비는  산학협력단  연구비  실적을  통해  평가

■  비교수치들에  비해  2019년도  실적이  월등히  높음

■  최근  2년간  교외  연구비  전체  실적이  증가

■  국제문화유산  ODA사업  등  규모가  큰  신규사업  유치로  연구비  실적이  2년간  크게 

상승하였음

구분

사업명

수주금액(단위:  원)

2018년

박물관 전시품 고연색-맞춤형 LED 조명 시스템 개발 및 조명에 의한

전통 문화재 변색에 관한 연구

86,500,000

전통무형문화 전형 전승을 위한 실감 센싱/렌더링 기술 개발

80,000,000

부여 능산리 7차 발굴조사

134,704,000

간송미술관 소장품 보존처리 용역

37,500,000

역사가 문화로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 문화영향평가 용역

19,800,000

목판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조사 연구

15,000,000


background image

-  52  -

구분

사업명

수주금액(단위:  원)

2018년 조선왕조실록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평가 및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58,000,000

민종식 고택 향토유적 지정 연구

5,250,000

대표적 소규모 한옥의 성능점 분석 및 전단내력 판단

35,000,000

사적 제249호 부여 송국리유적 제23차 발굴조사 용역

287,093,000

화협옹주묘 출토 화장품 분석 및 재현 연구

37,500,000

능산리 고분군 동하총 상시모니터링 용역

82,800,000

공예용 바이오 접착제 및 평가기준 개발

110,000,000

근대 회화작품 보존·인증·확인을 위한 진단·분석기술 개발

230,000,000

미소독기록물 유해충균 모니터링 및 기준 검증 연구

66,630,000

2018년 이화장 등 수탁기록물 보존 복원

28,500,000

공산성 건물지 복원 고증 연구 정비계획 수립 용역 - 건축분야

30,000,000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 연구자료(문헌)목록 집성 원고 집필

21,879,000

공주시 고도지구 가로경관 개선방안 연구용역

87,175,000

서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보존처리 및 복제 등 3건 보존처리 계획수

립 용역

15,200,000

우당 6형제 생가 복원 및 기념관 조성 기본구상 용역

11,600,000

부여 화지산유적 외3곳 출토목재유물 보존처리 용역

16,200,000

배산성지 1호 집수지 출토 대나무발 수습 및 보존처리 용역

93,765,000

2018 장서각 금속문화재 보존처리 사업

18,700,000

조경 BIM 설계 도입을 위한 기본자료 작성 용역

21,900,000

문화재의 새로운 방향과 의제 연구용역

49,577,000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257,000,000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기 수종분석 용역

48,000,000

서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및 국보 제71호 동국정운 바탕재 제작 기법

연구

30,000,000

서천 봉선리 유적 목곽고 보존처리사업(2차)

129,080,000

2018년 고문헌 상시보존처리 및 정밀상태조사 연구

76,700,000

발해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100,000,000

2018년    소  계

2,321,053,000

2019년

문화재돌봄사업단 운영

1,165,000,000

10m급 대공간 한옥 설계 · 시공기술 개발

40,000,000

박물관 전시품 고연색 맞춤형 LED 조명 시스템 개발(5차)

66,500,000

전통문형문화 전형 전승을 위한 실감 센싱/렌더링 기술 개발(3차)

80,000,000

공예용 바이오 접착제 및 평가기준 개발(2차)

99,500,000

근대회화작품보존·인증·확인을위한진단·분석기술개발(2차)

250,000,000

무형문화재 전수교육학교 운영 지원사업

156,600,000

한국-이탈리아 문화유산 보존환경 및 친환경 손상제어기술 연구

30,000,000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 자료(잡지기사류등) 목록 집성 원고 의뢰

21,879,000

부여 능산리고분군 8차 시굴조사 용역

19,855,000

기획특별전 덕온공주 목제유물 보존처리

19,340,000


background image

-  53  -

※전수교육학교  운영  지원사업(미술공예학과,  교육사업),  2018년  교내연구사업(교원학술연구, 

대학원연구지원 등), 문화재돌봄사업단은 문화재청(본청) 지원사업으로 계산에서 제외

구분

사업명

수주금액(단위:  원)

수화 반응 개선에 의한 고강도 무시멘트 황토 모르타르 개발

30,000,000

방충방균 BOZONE 제품 기능 향상

70,000,000

부여 송국리유적 제24차 시굴조사 용역

49,630,000

서천 장암진성 식생 및 조경정비 기본계획

19,734,000

문화유산 미래 정책비전 고도화 연구

10,751,000

익산 제석사지 출토유물의 소성온도 분석

7,887,000

고인돌 널무덤 소장품 과학적 분석

20,400,000

조선왕조실록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관리시스템 구축 및 공간계획 수

30,000,000

고도 문화재 안내판 안내문안 작성용역

18,450,000

사찰 소장 목판 보관 유형에 따른 보존환경 종합 분석 및 관리방안 연

15,000,000

부여군 생활문화자료조사

20,000,000

파야똔주 사원 생물피해 조사 및 보존방안 연구

30,250,000

백제금동대향로기초콘텐츠개발연구

21,800,000

문화재 재난대응 UHD 방송 및 4차산업 ICT 기술 적용 방안 연구

15,000,000

울산 대곡천 암각화군 역사관광자원화 사업

164,623,000

부여 능산리고분군 8차 발굴조사 용역

219,274,000

2019년 고문헌 상시보존처리 및 정밀상태조사 연구

190,000,000

몰입형 문화유산 체험을 위한 다중 감각기반 가상현실 플랫폼 개발

37,500,000

2019년 고문헌 수리복원사업

169,955,000

관서총도 모사본 제작사업

38,610,000

테마관광 코디네이터 양성사업 부여권역 프로그램 운영

18,500,000

규암 성결교회 옛 교회당 지정조사 용역

9,500,000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20,000,000

부여 송국리유적 제24차 발굴조사 용역

206,704,000

고도(도지정) 문화재 안내판 안내문안 작성용역

17,576,000

배산성지 1호 집수지 출토 대나무발 수습 및 보존처리 용역

93,765,000

일락사철불 승격지정 조사용역

19,500,000

궁능 전통조경 용어조사 및 해설 연구용역

28,800,000

보존과학 DB구축을 위한 미술재료 분석 및 데이터 변환 용역

87,300,000

심설논쟁 아키이브 구축

256,750,000

나주 문화도시 조성사업 계획 문화영향평가 용역

55,000,000

캄보디아 앙코르유적 프레아피투 사원과 코끼리 테라스 보존 및 복원 2

차 사업

932,010,000

문경조령관문유적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신청을 위한 기초연구 용역

17,480,000

(가칭)청년장인학교 설립 추진을 위한 컨설팅

43,000,000

광역권 관광개발사업 성과평가 용역

29,700,000

비파괴 분석을 통한 유화물감 과학감정 데이터 구축 연구 용역

198,627,000

천안 성거산 위례성 목곽고 보존처리

165,544,000

2019년    소  계

5,327,294,000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57  -

3. 학생 및 교육성과

3.1.1 입시제도 현황

3.1.1 학생선발 절차 및 방법

① 신입생 모집 요강 및 절차

[그림Ⅲ-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입학  일반전형  절차] 

[그림Ⅲ-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입학  특별전형  절차]

<표Ⅲ-1  신입생모집요강(2019학년도  신입생  기준)>

전형유형

지원자격

전통문화

인재

·전통문화와  문화재에  열정과  관심을  가진  2021년  졸업  예정자  및  2020년  고등학교  졸업자로 
    국내  정규  고교  학교생활기록부가  있는  자 

추천자

·2021년  졸업  예정자  및  2020년  고등학교  졸업자  중  전  학년  환산  등급점수가  7.00점(내신  3등급이내)이상  이며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학교별  추천인원  제한  없음)

·2021년  졸업  예정자  및  2020년  고등학교  졸업자  중  전  학년  환산  등급점수가  6.00점(내신  4등급이내)이상  이며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

한    문

외국어
우수자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한국어문회 주관) 1급 이상인 자

  <영어>  TOEIC  900점  또는  TOEFL  (IBT 99점,  PBT597점,  CBT  247점)  또는  TEPS  800점(NEW  TEPS  450점)  이상

인  자

  <일어>  新일본어능력시험  N1 또는 JPT 800점 이상인 자
  <중국어>  新HSK  5급  이상인  자
  <러시아어>  서울대학교 어학능력검정시험(SNULT) 61점  이상인 자
  <프랑스어>  DELF  B1  이상인  자
  <스페인어>  DELE  B1  이상인  자

3.1 입시

평가준거

대학은 대학의 교육목표 등에 근거하여 합법적인 절차와 방법에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도록 입시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편입생 모집요강 및 입시제도 개편 현황

진단결과

입시제도 운영

, 입시제도 개선 노력(충족)


background image

-  58  -

전형
유형

지원자격

문화재

수리

기술자·

기능자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  소지자(보수기술자,  실측․설계기술자)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소지자(대목수, 소목수, 가공석공, 쌓기석공, 
    드잡이공,  번와와공,  실측․설계사보,  제작와공,  한식미장공)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  소지자(단청기술자)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소지자(화공,  조각공,  표구공,  소목수,  철물공,  칠공,  도금공,  번와와공,  제작와공,  모사공)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  소지자(보존과학기술자)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소지자(보존과학공,  철물공,  조각공,  칠공,  도금공,  표구공,  세척공)

문화재

수리현장

경험자

·문화재수리업체  3년  이상  경험자(종합문화재수리업,  전문문화재수리업,  문화재  실측설계업,  문화재감리업)

무    형
문화재
이수자

·국가  또는  시·도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이수증을  발급  받은  자(공예기술  중  대목장,  번와장  등  건축

분야)

·국가 또는 시·도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이수증을  발급  받은 자(공예기술)

실기우수자 ·전공관련  실기고사  우수자  선발

문화재

수리

기술자·

기능자 

(정원외)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격취득  후  10년  이상  실무

경력이  있는  자

글로벌 

인재 

(정원외)

·초․중등  12년  이상의  전  교육과정을  외국에서  이수한  외국인으로  어학성적(TOPIK  3급)  기준을  충족한  자

사회적

배려

대상자

(정원외)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1~2호에  따른  수급자  또는  자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제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중  차상위  자활급여,  차상위  장애수당,  차상위  장애인연

금부가급여,  한부모가정  지원,  차상위  건강보험개인부담경감  중  하나  이상의  급여를  받고  있는  가구의  학생  또는 
우선돌봄  차상위  가구의  학생

② 편입생 모집 요강 및 절차

[그림Ⅲ-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편입학  모집  절차]

<표Ⅲ-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편입학  지원자격>

모집단위

지원가능  학과

TOEIC

TOEFL

TEPS

CBT

IBT

PBT

문화재관리학과

전  계열

700점 

이상

170점 

이상

60점 

이상

500점 

이상

600점 

이상

융합고고학과

전  계열

무형유산학과

전  계열

전통조경학과

전  계열

전통건축학과

건축  계열

문화재보존과학과

전  계열

전통미술공예학과

전  계열

어학  지원자격  필수  아님


background image

-  59  -

③ 입시제도 개선 현황(전통문화인재전형 신설)

평가
영역

평가
요소

학생부

항목

자소서

항목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인    성

학업
의지

지적
호기

목표
의식

전공
활동

자기
주도

경험
다양

문제
해결

사고

나눔
배려

성실

공동

의식

리더

수상경력

‘진로희망사항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창의적체험활동상황

“교과학습발달상황

”독서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수상경력

Ž출결상황

학적사항

‘진로희망사항

수상경력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창의적체험활동상황

“교과학습발달상황

”독서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창의적체험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Œ진학의지·노력  경험·활동

동기  및  학업계획

Œ진학의지·노력  경험·활동 

동기  및  학업계획

경험·활동  Ž배려·나눔

동기  및  학업계획

[그림Ⅲ-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인재전형  서류평가  주요자료  평가항목]

[표Ⅲ-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인재전형  학교생활기록부  주요  평가사항]

학생부  항목

주요  평가사항

인적사항

Ÿ비평가요소

학적사항

Ÿ학적  변동사항에  따른  사유  검토

출결상황

Ÿ무단기록,  특이사항  위주로  성실성  검토

수상경력

Ÿ수상내용  및  참가대상에  따른  대회  규모  고려
Ÿ관심영역에  대한  일관성  있는  노력여부  및  확대과정  확인
Ÿ수상등급과  교내활동  참여정도  및  성취결과  위주로  평가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Ÿ지원학과  진학을  위한  노력  및  자기개발  의지  평가 

진로희망사항

Ÿ관심분야  희망사유,  전공관련성

창의적체험활동상황

Ÿ관심영역  및  활동내용의  범위와  확장  정도를  평가
Ÿ활동  참여분야  및  참여정도  확인

교과학습발달상황

w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Ÿ교과목  확인:  이수교과목,  이수단위  확인(석차등급,  비교과영역  확인)
Ÿ세부특기:  일반교과내용+수행평가+관심영역

독서활동상황

Ÿ다양한  독서  및  계열별  독서양과  내용  확인(통합평가)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Ÿ교사의  종합의견으로  학교생활  충실성  파악

사전안내


background image

-  60  -

진단 

및 

개선사항

■  2018년도  자체평가  이후  입시전담  조직(입시팀)을  신설하여  입시제도  내실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  2019년도에는  기존  입시제도를  개선하여  문화재  특수목적대의  특성에  맞는  입시

제도로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음

■  우수학생  유치를  위해  대학  입시환경  변화,  교육부  제도  등  여러  추세를  반영하는 

것도  필요함

■  또한  최근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이슈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입시전략을  마련

하는  것이  중요함

■  다양한  전형유형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본교는  특수목적대로서  문화재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자체  입시전형  제도를  시행

하고  있음

■  2019년도에는  기존  입시제도를  개선하여  ‘전통문화인재전형’이라는  특성화  입시

전형을  개설하였음


background image

-  61  -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3.1.2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표Ⅲ-4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평가준거

대학은 일정기준 이상의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정원내 신입생 현황

산출식

정원내 모집인원 명 

정원내 입학자수 명 

× 

기준값

95%

진단결과

100%(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대부분의  타대학에  비해  인원  수가  훨씬  적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변동의 

폭이  큼

■  우리대학은  전통문화  및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하기  위한  소수정예  특수목적대 

이므로  비교대학들에  비해  신입생  충원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함

■  신입생  충원율을  높이기  위해  2019년도부터  합격자  관리  프로그램(예비대학)과 

동기유발학기  등  다양한  신입생  지원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충원율이  바람직한  수

준으로  유지되고  있음

■  향후  신입생  충원율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실화  하는  것과  예비  신입생에 

대한  대학홍보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함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  미만

전통대

신입생  충원율

96.1%

99.7%

90.0%

100%

■  결과:  

정원내 모집인원 명 

정원내 입학자수 명 

×  ⇒   

■  2018년  2019년도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이  100%를  유지하였음

■  입학정원  수가  적어  소수의  인원에  따라  변동의  폭이  크게  나타남 

구분

입학정원

모집인원

지원자  수

정원내  입학자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정원내

정원내

2018

147

140

938

140

100%

2019

147

140

994

140

100%


background image

-  62  -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3.1.3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표Ⅲ-5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평가준거

대학은 일정기준 이상의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을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정원내 재학생 현황

산출식

학생정원 명 

정원내 재학자수 명 

× 

기준값

80%

진단결과

100.5%(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재학생  충원율은  학생의  대학에  대한  계속만족을  나타내는  지표로  신입생  충원율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지표임

■  대학기관인증평가  기준값  80%는  거의  모든  대학이  충족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

있는  기준값은  아님

■  본교는  소규모  인원에  따라  충원율  변동의  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

■  본교의  경우  소수정예  특수목적대이기  때문에  재학생  충원율  관리가  매우  중요함

■  재학생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학과별  교육과정  내실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등  대학 

전체차원에서의  관리가  필요함

■  재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함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  미만

전통대

재학생  충원율

95.7%

103.3%

87.3%

100.5%

■  결과:  

학생정원 명 

정원내 재학생 수 명 

×  ⇒

■  우리대학의  재학생  충원율은  기준값과  전체평균은  상회하고  있지만,  국공립대학

평균에는  못미치는  수준

■  지난  2년간의  재학생  충원율은  상승하였음

구분

학생정원  수

전체  재학생  수

정원내  재학생  수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2018년

560

540

534

95.4%

2019년

560

576

563

100.5%


background image

-  63  -

3.2.1 학생 자치활동 지원

<표Ⅲ-6  2019년도  주요  학생자치활동  지원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자치활동을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학생자치 활동 지원 현황

진단결과

학생자치 활동 지원

(충족)

3.2 학생지원

진단 

및 

개선사항

■  대학본부는  학생자치활동을  위한  충분한  예산과  지원을  하고  있음

■  자치활동과  별개로  2018년  5월  개정된  「고등교육법」개정에  따른  대학  평의원회  설치 

의무화에  대한  조치로  민주적인  의사절차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

■  본교는  일반대학과  마찬가지로  총학생회,  대의원회,  동아리연합회  등  학생들의 

자치활동을  위한  다양한  단체들을  지원하고  있음

■  학생자치활동을  위한  예산을  충분히  지원하고  있음

■  2019년도에는  라이엇게임즈  후원으로  공모전,  전통문화  체험활동,  학생  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원하였음

구분

주요내용

기타

총학생회

-  학생자치 활동 대표 역할 수행(대외홍보국, 사무국 등 운영)

- 신입생  새로배움터,  축제,  체육대회,  학술제  등  운영

116,200천원  지원

(학과학생회, 대의원회 운영비 포함)

-  학과  학생회  운영비

학과당  1,000천원  지원

-  대의원회(총학생회  선거)

500천원  지원

동아리연합회

- 동아리  활동  총괄

- 동아리연합회  문화행사(블루밍데이,  축제  등)  개최·지원

21,000천원  지원

대학본부

- 전통문화  엑스포  지원(공모전,  전통문화  축제  등)

87,500천원  지원

*2019년도  한정사업

그  외

-  졸업준비위원회(졸업앨범  제작  지원)

7,530천원  지원


background image

-  64  -

3.2.2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3.2.2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운영

<표Ⅲ-7  2019년도  학생상담센터  운영실적>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 학업 및 진로지도와 관련된 상담 

체제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상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학생상담실 운영 현황

진단결과

학생 상담체제 구축

·운영(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학생상담센터에서는  상담  및  심리검사,  성희롱,  성폭력  예방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음

■  교수·학습지원  부서와  마찬가지로  상담실  또한  전담인력은  1명으로,  학생상담  프로

그램  운영  시  지원인력이  부족한  상황임

■  학생들이  건강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내실있는  상담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인력을  보강하는  것과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정책  마련  필요

■  향후  재학생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필요함

■  2015년도부터  개소한  학생상담센터는  학생은  물론  직원  등  대학구성원  모두에게 

상담  및  심리검사·학생  4대폭력  예방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음

■  원활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구분

주요내용

개인상담

-  대인관계,  성격,  정서,  대학생활  등  개별  상담  진행

- 실적  :  상반기  198회  /  하반기  189회  실시

개인  심리검사

- 에니어그램,  MBTI,  OK그램,  이고그램,  SCT,  HTP  등

- 실적  :  상반기  50회  /  하반기  15회  실시  완료

동기유발학기검사

- MBTI  Form  M  성격  유형  검사  실시(신입생  및  재학생  126명  실시)

심리특강  및  집단상담

- 심리데이  특강(4회)

- 자아탐색  집단상담

신입생  실태조사

- 설문조사를  통한  신입생  대학생활  현황  파악(신입생  137명  실시)

- 학생  프로그램  개발  기초자료로  활용

신입생  단체  심리검사

- MMPI-2  다면적  인성  검사  실시(신입생  137명  실시)

4대  폭력예방  교육

- 가정폭력,  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예방  교육

찾아가는  상담소

- 직접  학생  및  직원을  찾아가  심리검사  및  해석을  제공

- 실적:  상반기  19명  /  하반기  10명

엑스포  특강

- 커피테라피,  심리극

그  외  상담

- 자살  방지  및  상담  실시(해당자)

- 부모요청  전화  상담

- 성희롱  고충  상담


background image

-  65  -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

3.3.1 국내외 학술 및 산학교류 협정 현황

<표Ⅲ-8  최근  2년간  국외대학과의  학생교류  현황  수>

<표Ⅲ-9  대학  학술교류  및  기관  산학교류협정  현황  수>

<표Ⅲ-10  국내기관과의  교류협력  실적>

평가준거

대학이 국내

·외 대학들과 학술교류협정을 통해 학술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질적으로 교류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국내

·외 대학 학술교류협정 체결 현황

진단결과

국제교류 인프라 구축

, 실질적 교류현황 미흡(약간미흡)

3.3 국내·외  교류

구분

일본

중국

러시아

이탈리아

독일

파견

초청

파견

초청

파견

초청

파견

초청

파견

초청

2018년

3

3

1

4

1

-

2

-

-

-

2019년

1

1

2

4

2

-

-

-

1

-

구분

대학  학술교류  협정  수

기관  산학교류협정  수

국내

3

39

일본

7

3

중국

4

1

베트남

1

러시아

2

1

라오스

1

-

미국

-

1

프랑스

1

-

이탈리아

2

-

영국

1

-

독일

1

-

키프로스

1

-

인도

1

합  계

24

45

구분

기관명

협약내용

2018년

백제고도문화재단

교류협력  협약

한국문화재돌봄협회

교류협력  협약

부여군

교류협력  및  지역상생  발전  협약

2019년

㈜  제이엠커리어

취업성공패키지  업무협약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전통건축  수리·보존·활용을  위한  업무협약

간송미술문화재단  및 

서울디자인재단

DDP  수장시설  내  문화재와  소장품  보존관리  및  활용을  위한  상세협약

경운박물관

교류협력에  관한  협약서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교류협력에  관한  협약서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업무협약서

재단법인  아름지기

교류협력  협약서

(사)문화재형사회적경제연합회

전통문화  분야  미래인재  육성  및  사회적경제  활성화  협약

인턴십에  관한  협약서(학생  7명)

경산시립박물관

업무협약

산림청

업무협약

한국수목원관리원

업무협약


background image

-  66  -

<표Ⅲ-11  국제문화재교육센터  프로그램  운영  현황>

진단 

및 

개선사항

■  대부분의  대학들이  국제교류를  위한  조직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으나  우리대학의 

경우  2019년도부터  국제화  역량을  위한  조직을  상대적으로  늦게  구축하였음

■  본교는  국내외  대학뿐만  아니라  문화재  관련  여러  유관기관들과의  교류협력을  체결

하였음

■  국내  여러기관들과  협약을  통해  인턴십,  지역  상생발전  협약  등  단순  MOU체결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였음

■  국내대학의  학술교류의  경우  국외대학에  비해  사례  수가  미흡한  상황임

■  기관교류  협정의  경우  대학교류  협정  수에  비해  사례수가  부족함

■  본교의  교류협력  체결  대학  사례  수에  비해  실질적인  학생교류는  부족함

■  국외대학  및  기관과의  MOU  체결  시  실질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공동연구  및  학술행사,  학생교류,  공동교육과정  등)

■  일부  학과의  경우  학과  특성상  국외대학과의  교류가  어려울  수  있음

■  또한  전문성을  위해  영어에디터,  전문연구인력을  채용하였음

■  국제문화재교육센터에서  실질적인  교류프로그램,  국제학술행사  등  여러  국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국제역량  강화에  노력하고  있음

■  국제문화재교육센터는  2019년도부터  개소하여  실적이  약간미흡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향후  자체평가  시  2020년  이후  실적이  반영되면  개선될  것으로  전망

■  학생교류의  사례  수는  대학규모와  특성상  적게  나타나고  있음

■  학생교류의  경우  본교·학과별  특성상  아시아지역의  사례가  대부분이나  최근  유럽

(러시아,  이탈리아,  독일)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

■  2010년대  이전에는  아시아국가  중심으로  교류협력을  체결했지만  2010년대  이후

에는  유럽지역,  미주지역으로의  교류를  점차  확대해가고  있음

■  2019년도에는  국제화를  위한  연구인력(연구교수)을  채용하였고  국제문화재교육센

터를  개소하였음

■  국내교류의  경우  2018-2019년도  실적이  지역사회(부여군)와  상생협약,  문화재형 

사회적기업연합회  인재육성  협약  등  여러  외부기관과의  교류를  실시

구분

국제문화재교육센터  프로그램  내용

비고

2019년도

○  2019  한국전통문화대학교-ISCR  국제교류  프로그램

- 주제:  동산문화재와  보존과학  –  유기질  문화재

- 기간:  2019.  7.  1.  ~  12.(2주)

- 장소:  본교  및  현장답사

- 대상:  이탈리아  국립고등보존복원교육원(ISCR)  4명

- 프로그램:  강의,  현장답사,  학생  발표회

○  2019  IHEC  Summer  Workshop

-  주제:  유·무형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존  관리

- 기간:    2019.  8.  5.  ~  23.(3주)

- 장소:  본교  및  현장답사

-  대상:  10명(인도  암다바드대학  교류학생  7명,  본교  3명)

-  프로그램:  강의,  현장답사,  학생  발표회

*2019년도부터 

개소하여  연구교수, 

영어에디터, 

지원인력  등  6명의 

전문인력  채용 


background image

-  67  -

3.4.1 졸업생 취업률

3.4.1 졸업생의 취업률

<표Ⅲ-12  한국교육개발원  공시  졸업생  취업현황>

3.4 취업

평가준거

대학은 적정 수준 이상의 졸업생 취업률을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졸업생 취업현황

산출식

졸업생  진학자  입대자  취업불가자 외국인유학생  건강보험직장미가입자명

건강보험 연계취업자 해외취업자 영농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창업자 프리랜서명

×

기준값

55%

진단결과

57.1%(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공식취업률은  기준값은  충족하고  있지만,  비교값과  비교하면  미흡한  상황임

■  특수목적대인  우리대학의  취업분야가  일반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문화재  분야  취업현황이  어려워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음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졸업생  취업률

61.9%

62.3%

57.4%

57.1%

■  졸업생  취업률  기준값은  2019년도  대학기관인증평가의  기준값을  활용(55%)

■  비교수치는  2019년도  대학기관인증평가의  대학평균  결과값을  적용

■  최근  3년간  취업률은  한국교육개발원  및  대학알리미  정보공시  공식  취업률  데이

터임

■  취업률의  경우  최근  3년간  변동의  폭이  커,  3년  평균치를  결과값으로  활용

■  최근  3년간  취업률:  

졸업생 명   제외자 명 

취업자 명 

×  ⇒ 

■  한국교육개발원  공식취업률이  본교는  기준값(55%)을  넘지만,  비교값들  보다는  낮은 

실정임

■  최근  조사자료  3년간  우리대학의  취업률은  하락추세

공시취업률  최근  3년간  자료  /  단위:  명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비고

졸업생

145

122

130

제외자

25

26

31

대학원  진학자·취업불가능자  등

취업대상자

120

96

99

취업자

75

52

53

취업률

62.5%

54.2%

53.5%


background image

-  68  -

■  문화재청  정책,  문화재  및  전통문화  시장변화  등의  영향으로  취업률이  구조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문제도  있음

■  문화재  현장은  복합적인  요소들이  얽혀  있어,  특히  석사  이상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대학원  진학자가  늘어나고  있음

■  연도별  공식  취업률은  해당년도  졸업생  배출  1년  이내의  취업여부만을  조사하므로, 

풍부한  현장경험을  요구하는  문화재  분야  특성상  1년  이후의  취업여부가  미반영되며, 

개인공방,  관련  소규모  업체  인턴과정  및  프리랜서의  경우  건강보험(DB)에서  제외

되므로  취업자로  집계되지  않는  한계가  있음

■  예술분야(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분야  창업자  등  공식취업률에  산입되지  않는 

인원도  감안할  필요가  있음

■  졸업생  취업률  지표의  경우  대학특성,  외부요인(취업시장,  경제상황  등)에  의해  좌지

우지  되기  때문에  향후에는  취업률  보다는  취업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로 

평가하는  것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음(예:  유지취업률,  취창업  프로그램  등)


background image

-  69  -

3.4.2 취·창업지원

3.4.2 취·창업지원 프로그램

<표Ⅲ-13-취창업프로그램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창업프로그램 현황

진단결과

·창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충족)

구분

분야

프로그램  내용

2018년도

취업

1. 진로지도위원회  개최(1월/9월)

2. 취업정보망  개선,  운영(월평균  34건)

3. 사이버  어학강좌  지원(수강인원  843명)

4. 개인별  취업상담(101건)

5. 신입생  단체  직업심리검사  실시(150명)

6. 학과맞춤형  취업특강(총  8회/146명  참석)

7. 문화재  관련  기업  DB구축

8. 전공  관련  자격증  지원  프로그램  운영(총  31명)

9.  문화재  전문가  특강  운영(1차:  49명/  2차:  15명)

10.  동문과  재학생  만남  운영(41명)

11.  지역인재  7급  견습직원  대비반(4명)

12.  고용노동부  취업성공패키지  사업(39명)

13.  박람회  및  기업설명회  참여  지원(산업전  55명/  공직박

람회  2명)

창업

*창업  전문인력  미비

2019년도

취업

1. 학생과  소속에서  취창업센터로  개소  (4월)

2. 온라인  외국어  강좌(299명  수강)

3. 자격증  취득  지원(8건  지원)

4.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대비반(12명  참여,  2명  추천,  1

명  최종합격)

5. 문화재  취업  진로  포럼(15명  참여)

6. 개인별  취업상담(13건)

7. 고용노동부  취업성공패키지  사업(33건)

8. 문화재  전문가  멘토링(3회)

9. 취창업센터  홈페이지  취업정보  제공(105건)

10. 취업진로가이드북  발간(550부  제작  및  배부)

창업

1.  창업특강  운영  5회(76명  수강) 

2.  창업지원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  워크숍  진행(9명  수

료) 

3.  예비창업자  인큐베이팅  공간지원사업  운영


background image

-  70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졸업생의  취업분야가  일반대학에  비해  한정되어  있고  문화재  취업현장이 

어려워지고  있음

■  우리대학은  최근  창업전문인력도  채용하여  취업지원과  창업지원  기능을  갖추고 

있음

■  취창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  제공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도  필요함

■  우리대학은  취창업지원의  전문성을  위해  기존  학생과  소속의  취업지원  기능을  2019

년도에  취창업센터를  독립하여  개소하였음

■  취창업센터는  취업지원,  창업지원  등  각각  전문인력을  채용하였음 

■  자체취업지원  프로그램  외에도  외부기관과  연계하여  학생들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취업성공패키지  등)

4.  창업연계  상품  업그레이드  및  마케팅  지원(3개  상품  업

그레이드)

2020년도

취업

1. 온라인  외국어  강좌  수강  (387명  수강)

2. 진로/취업  교과목  운영(여름계절학기-진로(21명),취업(15

명/겨울계절학기-진로(30명),취업(17명))

3. 교내  홈페이지  채용  정보  452건  게시  및  카카오톡  플러

스  친구  채널  오픈

4. 문화재행정연구반  총  7명  선발,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3명  추천  예정

5. 자격증  취득지원  총  33건  지원

창업

1.  창업동아리  운영(3팀)

  -  창업컨설팅  및  동아리  운영지원   

2.  창업아이디어  공모전  개최(신청인원  10팀/17명)

  -  공모전  수상자  4팀(상금  총  5,000천원  지원) 

3.  사업화  후속  지원(4팀)

  -  시제품  개발,  마케팅,  재료비  등  총  4,849천원  지원   

4.  온라인  창업  멘토링  운영

  -  동문  선배창업자  및  창업전문가  멘토링  진행  7개  분야

5.  창업  멘토링  운영

  -  사업화  가속  및  스케일업을  위한  전문멘토링  진행  (4팀, 

16시간) 

6.  창업교과  개설  운영

  -  사회적기업가  정신과  디자인씽킹(하계-15명  수강)

  -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비즈니모델  수립(동계-18명수강) 

7.  창업가이드북  제작

  -  창업의  접근성을  높이고  전문적인  정보  공유를  위한  책

자  제작(100부) 


background image

-  71  -

3.4.3 자격증 현황

3.4.3 문화재 관련 자격증 합격률

① 문화재 관련 자격증 합격현황

<표Ⅲ-14  최근  3년간  문화재  수리기술·기능자  합격자  현황>

<표Ⅲ-15  문화재수리기능자  세부분야  합격현황>

<표Ⅲ-16  문화재수리기술자  세부분야  합격  현황>

평가준거

특수목적대의 취지에 맞게

, 학생들이 국가자격증 및 문화재관련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국가자격증 취득현황

기준값

45명(17-18년도실적+30%가중치)

진단결과

59명(충족)

구분

문화재수리기능자  합격자  수(명)

문화재수리기술자  합격자  수(명)

2017년

19

6

25

2018년

34

10

44

2019년

53

6

59

구분

2017

2018

2019

실측설계사보

8

5

9

조경공

-

1

-

보존처리

4

16

23

세척공

-

3

5

철물공

-

-

-

한식목공대목

-

1

1

훈증공

-

-

-

화공

3

1

7

칠공

3

-

5

모사공

-

2

-

도금공

1

-

-

보존과학공

-

-

-

소목

-

-

-

제작와공

-

4

2

표구공

-

1

1

합계

19

34

53

구분

2017

2018

2019

보수

4

4

-

단청

-

-

1

실측·설계

-

-

-

조경

-

2

2

보존과학

2

3

3

식물보호

-

1

-

합계

6

10

6


background image

-  72  -

② 일반 자격증 합격현황

<표Ⅲ-17  최근  2년간  국가자격증  합격현황>

진단 

및 

개선사항

■  최근  실적은  기준값  보다  높은  59명으로  우수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문화재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매년  문화재수리기능자  전체  합격인원에서  본교인원은 

약  10%(599명  중  본교생  59명),  문화재수리기술자의  경우  전체  합격인원에서  본교

인원은  약  15%(41명  중  본교생  6명)로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수리기술자  실측·설계분야의  경우  시험응시자격에  건축사자격을  두고  있어,  건축학

인증제도  도입  또는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위한  제도  개선  등  개선책  마련이  시급함

■  취창업센터는  문화재  자격증  외에도  현장에서  필요한  일반분야의  자격증  취득을  위한 

여러  지원을  이어가고  있음(예산지원,  학습지원  등)

■  학과별,  종목별로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

■  문화재수리기능·기술  자격증은  본교가  문화재청  소속대학인  만큼  중요한  자격지표

이기  때문에  취득을  위한  많은  독려가  필요함

■  문화재  수리기능자  및  수리기술자  현황은  우리대학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지표임

■  문화재수리기능자  합격자  수는  연도별로  편차가  나타남 

■  문화재  수리기술·기능자  자격  합격자  수가  증가  추세임

■  종목별로  합격자  수  편차가  나타나고  있음

■  기준값의  경우  2017-2018년도(2년간)  평균실적치와  문화재  특수목적대인  점을 

감안하여  30%  가중치를  두어  45명으로  설정

구분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2018년

-

-

10

2

21

2019년

-

-

-

-

-

10

2

21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75  -

4. 교육시설

4.1.1 교사 확보율

4.1.1 교사 확보율

<표Ⅳ-1  교사확보율>

                                        *대학원  포함

4.1 교육  기본시설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활동에 필요한 평가원 지정 기준 이상의 교사를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사시설 확보현황

산출식

기준면적  

기본시설    부속시설    연구시설  

× 

기준값

100%

진단결과

539%(충족)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교사확보율(%)

158.5%

163%

188.8%

539%

■  기준면적은  「대학설립운영규정」에  의한  교사  기준면적을  재학생  기준으로  산출

■  학생교육과  관계가  없는  총장공관  및  교직원  관사는  산출에서  제외 

■  거의  모든  대학들이  기준값을  넘기  때문에  의미있는  기준값은  아님

■  결과:  

기준면적

기본시설  부속시설  지원시설

×  ⇒  

■  우리대학은  대학알리미  통계  전체평균,  국공립  대학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

평균  등을  월등히  앞서는  수준임

계열별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의학

학생  1인당  교사면적

12m2

17m2

20m2

19m2

20m2

구분

기준면적(m2)

(D)

기본시설(m2)

(A)

부속시설(m2)

(B)

지원시설(m2)

(C)

교사확보율(재학생  기준)

(A+B+C/D*100)

2018년

11,354

26,629

14,056

26,677

593%

2019년

12,479

26,629

14,056

26,677

539%


background image

-  76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기준값  및  비교값을  월등히  뛰어넘는  우수한  교사확보율  실적을  보유

하고  있음

■  소수정예  인원  특성  때문에  산출식에서  매우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

■  문화재  현장에서의  대학원  이상의  전문인력을  요구에  따라  대학원  정원이  증가하여 

연구시설  확보에  노력하였음

■  차후  대학자체평가에  2020년  대학원  종합연구관  건립  실적이  포함되면  교사확보율 

실적은  대폭  늘어날  예정


background image

-  77  -

4.1.2 강의실 확보율

4.1.2 일반 강의실 확보율

<표Ⅳ-2  강의실  확보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강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실을 확보하고

, 강의실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일반강의실 현황

산출식

재학생 수 명 

일반 강의실 총면적  

기준값

1.2m2

진단결과

3.3m2(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일반강의실  수는  36개로  36/9(대학원  포함)=학과당  평균  4개의  강의실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으로  적절한  결과값을  보유하고  있음

■  우리대학의  수업규모는  소규모  수업(15명  이하)이  많기  때문에  효율적인  강의를 

위해서는  일반강의실  보다는  세미나형  강의실,  계단식  강의실,  스마트  강의실  등 

강의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강의실  확보가  중요함

■  강의실  모두  멀티미디어지원  시설(강의용  컴퓨터  혹은  노트북,  프로젝터)을  갖추고 

있어,  원활한  수업진행시설을  갖추고  있음

■  참고로  우리대학은  이론  강의를  위한  일반강의실  보다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는  실험·실습실이  대다수를  차지함

■  실험·실습실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강의실  확보수준은  양호한  수준

이나  학과  특성(이론중심/실기·실습중심)에  따라  학과별  공간조정이  필요해  보임

■  특히  특강이나  외부강연  등을  실시할  대형강의  시설은  부족한  상황으로  장기적으로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스마트강의실,  대형강의  시설  등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

■  재학생  1인당  강의실  면적은  실제  강의가  이루어지는  일반  강의실과  세미나실  포함

■  강의실  확보율은  학부와  대학원  강의실,  세미나실  현황으로  산출함

■  결과:  

명 학부   명 대학원 

일반강의실 총 면적  

⇒ 

  

■  연도별  재학생  수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구분

강의실  수

면적(m2)  (A)

재학생  수  (B)

(학부+대학원)

재학생  1인당  면적(m2)

(A/B)

2018년

36

2,313

673

3.4

2019년

36

2,313

697

3.3


background image

-  78  -

4.1.3 실험·실습실 확보 현황

4.1.3 실험·실습실 확보 현황

<표Ⅳ-3  실험·실습실  확보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실험

·실습실의 쾌적한 환경 및 안전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실험

·실습실 확보현황

산출식

재학생 수 명 

실험·실습실 총면적  

기준값

2.5m2

진단결과

9.3m2(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학과  특성별로,  다양한  실험·실습실을  확보하고  있음

■  학과  특성상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재보존과학과  순으로  실험·실습실을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음

■  다만,  전통미술공예학과의  경우  전체  비중은  높지만  실질적으로  세부전공이  4개 

이기  때문에  실험·실습실  확보율은  부족한  상황 

■  일부  이론중심의  학과는  실험·실습실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또한  실험·실습실  운영  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2016년도  부터  전문

인력(전문경력관  1명)  채용을  통해  안전관리에  집중하고  있음

■  향후  대학원종합연구관  건립  실적이  반영되면  실적이  대폭  늘어날  예정이며  대학

원  전용  실험·실습실을  마련함으로써  역량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재학생  1인당  실험·실습실  면적은  타대학과의  비교할  통계가  없음

■  학과실습실은  실질적으로  대학원과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학원생  포함하여  산출

■  결과:  

학부 명   대학원 명 

실험·실습실 총 면적  

⇒ 

  

■  재학생  1인당  실험·실습실은  기준값의  4배가  넘는  우수한  실적임

■  중요  기자재가  있는  실습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실습실은  수업  외  시간에도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학과

실험·실습실  수

실험·실습실  면적(m2)

전통건축학과

6

914

전통조경학과

7

845

문화재보존과학과

21

1,149

전통미술공예학과

22

2,789

무형유산학과

-

-

문화재관리학과

-

-

융합고고학과

11

874

대학원

2

136

공용

2

167

합계

71

6,874


background image

-  79  -

<표Ⅳ-4  실험·실습실  세부현황>

학과명

실습실  명칭

면적(m2)

위  치

설립년도

전통조경학과

조경재료  및  실측설계실험실

64.68

E-2동  1층(E-109)

2002

조경제도실4

97.02

E-2동  2층(E-215)

2002

조경제도실3

97.02

E-2동  2층(E-214)

2002

컴퓨터설계실습준비실

32.34

E-2동  2층(E-213)

2002

조경제도실2

97.02

E-2동  2층(E-212)

2002

조경제도실1

97.02

E-2동  2층(E-211)

2002

유리온실  및  야외실습장

369.6

야외(교육원  인근)

2005

전통건축학과

컴퓨터설계실습실

130.35

E-2동  2층(E-216)

2002

건축설계실4

97.02

E-2동  2층(E-217)

2002

건축설계실3

97.02

E-2동  2층(E-218)

2002

건축설계실2

97.02

E-2동  2층(E-220)

2002

건축설계실1

97.02

E-2동  2층(E-221)

2002

구조,  치목실습동

396

야외(부재창고  옆)

2004

전통미술

공예학과

전통도자실2

68.64

D동  1층(D-107)

2002

전통도자실3

63.03

D동  1층(D-108)

2002

천연염색실

63.03

D동  1층(D-109)

2002

금속공예실1

63.03

D동  1층(D-111)

2002

금속공예실2

68.64

D동  1층(D-112)

2002

전산실습실

119.46

D동  1층(D-105,106)

2006

침선실

72

D동  1층(D-102-1)

2009

전통섬유실습실1

72

D동  1층(D-103-1)

2009

전통섬유실습실2

72

D동  1층(D-100-1)

2009

전통섬유실습실3

72

D동  1층(D-101-1)

2009

직조실

72

D동  1층(D-104-1)

2009

입체조형실

72

D동  1층(D-105-1)

2009

전통회화실1

144.1

D동  2층(D-201-1)

2009

전통회화실2

72

D동  2층(D-200-1)

2009

전통회화실3

72

D동  2층(D-204-1)

2009

배접실

36

D동  2층(D-203-1)

2009

번조실

80.85

E-2동  1층

2002

모형제작실

64.68

E-2동  1층

2002

목공기계실

86.13

F동  1층

2002

전통도자가마실

138.6

교내(야외)

2002

금속주조단조실

105.6

교내(야외)

2002

전통미술공예실습장(10개실)

1,112.1

교내(야외)

2003

융합고고학과

도․토기복원실

77.55

G동  1층(G-108)

2000

유물보관실

129.36

G동  1층

2000

가상유적복원실

88.44

G동  2층(G-215)

2000

고고학실습실

60.39

G동  1층(G-105)

2000

고고학실습실

60.39

G동  1층(G-106)

2000

유물정리실1

133.92

G동  신축2층(G-204)

2006

유물정리실2

108

G동  신축2층(G-205)

2006

쾌속조형기  운영실

54

G동  신축2층(G-206)

2006

가상유적복원실2

54

G동  신축2층(G-203)

2006

유적조사연구실

54

G동  신축2층(G-202)

2006

도면정리실습실1

54

G동  신축2층(G-201)

2006

문화재보존과학과

X-선  실험실

20.30

F동  1층(F-105)

2002

지류섬유실1

60.39

G동  1층(G-101)

2000

지류섬유실2

60.39

G동  1층(G-102)

2000

회화실

77.55

G동  1층(G-107)

2000

물리,  화학실

77.55

G동  1층(G-109)

2000


background image

-  80  -

학과명

실습실  명칭

면적(m2)

위  치

설립년도

생물실

77.55

G동  1층(G-110)

2000

전처리실

35.31

G동  1층(G-111)

2000

ICP실

11.22

G동  1층(G-115)

2000

습식분석실

22.44

G동  1층(G-117,116)

2000

시료전처리실

22.44

G동  1층(G-118,119)

2000

전처리실2

22.44

G동  2층(G-216,217)

2000

약품실

22.44

G동  2층(G-218,219)

2000

기구실

11.22

G동  2층(G-220)

2000

분석실1

77.55

G동  2층(G-214)

2000

환경실

77.55

G동  2층(G-213)

2000

분석실2

77.55

G동  2층(G-212)

2000

라만분석실

35.31

G동  신축1층(G-101)

2006

보존과학연구소

54.12

G동  신축1층(G-102)

2006

금속실1

107.91

G동  신축1층(G-103)

2006

금속실2

108

G동  신축1층(G-104)

2006

목재실

90.7

G동  신축1층(G-105)

2006

교양기초학부

사진실습실(암실  포함)

64.56

D동  3층(D-303-1)

2002

어학실습실

108

D동  3층(D-301-1)

2002

대학원

대학원생  실습실(조각)

64

D동  1층(D-113)

2002

대학원생  실습실(회화)

72

D동  2층(D-202-1)

2009

공통

통합전산실습실1

83.63

C동  1층(C-111)

2002

통합전산실습실2

83.63

C동  1층(C-110)

2002


background image

-  81  -

4.1.4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 정도

4.1.4 실험·실습실 기자재 현황  

<표Ⅳ-5  최근  2년간  기자재  구입  현황>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특수목적대  성격에  맞게  충분한  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음

■  기준값  대비  실적은  10배가  넘는  우수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다양한  기자재를  통해  문화재  현장실무인재  교육에  노력하고  있음

■  향후  우수한  연구시설  및  실험·실습  기자재를  외부기관(대학교류,  연구기관  등)과 

공유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예:  공동연구,  공동교육

과정  등)

평가준거

대학은 실험

·실습·실기에 대한 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실험

·실습 기자재를 구비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실험

·실습실 기자재 구비현황

산출식

최근 년간 재학생 수 명 

최근 년간 실험·실습기자재 구입비 원 

기준값

자연

-인문 평균 등록금 

차액의 

15%=127천원

진단결과

1,566천원(충족)

단위:  천원

구분

기자재  구입비

재학생  1인당  기자재구입비

2018년도

1,072,965

1,594

2019년도

1,073,965

1,539

합계

2,146,930

1,566

※출처:  대학알리미(2019년도  현황)

재학생  1인당  평균등록금

등록금  차액(천원)

(B-A)

등록금  차액  15%(천원)

(B-A)*0.15

인문사회(A)

자연과학(B)

2,784천원

3,631천원

847

127

■  기자재  구입비는  실험·실습실  비품,  재료비  등은  제외한  실험·실습  기자재로  한정함

■  최근  2년간  기자재  구입비는  총  2,146,930천원으로  나타남

■  2년간  총  기자재구입비와  학부+대학원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값

■  기준값의  경우  우리대학은  127천원

■  결과  =  

최근 년간 재학생 수 명 

최근 년간 실험·실습기자재 구입비 천원 

 천원

■  직전  대학자체평가와  비교하여  연간  기자재  구입비가  상승(80백만원→100백만원)

■  또한  우리대학은  실기  및  실험·실습이  많은  특수목적대  특성에  맞게  3천만원  이

상의  고가  기자재를  74점을  보유하고  있음


background image

-  82  -

4.1.5 기숙사 수용률 

4.1.5 기숙사 확보 현황 및 수용률

<표Ⅳ-6  최근  2년간  기숙사  수용률>

<표Ⅳ-7  기숙사  현황  및  수용인원>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숙사 시설을 

확보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기숙사 수용 현황

산출식

재학생 수 명 

수용가능인원 명 

× 

기준값

11%

진단결과

104.3%(충족)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기숙사  수용률

33.4%

28.7%

53.7%

104.3%

■  결과:  

재학생 수 명 

수용가능인원 명 

×  ⇒   

■  대학원기숙사  신축으로  인해  기숙사수용률이  100%  넘게  나타나고  있음

■  우리대학은  지리적  위치로  인해  전체  재학생  100%  기숙사  거주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구분

실  수

수용  가능인원

입실인원

비고

호고재(3인실)

45

135

128

여학생  기숙사

시습재(2인실)

36

72

71

이첨재(2인실)

34

68

65

호연재(2인실)

18

36

35

신축동(2인실)

16

32

30

문소재(2~3인실)

53

154

148

남학생  기숙사

이첨재(2인실)

10

20

18

신축동(2인실)

16

32

32

학구재(2인실)

90

178

(장애인실  2실  포함)

136

대학원  기숙사

합  계

318

727

663

*2019. 4. 1. 기준

구분

수용가능  인원

재학생  수(학부+대학원)

기숙사  수용률

2018년도

727

673

108.0%

2019년도

727

697

104.3%


background image

-  83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모든  재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  시설을  갖추고  있음

■  재학생  100%를  기숙사에  유치하는  것은  전국적으로도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우수한  실적임

■  다만,  일부  학부  기숙사  시설의  경우  시설이  낙후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

■  2017년도  대학원기숙사  개소를  통해  우수한  대학원생을  유치에  기여하고  있음

■  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일부  기숙사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

■  우리대학은  전체  재학생  100%  기숙사  입실  정책을  실시하고  있어,  RC(Residential 

College)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내실화  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음

■  기준값인  11%의  약  9배인  매우  우수한  기숙사  수용률을  나타내고  있음

■  2017년도  대학원  기숙사  개소로  전체  재학생이  기숙사에  거주할  수  있는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학생들의  거주비  부담  완화에  기여하고  있음

■  우리대학의  기숙사수용률은  기준값은  물론,  비교값들을  월등하게  뛰어  넘는  수준

으로  전국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례임


background image

-  84  -

4.1.6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4.1.6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표Ⅳ-8  재학생  1인당  연간  자료  구입비>

<표Ⅳ-9  도서관  직원  현황>

<표Ⅳ-10  최근  2년간  도서관  소장자료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에게 적합한 자료와 학술

DB를 충분히 지원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산출식

학부 정원내외  대학원  재학생 수 명 

자료구입비 원 

기준값

54,000원

진단결과

392,084원(충족)

2019년도  결산  기준  /  단위:  원                       

구분

자료구입비

재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국내

국외

단행본

95,000,000

55,000,000

150,000,000

392,084

연속간행물

4,299,000

14,921,200

19,220,200

비도서자료

6,994,470

0

6,994,470

전자자료

전자저널  및

웹  DB

36,740,900

25,323,000

62,063,900

기타

35,004,420

0

35,004,420

합  계

178,038,790

95,244,200

273,282,990

구분

직원현황(명)

도서관  직원  1인당  재학생  수

정규직

(사서직  공무원)

비정규직

사서자격증  소지자

3

5

8

92.2명

사서자격증  미소지자

-

-

-

-

합  계

3

5

8

구분

소장자료(권)

단행본

정기간행물

비도서

전자책

전자학술지

2018년도

224,325

32,613

15,945

10,646

16

283,545

2019년도

234,595

36,802

16,142

15,275

13

302,827


background image

-  85  -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  도서관은  타대학에  비해  재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가  약  4배  정도로  매우 

우수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우리대학의  재학생  수는  적지만,  재학생  수  대비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많은 

학술정보를  자료를  제공·보유하고  있음

■  다만,  학교  규모  상  다양한  학술DB  제공이  어렵기  때문에  수요조사를  통해  학술

DB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함

■  우리대학  도서관  직원  당  학생  수  92.2명으로  도서관  직원확보가  타대학에  비해 

우수한  수준

■  이에  도서관의  전문학술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우리대학의  특수

전문분야(전통문화  또는  문화재)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사서직을  증원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임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재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

112,492원

122,612원

114,389원

392,084원

■  결과:  

재학생 수 명 

자료구입비 원 

⇒ 원  

■  기준값의  경우  최소한의  구입비를  정한  것이기  때문에  의미있는  기준값은  아님

■  대학기관평가인증  통계에서는  학생  1,000명  당  도서관  직원  수를  산출하지만 

우리대학은  전체  재학생  천명  미만  대학이기  때문에  도서관  직원  1인당  학생  수로 

산출하였음

■  도서관  직원들  모두  사서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음

■  비교값에  비해  본교의  수치가  높은  이유는  비교대학들에  비해  본교의  재학생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임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89  -

5. 대학구성원 소통

5.1.1 대학구성원 소통

5.1.1 대학구성원 소통

<표Ⅴ-1  대학본부-학생  소통현황>

5.1 대학구성원  소통

평가준거

대학은 민주적인 대학경영을 위해 대학구성원과 충분히 소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대학평의원회 운영현황

, 대학-학생 소통현황

진단결과

정기적인 소통체계 구축

(충족)

구분

대학-학생  간담회  실적

비고(조치결과)

2018년

※상반기  총장  공석으로  인해  간담회  실적없음

2019년

■  2019.  5.  14.  총장주재  학생  간담회  개최
  -대학평의원회  설치  필요성  논의

→설치완료

  -현장실무  교육  내실화  요청

→학사제도  개선

  -학술정보관  시설  이용시간  확대  요청

→조치완료(시범운영)

■  2019.  10.  17.  총장주재  학생  간담회  개최
  -대학평의원회  설치  필요성  논의

→설치완료

  -학사제도  개선  요청

→학칙개정  완료

  -시설개선  요청 

→일부수용  조치완료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관련규정에  근거하여  재정위원회,  등록금심의위원회  등을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운영하고  있음

■  정기적으로  총장주재  학생간담회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후속조치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  다만,  2019년도를  기준으로  많은  대학들이  대학평의원회를  설치하였으나  우리

대학은  설치를  위한  노력(평의원회설치  의견수렴,  TF등)이  다소  미흡하였음

■  우리대학은  대학본부-학생  간  소통을  위해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있음

■  총장주재로  간담회를  개최하여  학생민원  및  건의사항을  공유하고  후속조치를  시행 

하고  있음

■  정기적인  소통체계  이외에도  등록금심의위원회,  재정위원회  등  대학구성원이 

참여하여  투명한  절차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고  있음


background image

-  90  -

5.2.1 교육만족도

5.2.1 교육만족도 

<표Ⅴ-2  대학  교육만족도  조사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수요자중심의 대학경영을 위해 교육만족도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교육만족도 조사 현황

진단결과

교육만족도 조사 실시

(충족)

구분

교육만족도  조사내용

비고(반영사항)

2018년

○2018학년도  재학생  교육만족도  조사

-기간:  2018.  11.  15.  ~23.  (1주)

-방법:  오프라인  조사(학과협조)

-내용:  교육과정,  교육여건,  기숙형대학(RC)  등  46항목

-참여율:  78.7%(전체  재학생  523명  /  참여수  412명)

*RC교육프로그램  정책  도입  전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위해 

‘RC항목’추가하여 실시

2019년

○2019학년도  재학생  교육만족도  조사

-기간:  2019.  12.  9.  ~20.  (2주)

-방법:  오프라인  조사(학과협조)

-내용:  교육과정,  교육여건,  현장실무교육  등  50항목

-참여율:  65.6%(전체  재학생  570명  /  참여수  374명)

*현장실무  교육과정  개선에  대

한 학생들의 수요에 따라 현장

실무 지표 별도로 분리하여 세

분화 실시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2018년도부터  교육만족도  조사  체계를  구축하여  수요자중심의  대학

운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교육만족도  조사를  통해  개선분야(예:  대학행정,  교양만족  등)를  파악하여  실제 

정책수립  및  후속조치를  시행하여  개선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고  있음

■  또한  만족도  조사  시  학과협조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우수한  참여율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60%  이상)

■  향후  교육만족도  조사를  토대로  데이터  기반의  교육  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빅데이터  기반  만족도+역량진단+강의평가  등)

■  우리대학은  문화재청  고객만족도  외에  2018년도부터  재학생  의견수렴을  위한  정

기적인  자체  교육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  교육만족도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개선점과  강점을  파악하고  실제  대학정책에  반영

하여  활용하고  있음

■  교육만족도  조사는  학부  재학생  60%  이상이  참여하고  있음 


background image

-  91  -

<표Ⅴ-3  2018-2019년도  대학  교육만족도  조사  결과>

구분

교육만족도  지표별  결과(※5점  척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

세부  항목

2018학년도

2019학년도

교육과정

전공교육  난이도

58.45점

41.35점

전공교육만족도

58.4점

59.15점

전공-교양비율

41.8점

45.89점

실기실습교육

64.3점

67.51점

이론-실습비율

59점

59.58점

졸업인증제

56점

60.88점

교양수업  만족도

42.4점

41.84점

효과적인  수업운영

59.7점

59.86점

전공수업수업참여유도

64.6점

66.79점

사회수요반영  교육

61.7점

63.33점

성적평가만족도

56.2점

58.86점

교육여건

강의실  여건

55.1점

54.25점

실습실  여건

53.3점

51.66점

실습기가재

56.7점

56.05점

대학본부  행정

42.4점

42.8점

학과  행정

60.75점

65.2점

장학금

70.1점

67점

도서관  시설

67.9점

70.59점

기숙사  시설

46.9점

46.59점

편의시설

62.2점

61.05점

체육시설

66점

63.51점

취업진로지원

52.8점

51.8점

학생활동  지원

51.2점

52.53점

전공교수  면담

57.6점

57.8점

전공교수  학생진로관심

56.5점

62.1점

국제교류

51.6점

54.68점

국내교류

48.3점

51.59점

등록금  대비  만족도

61.6점

62.1점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95  -

6. 대학재정 및 경영

6.1.1 교육비 환원율

6.1.1 교육비 환원율

① 교육비 환원율

<표Ⅵ-1  2018년도  교육비  환원율>

<표Ⅵ-2  2019년도  교육비  환원율>

6.1 재정

평가준거

대학은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평가원이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교육비를 환원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결산 내역 등 학교 회계 현황

산출식

등록금 천원 

총 교육비 천원 

× 

기준값

100%

진단결과

1,588%(충족)

단위:  천원

총  교육비(A)

등록금  총액(B)

교육비  환원율(C)

+대학회계(27,098,011)

+발전기금(58,783)

+산단회계(3,272,982)

-입시비용(459,798)

2,213,134

1,354%

(C=A/B*100)

=  29,969,978

단위:  천원

총  교육비(A)

등록금  총액(B)

교육비  환원율(C)

+대학회계(34,930,045)

+발전기금(68,123)

+산단회계(4,042,215) 

-입시비용(433,041)

2,429,787

1588,9%

(C=A/B*100)

=  38,607,342


background image

-  96  -

<표Ⅵ-3  재학생  1인당  교육비  현황>

단위:  천원  /  출처:  대학알리미

구분

전체평균

사립평균

국공립평균

국립대법인, 

특별법  법인

전통대

재학생  1인당 

교육비

16,452

15,177

20,237

60,671

55,390

단위:  천원  /  출처:  고등교육기관인증평가

구분

전체평균

국공립대학

5천  미만

전통대

교육비환원율

(2019년)

218.6%

359.8%

230.2%

1,588%

■  우리대학의  교육비  환원율은  1588%로  등록금  대비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음

■  교육비의  경우  재학생  1인당  교육비와  교육비  환원율을  구분하여  비교

■  교육비  환원율의  경우  국가예산이  지원되는  국공립대가  대부분의  사립대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음

■  본교는  재학생  수가  적고  등록금이  종합국립대학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등록금  대비 

학생  1인당  투입되는  교육비  수준은  전국의  타대학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임

■  2018년도에  비해  2019년도  교육비  환원율  실적이  높은  것은  대학원종합연구관  거립 

예산반영으로  인한  것임

■  참고로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대학들은  일반대학에  비해  적은  인원대비  특수목적 

달성을  위해  많은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에  산출식에서  유리함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의  재학생  1인당  교육비  및  교육비  환원율은  사립대학  및  일반국공립대와 

비교하면  월등히  우수한  수치임

■  재학생  1인당  교육비의  경우  소수정예  대학임에도  국립대법인,  특별법법인(60,671천원  )

수준과  비교하여  비슷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문화재  특수목적대학임으로  국가적으로  문화재  정책  및  현장에서의  역할이 

중요함

■  교육비  환원율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함

■  또한  특수목적  국립대로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것도  필요

■  우리대학은  일반대학에  비해  우수한  교육인프라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특수목적의  위상에  걸맞은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  중요함

단위:  천원

구분

재학생  수

(학부+대학원)

총  교육비

재학생  1인당  교육비

2018년도

673

29,969,978

44,531

2019년도

697

38,607,342

55,390


background image

-  97  -

② 발전기금 현황

<표Ⅵ-4  대학  발전기금  현황>

2019년  12월  기준(단위:  천원)

구분

기부금

예금이자  소득

2018

58,155

12,755

70,910

2019

90,333

24,167

114,500

합  계

148,488

36,922

185,410

진단 

및 

개선사항

■  발전기금  실적의  경우  학교  설립시기,  졸업생의  사회진출분야,  학교규모  등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설립  20주년인  우리대학의  경우  학교규모,  설립시기에  비해  양

호한  발전기금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발전기금의  경우  해  마다  기부금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고정적  기부금  유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발전기금  모금  활성화를  위한  방안(예-동문회,  교직원  행사  등)  마련  필요

■  또한  발전기금  인식개선을  통한  발전기금  기부문화  장려  정책도  중요함

■  지역사회와의  교류협력을  통해  발전기금을  확충하는  것도  필요함

■  우리대학은  발전기금  직원,  교원,  학생,  학부모,  유관기관  및  업체  등을  통한  다양한 

모금활동을  실시하고  있음

■  발전기금  실적은  해마다  편차가  나타나고  있음

■  2019년도  기준  발전기금  총액은  약  1,718,348천원을  보유하고  있음


background image

-  98  -

6.1.2 장학제도

6.1.2 장학제도

<표Ⅵ-5  교내  장학제도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은 위한 여러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내외부 장학제도 현황

진단결과

다양한 장학제도 운영

(충족)

교내  장학금  종류

내용

입학성적  우수장학금

-  입학성적  전체  수석·차석·학과수석

-  직전학기  성적  3.5(B+)이상

우수인재  양성  장학금

(등록금  면제)

공통자격

-  신입생:  입학성적  순위  50%  이내

-  재학생:  직전  학기  15학점  이상  이수,  8학기  등록  이내

등급

전액

-  상위  10%  이내

일부

-  상위  30%이내,  상위  50%  이내

우수인재학업  보조비

-  학과  및  학년별  성적  우수자(1~3등)

공로장학금

-  총학생회장,  총학생회  부회장,  신문국장,  방송국장,  학회장

-  동아리연합회장,  졸업준비위원장,  홍보대사회장,  총학생회  국장급  이상 

간부

-  직전학기  평점  2.5  이상 

공로  특별장학금

-  당해연도  총학생회장  및  부총학생회장

어학능력우수자  포상금

-  영어,  한문,  일어,  중국어  등  어학시험에서  대학이  정한  일정  점

수  이상을  충족한  자

자기주도학습  장학금

-  재학중  교내외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일정  마일리지  이상        적

립한  자

공모전수상자  포상금

- 공모전  수상자

국외어학연수지원금

-  1학기  이상  수료자
-  직전학기  평점  3.0  이상

-  연수  후  일정  기준  이상  성적  상승자

-  일정  수준의  외국어  능력을  갖춘  자

교환학생체재비지원금

(자대학  →  타대학)

-  2학기  이상  36학점  이상  수학한  자

-  이수  학기  평점  3.0  이상

-  외국대학에  교환학생으로  선발된  자
-  파견  국가  언어로  수업  수강이  가능한  자(일정  점수  기준)

교환학생  수학보조금
(타대학  →  자대학)

-  외국인  초청  교환학생

버디장학금

-  외국인  교환학생의  수학  및  적응에  도움을  준  자

문화재수리기술자  장학금

-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취득자

- 직전학기  평점  2.0  이상

문화재수리기술·기능자  특별장학금

-  문화재수리기술자·기능자  취득자
- 직전학기  성적  평점  평균  2.0  이상

가계  곤란자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자  중  직전학기  평점  2.0  이상

장애학생  장학금

-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장학금

가족  장학금

-  부부  및  형제·자매  2인  이상  동시  수학자

특별일시지원금

-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제적  곤란자

무형문화재이수자  장학금

-  국가  또는  시·도  무형문화재  교육이수자
- 직전학기  성적  평점  평균  2.0  이상

보훈장학금

-  국가유공자  본인  및  자녀,  직전학기  평점  2.0  이상

기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발전기금  장학금


background image

-  99  -

<표Ⅵ-6  외부  장학제도  현황>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  대학은  다양한  장학제도를  운영하여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독려

하고  있음

■  공모전  수상,  문화재  수리기능·기술자  자격증  장학금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전공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유관기관과  교류를  통해  다양한  외부장학금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지역사회와의  교류·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장학제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  우리대학은  다양한  내·외부  다양한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공모전장학금,  문화재수리기능·기술자  장학금으로  학생들이  활발한  전공활동을   

하도록  독려하고  있음

■  외부업체  및  기관을  통해  다양한  장학금을  유치하였음   

*  국가장학금  제외

외부  장학금  종류

내용

(재)부여군굿뜨래장학회

- 학업성적  우수자

(사)국립민속박물관회

-  민속분야에  열의가  있는  학생

㈜한켐

-  문화재보존과학  전공자(대학원  포함)  중  성적우수  및  선행자

(재)예올

-  전통미술공예(대학원  포함)를  전공자  중  성적  우수자

한국문화재재단

-  학업성적  및  교내외활동우수자

KEB하나은행  부여지점

-  학업성적  및  교내외활동우수자

코스맥스(주)

- 보존복원분야  대학원생


background image

-  100  -

6.1.3 장학금 비율

6.1.3 장학금 비율

<표Ⅴ-7  장학금  비율>

평가준거

대학은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하도록 하는 한편 학업을 

독려하기 위하여 평가원이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장학금 지급 현황

산출식

등록금 천원 

장학금 천원 

× 

기준값

10%

진단결과

44.7%(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직전  대학자체평가(2018)와  유사한  결과값을  보이고  있음

■  다양한  장학제도를  통해  장학금  수혜율이  우수한  실적을  보이고  있음

■  종합국립대학에  비해  저렴한  등록금(70%  수준),  국가장학금,  장학제도를  통해  학생

들의  학습비  부담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음

■  국가장학금,  지자체  장학금을  감안하면  학생들은  저렴한  등록금  대비  충분한  장학

지원을  받고  있음

■  장학금  지급율이  너무  높을  경우  대학회계  건전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음

■  국내대학의  장학금  제도  추세가  성적우수를  줄이고  가계곤란,  학생역량강화  지원

(마일리지제,  비교과  장려  지원  등)을  위한  방향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구분

소속대학 

전체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전통대

장학금  지급률

22.4%

21.6%

25.9%

44.7%

■  장학금  지급률은  등록금대비  장학금  지급금액임

■  대학발전기금에서  지급한  금액도  포함

■  외부  장학금  중  국가장학금(국가장학금Ⅰ유형,  국가근로장학금의  80%)  및  지자체

장학금(부여군)은  제외              ※고등교육기관인증평가  산출  기준  참조

■  결과:  

천원 

 천원 

×  ⇒   

■  1인당  금액은  약  1,409천원

■  2년간(2018-2019)  학부의  경우  장학금  수혜율이  70~80%  수준으로  나타남

■  2년간(2018-2019)  대학원의  경우  장학금  수혜율이  50%  수준으로  나타남

구분

지급액

(단위:  천원)

재학생  수(학부)

등록금  총액

(단위:  천원)

장학금  지급률

2018학년도

835,855

530

1,687,509

49.5%

2019학년도

803,378

570

1,794,026

44.7%


background image

-  101  -

6.2.1 감사제도

6.2.1 감사제도

<표Ⅴ-8  감사제도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예산편성 및 집행

, 대학경영에 대한 감사제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

근거자료

감사제도 현황

진단결과

감사제도 운영

(충족)

6.2 감사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문화재청  소속대학으로,  자체감사,  국정감사,  회계법인을  통한  산학

협력단  감사  등의  여러  감사체계를  가지고  있음

■  내부감사  제도는  학교  자체적으로  보안감사,  등록금심의위원회,  재정위원회를  통한 

학교운영  및  회계에  관한  사항을  자체적으로  감사하고  있음

■  특히  재정위원회를  통해,  학교운영  및  회계에  관한  사항들을  점검하고  지적사항들을 

반영하여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문화재청  소속기관으로서  공공기관  감사제도  및  내부감사  제도를  통해 

학교운영  및  예산·회계에  대한  감사제도를  실시하고  있음

■  자체적으로도  재정,  보안,  학교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들을  점검하는  체계를  마련

하고  있음

■  재정위원회,  등록금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대학재정을  감사하고  있음

구분

주기

주요내용

비고

문화재청  자체감사

2년

학교  운영사항  감사

문화재청  복무감사

수시

복무  및  공직기강  감사

취약시기,  제보에  따른  감사

재정위원회  감사

1년

대학회계  운영  감사

대학구성원  및  외부인사  포함

산학협력단  감사

1년

연구비  관리  현황

회계법인을  통한  감사

국정감사

1년

학교운영  전반


background image

-  102  -

6.2.2 감사결과 활용

6.2.2 감사결과 활용

① 감사결과 반영

<표Ⅴ-9  감사제도  활용  현황>

평가준거

대학은 감사결과를 대학운영에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 그 결과를 

대내

·외에 공개하고 있는가?

근거자료

감사결과 활용 내역

진단결과

감사결과 활용

(충족)

진단 

및 

개선사항

■  우리대학은  정기적인  내·외부  감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적사항들에  대해서는 

대학운영에  반영하고자  후속조치를  마련하여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감사결과  지적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부서에  통보하고  내부적으로  현안을  공유

■  감사결과의  대외적인  공개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개청구가 

있을  경우  심의·의결을  통해  공개하도록  하고  있음

■  우리대학은  각종  감사제도  결과를  내부적으로  공유하고  개선하고자  후속조치를 

마련하고  있음

■  감사결과를  통해  미흡분야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매년  지적되는 

전임교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감사  년도

감사대상

감사기관

감사유형

개선사항  및  활용현황

2018

산학협력단

회계법인

내부감사

-이상없음

한국전통문화대

국회

국정감사

-한복의  체계적  발전을  위해  한국전통문화대

학교에  한복학과  설치하는  것을  검토할  것

-전통한복을  지키면서  개량  퓨전  한복을  발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

대학회계  감사

회계법인

내부감사

-이상없음

2019

산학협력단

회계법인

내부감사

-이상없음

한국전통문화대

국회

국정감사

-이상없음

대학회계  감사

회계법인

내부감사

-이상없음

문화재청

법무

담당관실

내부감사

-비공개


background image

자체평가  결과  요약  및  논의

1. 요약

1) 전체 평가결과 요약
2) 주요 정량지표 타대학 비교
3) 선행 자체평가와 비교
4) 역대 자체평가와 비교

2. 논의 및 개선사항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105  -

Ⅰ. 전체 평가결과 요약

1) 자체평가 지표별 달성여부

❍  정량지표 기준값은 기본적으로 고등교육기관인증평가 기준값 적용

영 역

평가부문

특성

평가지표

기준값

평가결과



1.

대학 사명 

및 

발전계획

1.1

대학 사명 및 

교육목표

대학 설립목적 및 교육목표

정성지표

충족

1.2

발전계획

대학발전계획 수립

정성지표

충족

2.

교육연구

2.1

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정성지표

충족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정성지표

충족

교수

·학습지원 개선

정성지표

약간미흡

(인력 부족)

●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정성지표

충족

비교과 과정 운영 지원

(RC, 국제, 취창업, 상품개발실 등)

정성지표

충족

현장실무형 교육과정

정성지표

충족

2.2

교원

● ★전임교원 확보율

61%

77%(충족)

교원인사제도

정성지표

충족

● 강사 보수 수준

45,000원

71,876원(충족)

2.3

연구

● 교원 학술연구 (논문실적 포함) 국내, 국제논문 및 연구비

국내논문

(0.35건)

1.95건(충족)

국제논문

(0.05건)

0.24건(충족)

저역서

(0.07건)

0.35건(충족)

연구비

(10,000천원)

112,494천원(충족)


background image

-  106  -

3.

학생 및 

교육성과

3.1

입시

입시제도 현황

정성지표

충족

● ★신입생 충원율

95%

100%(충족)

● ★재학생 충원율

80%

100.5%(충족)

3.2

학생지원

학생활동 지원

정성지표

충족

학생상담체제 구축 및 지원

정성지표

충족

3.3

국제교류

● 국제교류 실적(센터 운영, 전문인력 확보 등)

정성지표

약간미흡

(실적 미흡)

3.4

취창업

● 졸업생 취업률

55%

57.1%(충족)

취업지원

정성지표

충족

창업지원

정성지표

충족

● 국가 자격증 취득

45명

59명(충족)

4.

교육시설

4.1

교육연구기반

● ★교사확보율

100%

539%(충족)

● 강의실 확보율

1.2m2

3.3m2(충족)

● 실험·실습실 확보율

2.5m2

9.3m2(충족)

●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127천원

1,539천원(충족)

● 기숙사 수용률

11%

104.3%(충족)

●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및 학술DB 현황

54,000원

392,084원(충족)

5.

대학 구성원 

소통

5.1

대학구성원 

소통

대학구성원 소통

정성지표

충족

5.2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 조사

정성지표

충족

6.

대학행정 및 

재정

6.1

재정

● ★교육비 환원율

100%

1,588%(충족)

● ★장학금 비율

10%

44.7%(충족)

장학제도

정성지표

충족

6.2

감사

감사제도

정성지표

충족

감사제도 활용

정성지표

충족

평가영역

: 6

평가부분

: 14

17 17

약간미흡 

2개 지표(교수·학습, 국제교류)


background image

-  107  -

2) 주요 정량지표 타대학 비교
<타대학 비교가능 정량지표 현황>

고등교육기관인증평가 및 대학알리미 데이터 기반

소속대학전체

, 국공립대학,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 등 비교

주요  지표

전체  평균

국공립

대학  평균

재학생  수 

5천미만 

대학  평균

전통대

2.  교육·연구

전임교원  확보율

74.3%

76.9%

75.9%

77%

시간강사  강사료

59,511원

85,368원

54,247원

71,876원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

0.51건

0.59건

0.48건

1.95건

전임교원  1인당 

국외논문  실적

0.23건

0.40건

0.08건

0.24건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

0.09건

0.07건

0.12건

0.35건

전임교원  1인당 

교외연구비  실적

43,686천원

79,541천원

21,552천원

112,494천원

3.  학생  및 

교육성과

신입생  충원율

96.1%

99.7%

90%

100%

재학생  충원율

95.7%

103.3%

87.3%

100.5%

졸업생  취업률

61.9%

62.3%

57.4%

57.1%

4.  교육시설

교사확보율

158.5%

163%

188.8%

539%

기숙사수용률

33.4%

28.7%

53.7%

104.3%

재학생  1인당  연간 

자료구입비

112,492원

122,612원

114,389원

392,084원

6.  대학재정  및 

경영

교육비  환원율

218.6%

359.8%

230.2%

1588%

장학금  비율

22.4%

21.6%

25.9%

44.7%

6.  대학재정 

및  경영

재학생  1인당  교육비

전체

사립

국공립

국립대법인
특별법법인

전통대

16,452

15,177

20,237

60,671

55,390

*서울대, 인천대(국립대 법인) / 한국과학기술원, 대구경북·울산·광주과학기술원(특별법 법인) 


background image

-  108  -

3) 선행 자체평가와 비교
<선행 자체평가와 현재 자체평가 결과 비교>

❍  직전

(2018년도) 자체평가 지표와 중복되는 정량지표 비교

❍  해당년도 수치가 아닌 해당년도 자체평가 결과값

        *  ▲=증가,  ▼=감소,  ‘-’=변동폭  미미

주요  지표

2018년도

2020년도

증감

2.  교육·연구

수업규모(15명  이하  강좌  비율)

68.8%

68.1%

-

전임교원  확보율

78.3%

77%

-

시간강사  강사료

70,800원

71,876

-

국내논문  실적

1.57건

1.95건

국외논문  실적

0.33건

0.24건

저역서  실적

0.36건

0.35건

-

교외  연구비  수주  실적

64,254천원

112,494천원

3.  학생  및 

교육성과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96.4%

100%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94.8%

100.5%

졸업생  취업률

58%

53.5%

문화재수리기능·기술자  합격자

44명

59명

4.  교육시설

교사확보율(*2018년도에는  산출식  오류)

240%

539%

강의실  확보율

3.4m2

3.3m2

-

실험·실습실  확보율

10.2m2

9.3m2

-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  정도

(재학생  1인당  기자재  구입비)

1,247천원

1,539천원

기숙사  수용률

108.6%

104.3%

-

재학생  1인당  도서구입비

507,104원

392,084원

6.  대학재정 

및  경영

교육비  환원율

1,503%

1,588%

장학금  비율

50.7%

44.7%


background image

-  109  -

4) 역대 자체평가와 비교(2010~)
<역대 자체평가와 현재 자체평가 결과 비교>

❍ 

2010년도부터 2년 마다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 중 주요 정량지표 비교

❍  해당년도 수치가 아닌 해당년도 자체평가 결과값

     

비교  지표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8년

2020년

신입생  충원율

97.9%

99.3%

97.9%

94.3%

96.4%

100%

재학생  충원율

94.3%

-

95.4%

98.8%

94.8%

100.5%

전임교원  확보율

82.1%

85.2%

68.8%

80.5%

78.3%

77%

졸업생  취업률

(한국교육개발원  공식  취업률)

72.6%

61.5%

52.6%

50.5%

55%

57.1%

전임교원  1인당 

국내논문  실적

1.1건

1.2건

0.98건

1.65건

1.57건

1.95건

전임교원  1인당 

국제논문  실적

0.04건

-

-

0.193건

0.333건

0.24건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수혜실적

-

132,357천원

-

60,190천원

64,254천원

112,494천원

교사  확보율

263%

263%

164%

189.7%

240%

539%

기숙사  수용률

100%

102.5%

95.5%

98.5%

108.6%

104.3%

재학생  1인당  교육비

19,819천원

24,185천원

-

32,587천원

49,227천원

55,390천원

교육비  환원율

-

678%

696%

1,239%

1,503%

1,588%


background image

-  110  -

Ⅱ. 논의 및 개선사항

    우리대학은  문화재  및  전통문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특별법으로  설립된  대

학으로  대학  사명  및  특성화  분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020년도  대학자체평

가에서는  모든  정량지표들을  충족하였고  일부  정성지표가  약간미흡으로  나타났다.   

우리대학은  특수목적대로서  주기적인  학교  발전계획  및  특성화계획  수립을  위해  자

발적으로  노력하였다.  향후  전통문화  및  문화재현장의  미래수요를  예측·분석하여  의

미있는  발전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4차산업혁명,  문화재  정책변화,  대학  학

령인구  감소,  대학의  책임감과  역할  증대  등  외부요인을  반영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

다. 

    우리대학은  이론과  실기를  갖춘  문화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학과별  교육목표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관련규정에  의거하여  이론과  실습과목을  조화시켜  교육과

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다만  일부학과의  경우  학과  특성상(이론중심)  실기·실습 

비율이  과도한  부분에  있어서는  향후  의견수렴을  통해  조정해  나가야할  것이다.  실

기실습  수업의  경우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여  실기실습  역량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양교육의  경우  학교규모,  특성에  따른  한계점이  드

러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양교육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교수·학습분야는  직전  자체

평가(2018년도)에서  학습법  위주의  실적이었으나  이번  자체평가에서는  혁신수업  지

원  등  교수법에서도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다.  다만  직전  자체평가(2018년)에서  지

적한  조직  및  인력  부족에  대한  부분의  개선이  미흡하였다.  모든  대학이  교수학습전

담조직을  갖추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향후  교수학습  지원분야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수업분야에서도  특수목적  소수정예  특성을  잘  반영하여  소규모  수업

이  잘  이뤄지고  있다.  또한  학생  핵심역량  강화를  위해  2018년도부터  비교과  과정

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현장실무  역량지원  부분에서도  현장전문가를  충분히  활

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전임교원  확보율의  경우  일반대학의  평균과  비슷한  실정이다.  소수정예  특수목적

대인  우리대학의  특성을  감안했을  때에는  매우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향후에 

학생들의  현장능력  강화를  위해  무형문화재  전문가,  연구소  출신,  현장업체  전문가 

등  현장전문가를  전임교원으로  영입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우리대학은  우리대학만의  독자적인  입시제도를  통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신

입생충원율의  경우  입시전담  조직  및  지원인원  충원  이후  100%를  유지하고  있었

다.  전통문화  전문인력을  위한  소수정예를  지향하는  우리대학의  충원율은  중요한  지

표이다.  충원율의  경우  대학의  경쟁력,  특성화  노력과  관련이  있다.  신입생  충원율

과  재학생  충원율  두  실적의  경우  직전  대학자체평가(2018년도)와  비교하여  실적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부분을  확인하였다.  신입생  충원율과  재학생  충원율  관리를  위


background image

-  111  -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외  교류  실적의  경우  2019년

도  국제문화재교육센터  개소  이후  실적을  내고  있으며  과도기  이후  국제교류  내실

화가  전망된다.  국내교류분야에서도  2018-2019년도에  연구소,  관련  업체들과는많

은  교류와  실질적  교류성과를  창출하였다.  그러나  대학들과의  교류는  부족한  실정이

다.  외부교류를  통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들을  충족할  수  있는(예:교양,  문화체험 

등)  공동  상생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대학의  교육시설  지원(교사확보율,  실험실습  기자재  구비정도,  실험실습실  확

보  정도,  기숙사  수용률,  학술  자료구입비  등)은  타대학에  비해  월등한  지원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대학의  재정은  소규모대학임에도  우수한  재정투자를  하고 

있었으며  교육비  환원율의  경우  낮은  등록금과  교육관련  비용  재정  증가로  인해  일반

사립대학,  국·공립대학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번  자체평가를  통해  전반적인  우리대학의  재정  및  시설분야는  특수목적  국립대답

게  상당히  우수한  수준임을  다시한번  확인하였다.  장기적으로는  시설투자도  중요하지만 

우수한  교육여건을  활용한  교육내실화,  교육성과,  혁신교육  등의  성과를  창출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특별법  설립  대학으로,  대

학평가를  받지않기  때문에  주요지표(충원율,  교육과정  관련  지표  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하다.  체계적인  지표관리를  위한  대학차원의  자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예: 

모의  대학평가,  학과  역량강화  지원사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