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023년 특수외국어능력평가 실시 안내
시험 개요
◦ (시험명) 2023년 특수외국어능력평가
◦ (일 시) ‘23.5.13.(토) 15:00~16:30(90분간)
◦ (장 소)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 (응시 언어) 15개 특수외국어 중 1개 언어 선택하여 응시 가능
< 응시 가능 15개 특수외국어 >
마인어(말레이시아어․인도네시아어), 몽골어, 미얀마어, 베트남어, 브라질어․포르투갈어,
스와힐리어, 아랍어, 우즈베크어, 이란어, 크메르어, 튀르키예(터키)어,
태국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힌디어
◦ (원서 접수기간) ’23.4.12.(수) 09:30 ~ 4.18.(화) 17:00
※ 응시 원서 접수홈페이지: ht p:/ flexcfl.hufs.ac.kr
◦ (응시료) 55,000원
◦ (주 관) 한국외국어대학교 FLEX 센터
시험 세부 사항
◦ (시험 구성) 듣기 500점, 읽기 500점, 총 1,000점 만점
평가내용
배정시간
평가방식
문항
배점
만점
비고
듣기
30분
방송청취
50문항
500
1000점
4지선다
(객관식)
읽기
60분
지문해석
50문항
500
◦ (평가 결과 발표 및 문의) 시험결과*는 접수 홈페이지에서 개별
확인 및 성적인증서 발급 가능
* (성적발표일) ‘23.6.2.(금), 15:00, 홈페이지(ht p://flexcfl.hufs.ac.kr)
* (문 의) 한국외국어대학교 FLEX 센터 ☎ 02-2173-2532, 2537
- 1 -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사업 소개자료
추진 목적
◦ 국제 교류 협력 다변화에 따라 특수외국어를 배우려는 국민들에 대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교육기회 제공 및 특수외국어 구사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추진 근거
◦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16.8.)
✐ 특수외국어(Critical Foreign Language)란?
국가 발전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필요한 외국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언어(53개)
✐ <제2차 5개년(2022~2026) 사업에서 중점 지원하는 20개 특수외국어>
네덜란드어, 라오스어, 마인어(말레이시아어․인도네시아어), 몽골어, 미얀마어, 베트남어,
브라질어․포르투갈어, 스와힐리어, 스웨덴어, 아랍어, 우즈베크어, 이란어, 이탈리아어,
카자흐어, 크메르어, 터키어, 태국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힌디어
추진 경과
◦ 제1차 5개년(’17~’21)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 기본계획 수립(’17.3.24.)
◦ 특수외국어 전문교육기관 선정(단국대‧청운대, 부산외대, 한국외대)(’18.2.14.)
◦ 제2차 5개년(’22~’26)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 기본계획 수립(’21.9.8)
중점 추진 과제
비전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을 통한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
목표
전문인재 양성
교육, 산업분야에서 필요한 언어별 전문가 양성 지원
언어지원 확대
대국민 통ᆞ번역서비스 및 맞춤형 교육기회 제공
추진 전략
사회적 요구에 따른
맞춤형 전문인재 양성
모두를 아우르는
대국민 서비스 확대
교육기반 고도화 및
운영 내실화
- 2 -
① 사회적 요구에 따른 맞춤형 전문인재 양성
◦ (성장단계별 지원) 초ㆍ중등 교육과정 연계* 수업 개설, 고등교육
강좌 개설 및 연수 확대
, 온·오프라인 평생교육 학습 지원**
* (초)방과후학교, (중)자유학기, (고)고교학점제 / ** K-MOOC 단계별 심화 강좌 등
◦ (분야별 전문가 양성) 한류 콘텐츠 번역인재ㆍ산학 협력 현지 전문가 양성,
주한 대사관 연계 프로그램 등 분야별 전문성 제고 지원 및 전문 강사풀 구축
◦ (학문후속세대 양성) 중점지원언어(20개) 지원 확대, 대학・대학원 전공
교육 과목 개설 지원, 장학금 지급 등 학문후속세대 양성 노력 지속
② 모두를 아우르는 대국민 서비스 확대
◦ (협업 서비스 제공) 타 부처 연계 서비스* 확대, 시도교육청과의
협업을 통한 초
·중등 프로그램(방학 캠프, 체험활동 등) 제공 등 추진
* 체류 자격 가이드북 번역 지원(법무부), 다문화가족지원 강사 양성 교육(여가부) 등
◦ (교류·협력 확대) 특수외국어 학술 교류 기회 제공(포럼, 세미나 등)
등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 (학습ㆍ연구 플랫폼)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사업 누리집*을 통한 대국민 대상
‘특수외국어 배워보기’ 강좌 제공 및 자료 공유 등 학습지원체계 플랫폼 운영
* (인터넷 주소) http://cfl.niied.go.kr, 연간 약 20,000여 명 방문(’18.∼)
③ 교육 기반 고도화 및 운영 내실화
◦ (교육과정·평가 고도화) 언어별 표준교육과정 개발, 현지 특수외국어
능력 평가* 국내 유치 확대 및 국내 어학능력 평가** 고도화 등 추진
* ’22년 기준 4개 언어(튀르키예(터키)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시험 국내 시행 중
** 3개 전문교육기관이 공동 개발한 ‘특수외국어능력평가’ 운영 중(’20.∼)
◦ (시스템 개선) 특수외국어 발전협의체 운영, 전문교육기관 기능 고도화,
평가 내실화 등을 통한 사업 효과성 제고 및 법령 개정 등 검토
□ 향후 추진 일정
◦ 2023년 대학생 및 일반인 대상 특수외국어능력평가 시행(‘23.5.13.)
◦ 2023년 상·하반기 특수외국어 배워보기 프로그램 운영(’23.4~11월)
- 3 -
참고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사업 주요 사례(‘22년 기준)
□
(시․도교육청) 외국어, 세계시민 교육 및 다문화 교육 연계 지원
외국어 교육
• 초·중·고 학생 및 학부모 대상 특수외국어 배워보기
- (대상) 서울, 경기 등 15개 시·도 희망 초·중·고 학생, 학부모
- (내용) 20개 특수외국어 온라인 실시간 기초실용 강좌 운영
다문화 교육
• (한국외대) 자유학년제 연계 특수외국어 언어 및 문화 특강
- 헝가리어, 스웨덴어 등 17개어 강좌(한양중, 총 202명 참여)
• (단국대·청운대) 천안서초등학교 학생 대상 특수외국어 및 문화
교육(몽골어, 아랍어 등 4개어 강좌, 총 14명 참여)
세계시민 교육
• (부산외대) 경기수주고 특수외국어 고교캠프 운영(다문화·세계시민
교육을 연계하여 아랍어, 힌두어 등 6개 언어 운영)
소외지역 지원
• (부산외대) 전남국제교육원 연계 원격 화상 이중언어 교육
- 베트남, 크메르어 등 2개어 강좌(삼서초 등 5개 학교, 총 49명 참여)
<특수외국어배워보기-ZOOM>
<한양중 자유학년제 - 몽골어 특강>
<경기 수주고 특수외국어 고교캠프>
□
(지자체) 다문화가정 지원 및 평생교육 연계
외국어교육
• (부산외대) 부산 아세안문화원 ‘특수외국어 실용강좌’
- 일반 시민 대상으로 5개 아세안 특수외국어 강좌(총 345명 참여)
다문화가정 지원
• (부산외대) 경남다문화가족지원센터 온라인 교육 지원(총 19명 참여)
□
(타 기관) 타 대학 및 관공서 등에 대한 특수외국어교육 지원
타 대학
• (단국대·청운대) 전국 간호학 전공생 대상 하계 온라인 강좌 운영
(충북대 등 11개 대학, 총 23명 참여)
기타
• (단국대·청운대, 한국외대) 경찰청 특수외국어 온라인 강좌 운영
(네덜란드어, 카자흐어 등 16개 언어, 총 901명 참여)
<아세안문화원 강좌>
<간호학 전공생 외국어 강좌>
- 4 -
■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특수외국어의 범위(제2조 관련)
지역
언어
1. 중동·아프리카
가. 아랍어
나. 터키어
다. 아제르바이잔어
라. 이란어
마. 파슈토어
바. 다리어
사. 히브리어
아. 하우사어
자. 스와힐리어
차. 줄루어
카. 르완다어
타. 암하라어
2. 유라시아
가. 카자흐어
나. 우즈베크어
다. 키르기스어
라. 우크라이나어
마. 투르크멘어
바. 타지키스탄어
사. 몽골어
3. 인도·아세안
가. 힌디어
나. 우르두어
다. 산스크리트어
라. 네팔어
마. 벵골어
바. 신할리즈어
사. 베트남어
아. 말레이시아어
자. 인도네시아어
차. 태국어
- 5 -
카. 미얀마어
타. 크메르어
파. 라오스어
하. 타갈로그어
4. 유럽
가. 폴란드어
나. 루마니아어
다. 헝가리어
라. 체코어
마. 슬로바키아어
바. 세르비아어
사. 크로아티아어
아. 라트비아어
자. 벨라루스어
차. 조지아어
카. 그리스어
타. 불가리아어
파. 이탈리아어
하. 네덜란드어
거. 노르웨이어
너. 덴마크어
더. 스웨덴어
러. 핀란드어
5. 중남미
가. 브라질어
나. 포르투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