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검색
  • 공유
    • 트위터
    • 페이스북
    닫기

교육과정운영

과정구분

과정구분 표로 구분, 내용, 개설종목 정보 제공
구분 개설종목
미술공예분야 기초과정 옻칠, 단청, 배첩, 도금, 철물(장석·대장간), 모사
심화과정 옻칠, 단청, 배첩, 철물(장석), 철물(대장간) 모사
건축분야 기초과정 대목(드잡이), 소목(창호·가구), 석공(가공·석조각·쌓기), 번와와공, 제작와공, 한식미장, 구들
심화과정 대목, 소목(창호), 석공(가공·석조각·쌓기),번와와공, 한식미장 구들

교육기간

10개월(매년 3월~12월) ※ 공휴일 휴강

교육시간

교육시간 표로 구분, 교육시간, 비고 정보 제공
구분 교육시간 비고
미술공예분야 기초·심화과정 총 420시간(100% 실기교육) 35주(매주 2일 12시간)
건축분야 기초과정 총 420시간
(총 시간 범위 내에서 수리실습장과 수리현장교육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
수리실습장 300시간(★)+수리현장교육 120시간(●)
(★) 25주*12시간(주 2회)
(●) 10주: 교육 현장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 교육 운영
심화과정 총 420시간 교육 현장 등의 상황에 따라 탄력적 교육 운영

교육비 및 교육지원

미술공예분야
미술공예분야의 교육비 내용과 교육지원 내용 안내
구분 교육시간
교육비
  • 교육비: 50만원(등록 시 납부)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2조 해당자) 전액 면제
  • 재료비 무료(단, 개인 도구는 교육생 구매)
교육지원
  • 교육 당일 기숙사 제공(원거리 교육생 우선 배정)
  • 성적 우수 장학금 지급
  • 청년층(19~34세 이하) 지원금 지급(1인당 100만원, 수료자에 한함)
전통건축분야
전통건축분야의 교육비 내용과 기초/심화별 교육지원 내용 안내
구분 교육시간
교육비
  • 교육비·재료비: 무료
교육지원 기초
  • 교육 당일 기숙사 제공(원거리 교육생 우선 배정)
  • 성적 우수 장학금 지급
  • 청년층(19~34세 이하) 지원금 지급(1인당 100만원, 수료자에 한함)
심화
  • 성적 우수 교육생 장학금 지급
  • 교육훈련비 지급(1인당 300만원, 수료자에 한함)

교육방법 및 교육장소

교육방법 및 교육장소 표로 과정구분, 교육방법, 교육장소 정보 제공
분야 과정구분 교육방법 교육장소
미술공예분야 기초
  • 철저한 기능숙련 교육(전통기법·전통도구·전통재료)
  • 국가유산수리기능자 자격시험 대비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충남 부여군 소재)
    * 교육당일 기숙사 제공
심화
  • 수리역량 배양에 중점(수리복원 교육, 협업교육)
  • 고난이도 기능숙련+유물 수리복원+고미술품 재현 등
건축분야 기초
  • 철저한 기능숙력 교육(전통기법·전통도구·전통재료)
  • 국가유산수리기능자 자격시험 대비
  • 전통문화교육원 국가유산수리실습장(충남 부여군 소재)
  • 강사 교육장, 국가유산 수리현장 등(전국)
심화
  • 수리역량 배양에 중점(수리복원 교육, 협업교육)
  • 수리현장 맞춤형 기술 습득, 현장 적응력 강화 등
  • 강사 교육장, 국가유산 수리현장 등(전국)

주간 교육일정표

주간 교육일정표로 과정구분, 요일별, 비고 정보 제공
분야 과정구분 월, 화 (12시간) 화, 수 (12시간) 수, 목 (12시간) 목, 금 (12시간) 비고
미술공예분야 기초 단청, 철물 도금, 배첩 옻칠, 모사 -
  • 첫째날: 14:00~18:00
  • 둘째날: 09:00~18:00
심화 옻칠, 철물(장석), 모사 - 철물(대장간) 단청, 배첩
건축분야 기초 한식석공 한식미장, 구들 제작와공, 소목(창호, 가구) 대목(드잡이), 번와와공
심화 현장사정에 따라 탄력적 운영, 전담강사와 협의․결정 교육시간은 유동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