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퀴즈 정답, 당첨자.pdf

닫기

background image

안전의  날  퀴즈  이벤트  정답

1

다음  중  화학물질을  바르게  보관하는  방법은?

1)  가,  나,  다  순으로  구분

2)  용기  크기별로  구분

3)  물질의  성상별로  구분  (80.9%)

4)  알파벳  순으로  구분

5)  용기  색깔로  구분

2

안전점검의  종류  중  연구활동에  사용되는  기계,  기구,  전기,  약품  등의  보관상태  및  보호장

비의  관리실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점검으로써  연구활동  시작  전에  매일  1회  실시하는 

점검은  일상점검이다.

O  (98.5%)

3

고압가스  종류별  용기의  색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소  -  녹색

2)  이산화탄소  -  파란색

3)  수소  -  주황색

4)  아세틸렌  –  갈색  (61.8%)

5)  액화석유가스  -  회색

해설

아세틸렌  -  황색

4

기계  방호장치  사용  중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호장치는  임의로  제거하거나  위치를  변경  혹은  개조해서는  안된다.

2)  방호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이유를  잘  이해하고  그  성능을  충분히  이해한  상태로  사용한다.

3)  수리  등의  이유로  안전장치를  제거할  경우  수리가  완료된  즉시  안전장치를  원상복구한다.

4)  안전장치가  고장  난  경우  즉시  작업을  중단할  필요는  없으며  다음  작업  전까지  수리를  완료한다. 

(98.5%)

해설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연구실책임자에게  보고하여  설치  또는  수리  등의  조치를  취한다.

5

절연피복  손상으로  인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기기기의  화재를  어떤  화재로  분류하는가?

1)  일반화재(A급화재)

2)  유류화재(B급화재)

3)  전기화재(C급화재)  (86.8%)

4)  금속화재(D급화재)

5)  주방화재(K급화재)

6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기가  있는  장소를  지날  때,  신선한  공기는  아래쪽이  있으므로  자세를  낮춰  대피한다.

2)  화재가  발생한  연구실을  탈출할  때는  반드시  문을  닫지  않고  나온다.  (83.8%)

3)  출입문  손잡이를  만져  보고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  바깥쪽에  불이  난  것이므로  문을  열지  말고  다

른  통로를  이용한다.

4)  대피를  못  해  연구실에  남아있는  경우  연기가  못  들어오게  문틈을  수건,  커튼  등으로  막는다

5)  대피할  때  한손으로  벽을  짚으며  한  방향으로  대피한다.

해설

연기  확산  방지를  위하여  문을  반드시  닫고  나온다.


background image

7

출혈,  절단  시  응급처치  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혈  시  깨끗한  손수건이나  수건,  천  등으로  출혈  부위를  직접  압박한다.

2)  출혈이  심해서  잘  지혈이  안  되는  경우  수건,  고무줄  등으로  출혈부위보다  심장  부위에  가까운 

쪽을  묶어준다.

3)  출혈  시  압박하면서  상처가  있는  부위를  아래로  낮추고  병원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76.5%)

4)  절단된  손가락  등이  얼음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해설

상처가  있는  부위를  높이  들고  병원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8

개인  보호구  탈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실험장갑  -  호흡  보호구  -  눈  보호구  -  실험복

2)  눈  보호구  -  호흡  보호구  -  실험복  -  실험장갑

3)  실험복  -  호흡  보호구  -  눈  보호구  -  실험장갑

4)  실험장갑  -  눈  보호구  -  호흡  보호구  –  실험복  (39.7%)

해설

착용순서와  탈의  순서는  반대이다.

착용순서:  실험복  –  호흡보호구  –  눈보호구  -  실험장갑

탈의순서:  실험장갑  -  눈보호구  -  호흡보호구  -  실험복

9

다음  중  안전표지와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급성독성물질  경고

2)  고압전기  경고

3)  접촉금지  (66.2%)

4)  출입금지

5)  안전장갑착용

         

해당  표지는  사용금지이다.

10

"연구활동종사자"란  연구활동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각  대학·연구기관  등에  소속된  연구원·

대학생·대학원생  및  연구보조원  등을  말한다.

O  (98.5%)

11

연구실사고  발생시  사고  현장  수습  및  상처  치료를  완료한  후  연구실안전관리팀에  보고하

여야  한다.

X  (61.8%)

해설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후  바로  연구실안전관리팀에  보고한다.

12

연구실  안전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험에  필요한  시약만  실험대에  놓아두고,  실험실  내  시약장  안에  최대한  많이  보관한다.  (97.1%)

2)  시약병은  깨끗하게  유지하고  라벨에  물질명,  위험경고표지,  개봉한  날짜를  기록한다.

3)  취급하고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MSDS자료를  게시하고  이를  숙지하도록  한다.

4)  매일  일상점검표를  작성하고  정기적으로  실험장치,  시약보관상태,  소방설비  등을  점검한다.

5)  안전보건관리규정을  각  실험실에  게시  또는  비치하고,  이를  연구실종사자에게  알린다.

해설

실험실  내에는  일일  사용에  필요한  최소량만  보관한다.


background image

안전의  날  퀴즈  이벤트  당첨자

No.

학번

학과

이름

No.

학번

학과

이름

1

20221020

문화재보존과학과

박*민

26

20181053

문화재보존과학과

진*성

2

20232094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김*수

27

20191046

문화재보존과학과

유*오

3

20211042

문화재보존과학과

김*경

28

20211009

전통건축학과

김*유

4

20221128

융합고고학과

김*성

29

20201035

전통조경학과

한*라

5

20222040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양*현

30

20201043

문화재보존과학과

김*애

6

20232040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이*현

31

20222048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전*지

7

20222035

문화재수리기술학과

노*준

32

20232039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송*수

8

20222047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임*울

33

20222025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강*지

9

20191038

문화재보존과학과

김*기

34

20232046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조*훈

10

20191039

문화재보존과학과

김*별

35

20191110

무형유산학과

정*경

11

20201044

문화재보존과학과

김*린

36

20191016

전통건축학과

정*화

12

20211052

문화재보존과학과

이*연

37

20231095

무형유산학과

김*령

13

20232081

전통건축학과

진*

38

20232091

문화유산융합학과

이*진

14

20191039

문화재보존과학과 

김*별

39

20191044

문화재보존과학과

신*우

15

20232079

전통건축학과(원)

장*

40

20231043

문화재보존과학과

박*정

16

20211046

문화재보존과학과

박*리

41

20181014

전통건축학과

이*민

17

20201016

전통건축학과

정*윤

42

20201098

전통미술공예학과

황*린

18

20221018

문화재보존과학과

김*서

43

20211101

전통미술공예학과

허*빈

19

20221002

전통건축학과

김*빈

44

20211041

문화재보존과학과

김*균

20

20221097

문화재보존과학과

황*하

45

20231012

전통건축학과

이*지

21

20201069

전통미술공예학과

박*아

46

20231018

전통건축학과

한*현

22

20232037

문화재수리기술학과

박*지

47

20231010

전통건축학과

이*진

23

20201089

전통미술공예학과

전*교

48

20221073

전통건축학과

김*선

24

20201018

전통건축학과

한*원

49

20191071

전통미술공예학과

박*은

25

20201019

전통건축학과

홍*현

50

20221007

전통건축학과

이*하

ㅇ  상품  ★수령기간★:  23.  10.  10.(화)  ~  10.  12(목)

ㅇ  상품  ★수령시간★:  오후  1시  ~  오후  6시  (이  시간에만  수령  부탁드립니다.)

ㅇ  기타문의:  830-7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