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운영계획
교육과정
| 강의실/요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
| B203 09:30~12:30 |
모사1 정혜선 | 모사2 허우연 | |||
| B203 14:00~17:00 |
누비 이순협 (13:00~16:00) |
금박궁중화 김원빈 | 전통미술공예 이수나 | 침선 한미정 | |
| B204 09:30~12:30 |
전각 윤홍열 | 자수 박미애 | |||
| B204 14:00~17:00 |
목조각 장호민 | 각자 이운천 | 단청2 이로운 | 단청1 양선희 | |
| B205 09:30~12:30 |
배첩2 송형란 | 배첩1 홍순천 | |||
| B205 14:00~17:00 |
교육기간
각 4개월(16주) / (3~7월, 8~12월)
교육일수
주 1일
교육시간
48시간(주 3시간*16주)
교육인원
10명
교육내용
모사1
전통 회화에 표현된 한국 전통 문양 기법 학습
모사2
화조화 모사기법, 바탕재에 따른 기법 차이 습득
단청1
단청 및 안료의 이해, 경복궁 교태전 머리초, 사찰 별화
단청2
단청 이해 및 부재별 기본 단청 문양 및 머리초 실습
배첩1
풀 제작과 배접, 액자 및 족자 제작, 전통서화처리법
배첩2
풀 제작과 배접, 전통 가리개 제작 (두폭 작은 병풍 만들기)
금박궁중화
전통재료(금박·금늬)의 이해, 금박 기법 익히기, ‘금박해악반도도’를 통한 실습(먹초·금박·채색)
자수
도안 그리기, 수놓기(구름·바위·물결·학·불로초 등)
누비
누비 제작법 습득 및 작품 제작(목도리·주머니·배자
침선
내가 만드는 내 한복 치마(바지) 및 저고리 제작
목조각
조각도 연마, 톱질하기, 끌질하기, 손칼질하기, 세부조각, 다듬기, 채색 및 착색
전각
기초 기법 학습(전각도법, 전각장법 등) 및 낙관인장 만들기
전통미술공예(인문학)
전통미술공예 인문학 강좌를 통해 국민의 전통공예 및 국가유산과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 인식 증진
교육비
재료(안료, 바탕재 등)는 교육생 부담(직접 구매)
- 모사1: 안료, 붓, 바탕재(한지, 비단) 등 *40만원 내외
- 모사2: 안료, 붓, 바탕재(한지, 비단) 등 * 20만원 내외
- 단청: 안료, 아교, 붓, 바탕재(판재) 등 *30만원 내외
- 배첩: 한지, 배접지, 풀제작용 밀가루 등 *50만원 내외
- 금박궁중화: 붓, 물감접시, 연필, 틀, 한지, 가금, 진금 등*30만원 내외
- 자수: 수틀, 자수실, 자수천, 자수실, 바늘, 기타재료 *30만원 내외
- 누비: 작품 제작용 원단, 바늘, 솜, 골무 등 *28만원 내외
- 침선: 한복감, 실, 바늘, 가위, 자 등 *30만원 내외
- 목조각: 조각도, 망치, 목판 등*20만원 내외
- 각자: 개인 수공구(칼·끌·망치 등), 목판 등 *30만원 내외
- 전각: 전각도, 전각석, 먹, 벼루 등 *10만원 내외
교육생 모집
모집대상
국민 누구나
모집방법
선착순 모집
모집기간
상반기 2~3월, 하반기 7~8월(세부일정 별도 게시)
모집인원
10명
교육신청방법(온라인 접수)
-
1전통문화교육원 누리집
- 홈페이지(https://knuh.ac.kr/hei) 접속 -
2강좌신청 방법
- [사회교육과정]-[원서접수] 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학습관 및 희망강좌 신청 -
3신청내역 확인
- [나의교육정보]-[사회교육과정] 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확인