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죽을 이용한
전통 아교 제조 기술
원료
제품
재현
품질
평가
현장
적용
생산
효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NUCH
한국전통문화대학교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1. 아교란?
아교(阿膠) : 동물의 가죽이나 힘줄, 뼈 등을 고아서 만든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한 접착물질
용도 : 목재, 종이 등의 접착제, 전통 회화 및 단청의 전색제
원료 : 소, 사슴, 토끼, 물고기 등
2. 국내 아교 제법의 변천
3. 전통 제법 재현 및 기술 요소 분석
구분
제조 공정
비 고
원료
전처리
세척
추출
농축
정제
겔화
건조
~ 1834년
소의 생가죽
수작업
탈모, 탈지, 이물질제거
수세
끓임
-
-
자연겔화
자연건조
전통 제법
1910 ~1940년
가죽공장부산물
석회 - 산처리
수세
60-90℃
90℃
지방
제거
자연겔화
자연건조
국외 유입
제법
NUCH
한국전통문화대학교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이물질 제거
원료 수급
온도, 시간, 횟수 등
조건 최적화필요
원료 품질 기준 필요
제거 대상 물질 규정 및 이물질 제거 적정
성 판단 기준 필요
4. 개발된 전통 아교 생산 공정
아교 수입
대규모 피혁산업 시작
(서울 영등포)
서울 동대문구
아교공장 재고품 도난
화학약품 사용
아교 제법
1883년
1939년
한국전쟁 이후
1911년
1834년
국내 아교 및 젤라틴 산업화 /
전통 제법 단절
추출 및 농축
응고 및 성형
건조
적정응고환경 및성형
형태의다양화필요
계절에구애받지않
는건조환경필요
원료
세척
적정세척관리
추출
정제
원료 상태 관리
농축
응고, 성형
적정추출관리
성별, 연령
제한
3단계세척
(물리적 제거/
수세/가열 수세)
온도, 시간
최적화
적정농축관리
온도, 시간
최적화
적정환경
유지장치
건조
저온응고장치 /
다양한 형태
성형
소가죽을 이용한
전통 아교 제조 기술
기술개요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전통 제법을 토대로 한 친환경 아교
제조 기술
소가죽을 원료로 사용하여 전통 회화 및 단청 분야에 적합한
제품 생산
전처리 및 추출단계 최적화로 전통 제법 대비 생산 효율 향상
다음 과 같은 과정을 통해 아교 제조
생산품 품질
구분
수분함량(%)
점도(cP)
겔화온도(℃)*
pH
’21년 1차 생산
14 ±2
18 ±2
15 ±1
5.9 ±0.5
‘21년 4차 생산
14 ±2
15 ±2
9 ±1
6.1 ±0.5
‘21년 8차 생산
14 ±2
16 ±2
15 ±1
6.1 ±0.5
‘21년 11차 생산
15 ±2
17 ±2
15 ±1
6.3 ±0.5
’21년 14차 생산
14 ±2
16 ±2
14 ±1
6.2 ±0.5
소가죽을 이용한
전통 아교 제조 기술
‘21년 14회 생산 1차 추출 제품의 품질 평가 결과
* 6% 아교수 기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용분야
기술완성도
- 파일럿 규모 성능평가
- 단청 및 회화용 안료
원료 전처리
가열 추출
및 정제
가압농축
겔화 및 건조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기술 차별성
<추출 조건 최적화를 통한 1차 추출 수율 향상>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기술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지 않음
3단계의 세척공정으로 불순물 관리 용이
전통 제법 대비 생산 효율이 높음
※ 본 기술의 한계
- 노동 집약형 공정 포함 : 제모 및 지방 제거 공정
시장현황
전통 소재 단청 시장은 현장은 현재 규모는 작으나 문화재청의
적극적 행정으로 성장 추세에 있음
단청 시장에서 전통 아교 사용시 시장 규모는 연간 약 5천 만원
정도 예상
소가죽을 이용한
전통 아교 제조 기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도입
필요 인프라
지속적인 양질의 원료 공급처 확보
낮은 시장성과 생산단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관련 정책 및 제도 활용
※ 관련 정책 사업 : 전통재료생산기반지원사업(문화재청)
기술도입
기대효과
친환경 전통재료 제조기술 확보 및 기업 이미지 제고
전통 회화 및 단청 분야 시장 선점 기대
문의처
구분
성명(직급)
전화
이메일
기술이전 상담
이한형 연구교수
041-830-4763
Hanhyoung91
@naver.com
발명자
정용재 책임연구원
041-830-7365
Iamchung
@nuch.ac.kr
기술지원내용
원료관리, 생산공정, 공정관리, 품질관리 기술 지원
다양한 상품 제형 개발 지원
생산품 품질 평가 기술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